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16부 기계류·전기기기  > 제84류 기계류
HS 표제 품명 해설
8401 원자로 원자로, 방사선을 조사(照射)하지 않은 원자로용 연료 요소(카트리지)와 동위원소 분리용 기기
8402 증기발생보일러 증기발생보일러(저압증기도 발생시킬 수 있는 중앙난방용 온수보일러는 제외한다)와 과열수보일러(super-heated water boiler)
8403 중앙난방용의 보일러 중앙난방용 보일러(제8402호의 것은 제외한다)
8404 보일러용 부속기기 제8402호나 제8403호의 보일러용 부속기기(예: 연료절약기·과열기·그을음제거기·가스회수기)와 증기원동기용 응축기
8405 가스발생기 발생로가스(producer gas)나 수성(水性)가스 발생기, 아세틸렌가스 발생기와 이와 유사한 습식가스 발생기(청정기를 갖춘 것인지에 상관없다)
8406 증기터빈 증기터빈
8407 불꽃점화식 엔진 왕복이나 로터리 방식으로 움직이는 불꽃점화식 피스톤 내연기관
8408 압축점화식 엔진 압축점화식 피스톤 내연기관(디젤엔진이나 세미디젤엔진)
8409 부분품(8407-8408) 제8407호나 제8408호의 엔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
8410 수력터빈 수력터빈·수차와 이들의 조정기
8411 가스터빈 터보제트·터보프로펠러와 그 밖의 가스터빈
8412 기타의 엔진과 모터 그 밖의 엔진과 모터
8413 액체펌프 액체펌프(계기를 갖추었는지에 상관없다)와 액체엘리베이터
8414 기체펌프·팬·후드 기체펌프나 진공펌프·기체 압축기와 팬, 팬이 결합된 환기용이나 순환용 후드(필터를 갖추었는지에 상관없다)
8415 공기조절기 공기조절기(동력구동식 팬과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를 갖춘 것으로 한정하며, 습도만을 따로 조절할 수 없는 것도 포함한다)
8416 노용 버너 액체연료·잘게 부순 고체연료·기체연료를 사용하는 노(爐)용 버너, 기계식 스토커(stoker)[이들의 기계식 불판·기계식 회(灰) 배출기와 이와 유사한 기기를 포함한다]
8417 비전기식 노와 오븐 비전기식 공업용이나 실험실용 노(爐)와 오븐(소각로를 포함한다)
8418 냉장고 냉장고·냉동고와 그 밖의 냉장기구나 냉동기구(전기식인지에 상관없다), 열펌프(제8415호의 공기조절기는 제외한다)
8419 가열·살균·건조기기 가열·조리·배소(焙燒)·증류·정류·살균·저온살균·증기가열·건조·증발·응축·냉각과 그 밖의 온도 변화에 따른 방법으로 재료를 처리하는 기계·설비·실험실장치[전기가열식(제8514호의 노(爐)와 오븐과 그 밖의 장비는 제외한다), 실험실용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제외한다]와 전기가열식이 아닌 즉시식이나 저장식 물 가열기
8420 캘린더기·로울기 캘린더기(calendering machine)나 그 밖의 로울기(rolling machine)(금속이나 유리 가공용은 제외한다)와 이것에 사용되는 실린더
8421 원심분리·여과·청정기 원심분리기(원심탈수기를 포함한다), 액체용이나 기체용 여과기나 청정기
8422 접시세척기·포장기계 접시세척기, 병이나 그 밖의 용기의 세정용이나 건조용 기계, 병·깡통·상자·자루·그 밖의 용기의 충전용·봉함용·실링(sealing)용·레이블 부착용 기계, 병·단지·통과 이와 유사한 용기의 캡슐 부착(capsuling)용 기계, 그 밖의 포장기계(열수축 포장기계를 포함한다), 음료용 탄산가스 주입기
8423 중량측정기기 중량 측정기기[감량(感量)이 50밀리그램 이하인 저울은 제외하며, 중량측정식 계수기와 검사기를 포함한다]와 각종 저울 추
8424 분사·살포·분무용의 기기 액체나 가루의 분사용·살포용·분무용 기기(수동식인지에 상관없다), 소화기(소화제를 충전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스프레이건과 이와 유사한 기기, 증기나 모래의 분사기와 이와 유사한 제트분사기
8425 풀리 태클과 호이스트 풀리 태클(Pulley tackle)과 호이스트(hoist)[스킵호이스트(skip hoist)는 제외한다], 윈치(winch)와 캡스턴(capstan), 잭(jack)
8426 크레인 선박의 데릭(derrick), 크레인(케이블크레인을 포함한다), 이동식 양하대·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크레인이 결합된 작업트럭
8427 지게차 포크리프트트럭(fork-lift truck), 그 밖의 작업트럭[권양(捲揚)용이나 취급용 장비가 결합된 것으로 한정한다]
8428 적하·양하용의 기계류 그 밖의 권양(捲揚)용·취급용·적하용·양하용 기계류[예: 리프트·에스컬레이터·컨베이어·텔레페릭(teleferic)]
8429 불도저·그레이더 자주식(自走式) 불도저(bulldozer)·앵글도저(angledozer)·그레이더(grader)·레벨러(leveller)·스크래퍼(scraper)·메커니컬셔블(mechanical shovel)·엑스커베이터(excavator)·셔블로더(shovel loader)·탬핑머신(tamping machine)·로드롤러(road roller)
8430 굴착·천공용의 기계 그 밖의 이동용·정지(整地)용·지균(地均)용·스크래핑(scraping)용·굴착용·탬핑(tamping)용·콤팩팅(compacting)용·채굴용·천공용 기계(토양용·광석용·광물용으로 한정한다), 항타기와 항발기, 스노플라우(snow-plough)와 스노블로어(snow-blower)
8431 부분품(8425-8430) 제8425호부터 제8430호까지의 기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
8432 토양정리·경작용의 기계 농업용·원예용·임업용 기계(토양 정리용이나 경작용으로 한정한다)와 잔디용이나 운동장용 롤러
8433 수확기와 탈곡기 수확기나 탈곡기(짚이나 건초 결속기를 포함한다), 풀 베는 기계, 새의 알·과실이나 그 밖의 농산물의 세정기·분류기·선별기(제8437호의 기계는 제외한다)
8434 착유기와 낙농기계 착유기와 낙농기계
8435 음료제조용 프레스·크러셔 포도주·사과술·과실주스나 이와 유사한 음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프레스(press)·크러셔(crusher)와 이와 유사한 기계
8436 기타의 농업·원예용 기계 그 밖의 농업용·원예용·임업용·가금(家禽) 사육용·양봉용 기계(기계장치나 가열장치를 갖춘 발아용 기기를 포함한다)와 가금(家禽)의 부란기와 양육기
8437 곡물가공용 기계 종자·곡물·건조한 채두류(菜豆類)의 세정기·분류기·선별기, 제분업용 기계나 곡물·건조한 채두류(菜豆類)의 가공기계(농장형은 제외한다)
8438 식품·음료의 조제용 기계 식음료의 조제·제조 산업용 기계(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며, 동물성 또는 비휘발성인 식물성 지방이나 기름의 추출용이나 조제용 기계는 제외한다)
8439 펄프·종이 제조용 기계 섬유소 펄프의 제조용 기계와 종이·판지의 제조용이나 완성가공용 기계
8440 제본기계 제본기계(제본용 재봉기를 포함한다)
8441 기타의 펄프·종이 가공기계 그 밖의 제지용 펄프·종이·판지의 가공기계(각종 절단기를 포함한다)
8442 식자용기계류·인쇄용활자 플레이트·실린더나 그 밖의 인쇄용 구성 부품의 조제용이나 제조용 기계류·장치·장비(제8456호부터 제8465호까지의 기계는 제외한다), 플레이트·실린더와 그 밖의 인쇄용 구성 부품, 인쇄용으로 조제가공[예: 평삭(平削)·그레인·연마]한 플레이트·실린더와 석판석
8443 인쇄기·복사기 제8442호의 플레이트·실린더와 그 밖의 인쇄용 구성 부품을 사용하는 인쇄기, 그 밖의 인쇄기·복사기·팩시밀리(함께 조합되었는지에 상관없다),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8444 방사기 인조섬유의 방사(紡絲)용·늘림(drawing)용·텍스처(texture)용·절단용 기계
8445 방적준비기계·방적기 방적준비기계, 방적기·합사기(合絲機)·연사기(撚絲機)와 그 밖의 방직사 제조기계, 권사기(捲絲機)[위권기(緯捲機)를 포함한다]와 제8446호나 제8447호의 기계에 사용되는 방직사를 제조하는 기계와 준비기계
8446 직기 직기(직조기)
8447 편직기 편직기, 스티치본딩기(stitch-bonding machine), 짐프사(gimped yarn)·튈(tulle)·레이스·자수천·트리밍(trimming)·브레이드(braid)나 망의 제조용 기계·터프팅(tufting) 기계
8448 부분품(8444-8447) 제8444호·제8445호·제8446호·제8447호의 기계의 보조기계[예: 도비(dobby)기·자카드기·자동정지기·셔틀교환기], 이 호나 제8444호·제8445호·제8446호·제8447호의 기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과 부속품[예: 스핀들·스핀들 플라이어·침포·코움(comb)·방사니플·셔틀·종광(heald)·종광 프레임·메리야스용 바늘]
8449 펠트·부직포 제조기 펠트나 부직포(성형인 것을 포함한다)의 제조·완성가공용 기계(펠트모자 제조용 기계를 포함한다)와 모자 제조용 형(型)
8450 세탁기 가정형이나 세탁소형 세탁기(세탁·건조 겸용기를 포함한다)
8451 직물·의류용의 기계 세탁용·클리닝용·쥐어짜기용·건조용·다림질용·프레스용[퓨징프레스(fusing press)를 포함한다]·표백용·염색용·드레싱용·완성가공용·도포용·침지(沈漬)용 기계류[제8450호의 것은 제외하며, 방적용 실·직물류나 이들 제품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한다]와 리놀륨과 같은 바닥깔개의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이나 그 밖의 지지물에 페이스트를 입히는 기계, 직물류의 감기(reeling)용·풀기(unreeling)용·접음용·절단용·핑킹(pinking)용 기계
8452 재봉기 재봉기(제8440호의 제본용 재봉기는 제외한다), 재봉기용으로 특수 제작된 가구·밑판·덮개, 재봉기용 바늘
8453 원피·가죽용의 기계 원피나 가죽의 유피(柔皮)준비기·유피(柔皮)기·가공기계, 원피·가죽으로 만든 신발이나 그 밖의 물품의 제조용·수선용 기계(재봉기는 제외한다)
8454 잉곳용주형·주조기 전로·레이들(ladle)·잉곳(ingot)용 주형과 주조기(야금용이나 금속 주조용으로 한정한다)
8455 금속 압연기와 롤 금속 압연기와 그 롤
8456 레이저 가공공작기계 각종 재료의 가공 공작기계[레이저나 그 밖의 광선·광자빔·초음파·방전·전기화학·전자빔·이온빔·플라즈마아크(plasma arc) 방식으로 재료의 일부를 제거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한정한다]와 워터제트 절단기
8457 머시닝센터 금속 가공용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re)·유닛 컨스트럭션 머신(unit construction machine)(싱글스테이션)·멀티스테이션(multi-station)의 트랜스퍼머신(transfer machine)
8458 금속 절삭가공용의 선반 금속 절삭가공용 선반(터닝센터를 포함한다)
8459 드릴링·볼링·밀링용 기계 금속 절삭가공용 공작기계[웨이타입(way-type) 유닛헤드머신(unit head machine)을 포함한다]로서 드릴링(drilling)·보링(boring)·밀링(milling)·나선가공·태핑(tapping)에 사용되는 것[제8458호의 선반(터닝센터를 포함한다)은 제외한다]
8460 연삭·연마용 기계 디버링(deburring)·샤프닝(sharpening)·그라인딩(grinding)·호닝(honing)·래핑(lapping)·폴리싱(polishing)이나 그 밖의 완성가공용 공작기계로서 연마석·연마재·광택재로 금속이나 서멧(cermet)을 가공하는 것(제8461호의 기어절삭기·기어연삭기 ·기어완성가공기는 제외한다)
8461 금속 절삭가공용의 기계 플레이닝(planing)용·쉐이핑(shaping)용·슬로팅(slotting)용·브로칭(broaching)용·기어절삭용·기어연삭용·기어완성가공용·톱질용·절단용 공작기계와 금속이나 서멧(cermet)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가공하는 그 밖의 공작기계(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8462 프레스 단조(鍛造)용·해머링(hammering)용·다이스탬핑(die-stamping)용 금속가공 공작기계(프레스를 포함한다), 굽힘용·접음용·교정용·펼침용·전단용·펀칭용·낫칭(notching)용 금속가공 공작기계(프레스를 포함한다)와 그 외의 가공방법에 의한 금속이나 금속탄화물 가공용 프레스
8463 기타의 금속·서메트 가공기계 그 밖의 금속이나 서멧(cermet)의 가공용 공작기계(재료를 절삭하지 않는 방식으로 한정한다)
8464 석·도자기·유리 가공기계 돌·도자기·콘크리트·석면시멘트나 이와 유사한 광물성 물질의 가공용 공작기계와 유리의 냉간(冷間) 가공기계
8465 경질물의 가공기계 목재·코르크·뼈·경질 고무·경질 플라스틱이나 이와 유사한 경질물의 가공용 공작기계(네일용·스테이플용·접착용과 그 밖의 조립용 기계를 포함한다)
8466 부분품(8456-8465) 제8456호부터 제8465호까지의 기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과 부속품[가공물홀더·툴홀더(tool holder)·자동개폐식 다이헤드(diehead)·분할대와 그 밖의 기계용 특수 부착물을 포함한다]과 수지식 공구에 사용되는 각종 툴홀더(tool holder)
8467 수지식 공구 수지식 공구(압축공기식, 유압식, 전동기를 갖추거나 비전기식 모터를 갖춘 것으로 한정한다)
8468 납땜·용접용의 기기 납땜용·땜질용이나 용접용 기기(절단이 가능한지에 상관없으며 제8515호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와 표면 열처리용 기기(가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8470 계산기·전자수첩 계산기와 계산 기능을 갖춘 포켓사이즈형 전자수첩·회계기·우편요금계기·표권발행기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기계(계산 기구를 갖춘 것으로 한정한다), 금전등록기
8471 자동자료처리기계 자동자료처리기계와 그 단위기기, 자기식이나 광학식 판독기, 자료를 자료매체에 부호 형태로 전사하는 기계와 이러한 자료의 처리기계(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8472 기타의 사무용 기계 그 밖의 사무용 기계[예: 헥토그래프(hectograph)·스텐실(stencil) 등사기·주소인쇄기·현금 자동지불기·주화분류기·주화계수기나 주화포장기·연필깎이·천공기·지철기(stapling machine)]
8473 부분품(8470-8472) 제8470호부터 제8472호까지에 해당하는 기계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부분품과 부속품(커버·휴대용 케이스와 이와 유사한 물품은 제외한다)
8474 광물처리용의 기계 선별기·기계식 체·분리기·세척기·파쇄기·분쇄기·혼합기·반죽기(고체 모양·분말 모양·페이스트 모양인 토양·돌·광석이나 그 밖의 광물성 물질의 처리용으로 한정한다), 조괴기(造塊機)·형입기·성형기(成形機)(고체의 광물성 연료·세라믹페이스트·굳지 않은 시멘트·석고·가루 모양이나 페이스트 모양인 그 밖의 광물성 생산품의 처리용으로 한정한다), 주물용 사형(砂型)의 성형기(成形機)
8475 유리제품의 제조·가공기계 전기램프나 전자램프·튜브·밸브·플래시벌브(flashbulb)(외피를 유리로 만든 것으로 한정한다)의 조립기계와 유리나 유리제품의 제조용이나 열간(熱間)가공용 기계
8476 자동판매기 물품의 자동판매기(예: 우표·담배·식품·음료의 자동판매기)와 화폐교환기
8477 고무·플라스틱 사출성형기 고무나 플라스틱을 가공하거나 이들 재료로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8478 담배제조기 담배의 조제기나 제조기(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8479 기타의 기계류 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기계류(고유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한정한다)
8480 주형 금속 주조용 주형틀, 주형 베이스, 주형 제조용 모형, 금속[잉곳(ingot)용은 제외한다]·금속탄화물·유리·광물성 물질·고무·플라스틱 성형용 주형
8481 탭·코크·밸브 파이프·보일러 동체·탱크·통이나 이와 유사한 물품에 사용하는 탭·코크·밸브와 이와 유사한 장치(감압밸브와 온도제어식 밸브를 포함한다)
8482 베어링 볼베어링(ball bearing)이나 롤러베어링(roller bearing)
8483 전동축·기어 전동축[캠샤프트(cam shaft)와 크랭크샤프트(crank shaft)를 포함한다], 크랭크(crank), 베어링하우징(bearing housing)과 플레인 샤프트베어링(plain shaft bearing), 기어(gear)와 기어링(gearing), 볼이나 롤러 스크루(roller screw), 기어박스(gear box), 그 밖의 변속기[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를 포함한다], 플라이휠(flywheel)과 풀리(pulley)[풀리블록(pulley block)을 포함한다], 클러치(clutch)와 샤프트커플링(shaft coupling)[유니버설조인트(universal joint)를 포함한다]
8484 개스킷 개스킷(gasket)과 이와 유사한 조인트(금속 외의 재료와 결합한 금속판으로 만든 것이나 금속을 두 개 이상 적층한 것으로 한정한다), 재질이 다른 것을 세트로 하거나 소포장한 개스킷(gasket)과 이와 유사한 조인트(작은 주머니와 봉투에 넣은 것이나 이와 유사한 포장을 한 것으로 한정한다), 메커니컬 실(mechanical seal)
8486 반도체·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반도체 보울(boule)이나 웨이퍼(wafer)·반도체디바이스·전자집적회로·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기계와 기기, 이 류의 주 제9호다목에서 특정한 기계와 기기, 그 부분품과 부속품
8487 기계류의 부분품 기계류의 부분품(접속자·절연체·코일·접촉자와 그 밖의 전기용품을 포함하지 않으며, 이 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 제83류 제85류 ▶
 
부주 류주 분류사례 이미지  

제84류 원자로·보일러·기계류와 이들의 부분품

류주 :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제68류의 밀스톤(millstone)·그라인드스톤(grindstone)이나 그 밖의 물품

나. 도자제의 기계류(예: 펌프)와 기계류(어떤 재료라도 가능하다)의 도자제 부분품(제69류)

다. 실험실용 유리제품(제7017호), 유리로 만든 공업용 기기나 그 밖의 물품과 그 부분품(제7019호제7020호)

라. 제7321호제7322호의 물품과 그 밖의 비금속(卑金屬)으로 만든 이와 유사한 물품(제74류부터 제76류까지나 제78류부터 제81류까지)

마. 제8508호의 진공청소기

바. 제8509호의 가정용 전기기기, 제8525호의 디지털 카메라

사. 제17부의 물품용 방열기

아. 모터를 갖추지 않은 기계식 바닥청소기(수동식으로 한정한다)(제9603호)

2. 제16부의 주 제3호나 이 류의 주 제9호에 따라 적용될 호가 정하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8401호부터 제8424호까지와 제8486호의 하나 이상의 호에 해당하는 기기가 동시에 제8425호부터 제8480호까지의 하나 이상의 호에도 해당되는 경우, 이 기기는 제8401호부터 제8424호까지의 적합한 호로 분류하거나 경우에 따라 제8486호로 분류하고, 제8425호부터 제8480호까지에는 분류하지 않는다.
다만, 제8419호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발아용 기기·부란기·양육기(제8436호)

나. 곡물 가습기(제8437호)

다. 당즙 추출용 침출기(제8438호)

라. 방직용 섬유사·직물류나 그 제품의 열처리용 기계(제8451호)

마. 기계적 작동을 하도록 설계된 기계류·설비·실험실장비로서 온도의 변화가 그 작동에 있어서는 필수적이라 할지라도 그 기능에서는 종속적인 것

제8422호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자루나 이와 유사한 용기를 봉합하는 재봉기(제8452호)

나. 제8472호의 사무용 기기

제8424호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잉크젯방식 인쇄기(제8443호)

나. 워터제트 절단기(제8456호)

3. 제8456호의 규정에 해당하는 각종 재료의 가공용 공작기계가 동시에 제8457호·제8458호·제8459호·제8460호·제8461호·제8464호·제8465호의 규정에도 해당되는 경우에는 이를 제8456호로 분류한다.

4. 제8457호는 다음 각 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기계가공을 행할 수 있는 금속 가공용 공작기계[선반(터닝센터를 포함한다)은 제외한다]에만 적용한다.

가. 머시닝(machining) 프로그램에 따라 매거진이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부터 공구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방법[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re)]

나. 고정된 가공물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유닛헤드(unit head)를 자동적으로 작용시켜 동시 또는 연속으로 가공하는 방법[싱글스테이션(single station)의 유닛컨스트럭션머신(unit construction machine)]

다. 가공물을 서로 다른 유닛헤드(unit head)로 자동 이송하는 방법[멀티스테이션(multi-station)의 트랜스퍼머신(transfer machine)]

5. 가. 제8471호에서 "자동자료처리기계"란 다음을 말한다.

(1) 하나 이상의 처리용 프로그램과 적어도 프로그램 실행에 바로 소요되는 자료를 기억할 수 있으며

(2)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작성하고

(3) 사용자가 지정한 수리 계산을 실행할 수 있으며

(4) 처리 중의 논리 판단에 따라 변경을 요하는 처리프로그램을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변경할 수 있는 것

나. 자동자료처리기계는 여러 개의 독립된 기기로 구성된 시스템의 형태를 갖춘 경우도 있다.

다. 아래 라목이나 마목의 것은 제외하고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기기는 자동자료처리시스템의 일부로 본다.

(1) 자동자료처리시스템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2) 중앙처리장치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거나 한 개 이상의 다른 단위기기를 통하여 접속될 수 있는 것이며,

(3) 해당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부호나 신호의 형식으로 자료를 받아들이거나 전송할 수 있는 것
자동자료처리기계의 단위기기들이 분리되어 제시되는 경우에는 제8471호로 분류한다. 그러나, 다목 2)와 3)의 조건을 충족하는 키보드, 엑스-와이 코디네이트(X-Y co-ordinate) 입력장치, 디스크 기억장치는 어떠한 경우라도 제8471호로 분류한다.

라. 다음 물품은 분리되어 제시되는 경우 위의 주 제5호다목의 모든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제8471호로 분류되지 않는다.

(1)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결합되었는지에 상관없다)

(2) 음성, 영상이나 그 밖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기기[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에서 통신을 위한 기기를 포함한다]

(3) 확성기, 마이크로폰

(4) 텔레비전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카메라레코더

(5) 텔레비전 수신기기를 갖추지 않은 모니터와 프로젝터

마. 자동자료처리기계와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자료처리 외의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는 각각의 고유한 기능에 따라 해당 호로 분류하며, 그 기능에 따라 분류되는 호가 없는 경우에는 잔여 호로 분류한다.

6. 공칭(公稱) 지름에 대한 최대오차가 100분의 1 이하이거나 0.05밀리미터 이하(둘 중 작은 기준을 적용한다)인 연마강구(鋼球)는 제8482호로 분류하며, 그 밖의 강구(鋼球)는 제7326호로 분류한다.

7. 두 가지 이상의 용도에 사용되는 기계류의 분류에서는 그 주 용도를 유일한 용도로 취급하여 이를 분류한다. 어느 호에도 주 용도가 규정되어 있지 않거나 주 용도가 불명확한 기계류는 이 류의 주 제2호나 제16부의 주 제3호에 따라 분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문맥상 달리 해석되지 않는 한 제8479호로 분류한다. 또한 제8479호에는 금속선·방직용 섬유사·그 밖의 재료나 이들 재료를 혼합하여 로프나 케이블을 제조하는 기계도 포함된다[예: 스트랜딩(stranding)기, 트위스팅(twisting)기, 케이블링(cabling)기].

8. 제8470호에서 "포켓 사이즈"라는 용어는 크기가 170밀리미터 × 100밀리미터 × 45밀리미터 이하인 기계에만 적용한다.

9. 가. 제85류의 주 제9호가목과 나목의 "반도체디바이스"와 "전자집적회로"의 표현은 이 주와 제8486호에서도 적용된다. 다만, 이 주와 제8486호의 목적에 따라 "반도체디바이스"는 감광성 반도체디바이스와 발광다이오드(엘이디)를 포함한다.

나. 이 주와 제8486호의 목적상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는 기판을 평판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는 유리 제조나 평판 모양인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이나 그 밖의 전자소자 조립은 포함하지 않는다. "평판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 기술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 제8486호에는 다음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기계를 분류한다.

(1) 마스크와 레티클(reticle)의 제조·수리

(2) 반도체디바이스나 전자집적회로의 조립

(3) 보울(boule), 웨이퍼(wafer), 반도체디바이스, 전자집적회로와 평판디스플레이의 권양(捲揚), 취급, 적하(積荷)나 양하(蘘荷)

라. 제16부의 주 제1호와 제84류의 주 제1호의 규정에 따라 적용될 호가 정하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8486호의 표현을 만족하는 기계는 이 표의 다른 호로 분류하지 않으며, 제8486호로 분류한다.

소호주 :

1. 소호 제8465.20호의 목적상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re)"란 목재, 코르크, 뼈, 경질 고무, 경질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경질 재료의 가공용 공작기계로서, 머시닝(machining) 프로그램에 따라 매거진이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장치로부터 공구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기계가공을 행할 수 있는 것에만 적용한다.

2. 소호 제8471.49호에서 "시스템"이란 제84류의 주 제5호다목의 조건들을 충족하는 기기들로 이루어진 자동자료처리기계를 말하며, 적어도 중앙처리장치와 한 개의 입력장치(예: 키보드나 스캐너)와 한 개의 출력장치(예: 영상디스플레이장치나 프린터)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3. 소호 제8481.20호에서 "유압이나 공기압 전송용 밸브"는 에너지 원천이 가압된 유체(액체 또는 가스)의 형태로 공급되는 액압 또는 공기압 시스템에서 특별히 "유체 동력"의 전송에 사용되는 밸브를 말한다. 이러한 밸브는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예: 감압형, 체크(check)형]. 소호 제8481.20호는 제8481호의 모든 다른 소호에 우선한다.

4. 소호 제8482.40호는 지름이 5밀리미터 이하이고 길이가 최소한 지름의 세 배 이상인 원통 롤러를 갖춘 베어링에만 적용한다. 롤러의 양끝은 둥근 것일 수도 있다.

총설 :

(A) 제84류의 일반적인 내용
제16부 해설의 총설 규정에 관한 것을 제외하고, 이 류에는 제85류에 특별히 포함되지 않은 것과 다음의 물품들이 아닌 모든 기계류와 기계식 장치와 이들의 부분품을 분류한다.

(a) 방직용 섬유재료로 만든 공업용 제품(제5911호)

(b) 제68류의 석제품 등

(c) 제69류의 도자제품

(d) 제7017호의 실험실용·화학용 유리제품; 유리제의 기계류와 장치 그 부분품(제7019호제7020호)

(e) 제7321호제7322호의 스토브(stove)·중앙난방용 방열기(放熱機)와 그 밖의 물품과 비(卑)금속으로 만든 이와 유사한 물품

(f) 제8509호의 가정용 전기기기; 제8525호의 디지털 카메라

(g) 제17부의 물품용의 방열기(제17부)

(h) 모터(motor)를 갖추지 않은 기계식 바닥 청소기(수동식의 것)(제9603호)

일반적으로 제84류에는 기계류와 기계식 장치가 포함되고 제85류에는 전기기기를 포함한다. 그러나 특정의 기계는 제85류의 각 호에 특별히 포함되어 있고(예: 전자기계식 가정용 기기), 반면에 제84류에는 특정의 비기계식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예: 증기발생 보일러와 그 부속기기와 여과기 등).
제84류에 포함되는 종류의 기계류와 장치가 비록 전기식의 것이라 할지라도 이 류에 분류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며 이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계

(2) 전기가열식의 기계류. 예를 들면, 제8403호의 전기식 중앙난방 보일러, 제8419호의 기계류와 전기가열장치를 갖춘 그 밖의 기계[예: 캘린더기(calenders), 직물의 세탁용이나 표백용 기계나 프레스기(press)]

(3) 전자기식(電磁氣式)의 기계(예: 전자석 밸브)나 전자식 장치를 갖춘 기계[예: 전기식 자동정지 장치를 갖춘 직기, 전자기식의 리프팅 헤드(lifting head)를 갖춘 크레인(crane)이나 전자기식 척(chuck)을 갖춘 선반]

(4) 전자식의 기계(예: 전자식의 계산기나 자동자료처리기계)나 광전(光電)식이나 전자식의 장치를 갖춘 기계(예: 광전(光電)식 장치(photo-electric apparatus)를 갖춘 금속압연기와 여러 가지의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devices)를 갖춘 공작기계)
도자제의 기계류[예: 펌프(pump)]와 기계류(재료가 어떤 것인지에 상관없다)의 도자제 부분품(제69류)·실험실용의 유리제품(제7017호)과 유리로 만든 기기와 유리로 만든 그 부분품(제7019호제7020호)은 이 류에서 제외하기 때문에 품명과 성질에 따라 이 류에 포함되는 기계라 할지라도 도자재료나 유리로 만든 제품의 특성을 갖는 경우에는 이 류에 분류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가 적용되는 예를 들면, 그 밖의 재료로 구성된 스토퍼(stopper)·조인트(joint)·텝(tap) 등과 조이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나 칼라(collars)나 그 밖의 고정 장치나 지지용 장치(스탠드·삼각대 등)와 같이 중요하지 않은 부분과 결합된 도자제품이나 유리제품이 있다.
반면에 다음에 열거하는 물품은 대체로 도자제품·실험실용 유리제품·도자재료나 유리로 만든 기기류와 그 부분품의 특성을 상실한 것으로 취급된다.

(ⅰ) 구성 비율이 높은 다른 재료(예: 금속)와 도자나 유리의 조합품; 다른 재료로 만든 프레임·케이스와 이와 유사한 물품에 결합되었거나 영구적으로 장착된 제품으로 도자나 유리 성분의 구성 비율이 높은 물품

(ⅱ) 다른 재료(예: 금속)로 만든 전동기·펌프 등과 같은 기계적 부분과 도자재료나 유리로 만든 정적(static)인 부분의 조합품

(B) 제84류의 일반적인 구성

(1) 제8401호에는 원자로·방사선을 조사(照射 : irradiate)하지 않은 원자로용 연료 요소(카트리지)와 동위원소분리용의 기기를 분류한다.

(2) 제8402호부터 제8424호까지의 호에는 그들을 사용하는 산업분야에 상관없이 주로 고유의 기능에 따른 기기를 분류한다.

(3) 제8425호부터 제8478호까지의 호에는 특정 예외는 있지만, 기기의 특수 기능과는 관계없이 그들을 사용하는 산업분야에 따라서 분류하는 기기들을 분류한다.

(4) 제8479호에는 이 류의 이전 어느 호에도 해당되지 않는 기계와 기계식 기구를 분류한다.

(5) 제8480호에는 금속주조용 몰딩박스(moulding box)와 몰딩패턴(moulding pattern)뿐만 아니라 손이나 기계에 의하여 어느 특정 재료의 몰딩(moulding)에 사용하는 주형[잉곳(ingot)용 주형은 제외한다]을 분류한다.

(6) 제8481호부터 제8484호까지에는 기계의 부분품이나 다른 류의 물품의 부분품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특정 범용성(汎用性)의 부분품을 분류한다.

(7) 제8486호에는 반도체 보울(boule)이나 웨이퍼(wafer), 반도체 디바이스, 전자 집적회로나 평판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전용되거나 주로 사용되는 종류의 기계와 기기 이 류의 주 제9호다목에 규정한 기계와 기기를 분류한다.

(8) 제8487호에는 다른 호에 분류하지 않는 비전기식 부분품을 분류한다.

(C) 부분품
부분품에 관한 일반적 사항은 제16부의 총설을 참조할 것
단독으로 제시하는 전기식 부분품은 일반적으로 제85류의 각 호에 분류한다. 예를 들면, 전동기(제8501호); 전기변압기(제8504호); 전자석·영구자석·크레인용의 전자석리프팅헤드와 전자석식 척(chuck)(제8505호); 피스톤(piston)식 내연기관용의 전기식 시동용 기기(제8511호); 전기스위치·제어반·플러그·접속함 등(제8535호부터 제8537호까지); 전자관(제8540호); 다이오드(diode)·트랜지스터(transistor)와 이와 유사한 반도체 디바이스(제8541호); 전자집적회로(제8542호); 전기 탄소(제8545호); 애자(insulator)(제8546호); 특정의 전기절연용 물품(제8547호). 이러한 물품은 기계의 다른 부분품과 함께 결합되어 있지 않는 한 이 류의 특정기계에 원칙적으로 전용되도록 설계된 것이라 할지라도 앞에서 설명한 각 호에 분류한다.
그 밖의 전기식 부분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만일 이들 부분품들이 제8409호·제8431호·제8448호·제8466호제8473호의 물품에 해당되는 것이면 이들 각 호에 분류한다.

(2) 그렇지 않으면 이 류에서는 이들 부분품들이 특정 기계에 원칙적으로 전용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한정하여 그 기계와 같은 호에 분류하고, 전용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면 제8548호에 분류한다.

(D) 이 류의 둘이상의 호에 해당하는 기계 (류의 주 제2호, 제7호와 제9호라목)
제16부의 주 제1호와 제84류의 주 제1호의 규정에 따라 적용될 호가 정하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8486호의 표현을 만족하는 기계는 이 표의 다른 호에는 분류하지 않으며; 제8486호로 분류한다.
제8401호부터 제8424호까지에는 산업의 각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계류와 장치(일반적으로 그 기능에 따라 특별히 포함되어 있다)를 포함한다. 그 밖의 호에 해당되는 기계류와 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그들을 사용하는 산업이나 활용 분야에 따라 열거하였다. 둘 이상의 호에 해당되는 기계류로서 이 류의 주 제2호에 따라 그 해당하는 호의 하나가 첫째 그룹(즉, 제8401호부터 제8424호까지)에 속하는 것은 그 그룹에 속하는 호에 분류한다. 따라서 모터(motors)는 그 용도에 관계없이 항상 제8406호부터 제8408호까지와 제8410호부터 제8412호까지에 분류한다. 이 분류원칙은 펌프[비록 특정용도(예: 방직용 펌프나 농업용 펌프)에 전용되도록 제작된 것일지라도]·원심분리기·캘린더기(calenders)·여과용 프레스·노(爐 : furnace)·증기발생기 등의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한다.
이 일반원칙에 대하여는 제8419호·제8422호제8424호에 관한 몇 가지의 예외규정(이 류의 주 제2호에 열거하였다)이 있다. 따라서 다음의 물품은 당연히 제8419호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지라도 실제에 있어서는 이 류의 이후 호에 분류한다.

(1) 농업용의 발아용기기·가금(家禽)용의 부란기(incubators)와 양육기(brooders)(제8436호)

(2) 곡물가습기(제8437호)

(3) 당즙추출용의 침출기(diffusing apparatus)(제8438호)

(4) 방직용 섬유사·직물류나 직물류의 제품의 열처리용 기계(제8451호)

(5) 기계적 작동을 하도록 설계된 기계류·설비로서 온도의 변화가 그 작동에 있어서는 필수적이라 할지라도 그 기능에서는 종속적인 것
이와 유사하게 다음의 물품은 당연히 제8422호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다 할지라도 실제에 있어서는 이 류의 이후 호들에 분류한다.

(1) 재봉기[예: 자루(sacks)의 봉함용의 것](제8452호)

(2) 서류나 통신문을 포장지나 봉투에 삽입하고 봉함하는 기계류와 화폐계수기나 포장기(제8472호)
또한 다음의 것들은 제8424호에 분류될 수 있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이 류의 이후 호들에 분류한다.

(1) 잉크제(ink-jet)방식 인쇄기(제8443호)

(2) 워터제트(water-jet) 절단기(제8456호)
제8401호에서 제8424호까지에 대한 우선 규정은 전체가 하나의 기계로 인정되는 기계에 한정하여 적용된다. 복합기계와 다기능기계는 제16부의 주 제3호에 의하여 분류하며 기능단위기계는 이 부의 주 제4호에 의하여 분류한다[16부 총설 (VI)와 (VII)을 참조].
제8401호에서 제8424호까지의 호 이외의 둘 이상의 호에 해당하는 기계류는 가장 구체적으로 열거한 호나 해당 기계의 주 용도에 따라 분류한다. 여러 종류의 다른 목적이나 산업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다목적 기계[예: 종이·방직용섬유·가죽·플라스틱 등의 산업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아이레팅기(eyeletting machine)]는 제8479호로 분류한다.

(E) 자동자료처리기계와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작동하는 기계로서 특수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 류의 주 제5호마목)
제84류의 주 제5호마목의 규정에 따라서 다음의 분류원칙은 자동자료처리기계와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작동하는 기계로서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하여야 한다.

(1) 자동자료처리기계와 결합한 기계로서 자료처리 이외의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그 기계의 기능에 해당하는 호에 분류할 수 있고, 그 특별히 포함되는 호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잔여 호(제8479호)에 분류하며, 제8471호에는 분류하지 않는다.

(2) 자동자료처리기계와 함께 제시하는 기계로서 자료처리 이외의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그들에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만약, 전체가 제16부의 주 제4호나 제90류의 주 제3호를 적용하여 제84류·제85류제90류의 다른 호에 분류하지 않는다면, 자동자료처리기계는 분리하여 제8471호에 분류하여야 하고 다른 기계는 그 기계가 수행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호에 분류하여야 한다.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