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11 - 불꽃점화식이나 압축점화식 내연기관의 점화용·시동용 전기기기(예: 점화용 자석발전기·자석발전기·점화코일·점화플러그·예열플러그·시동전동기), 내연기관에 부속되는 발전기(예: 직류발전기·교류발전기)와 개폐기
[호해설] 이 호에는 자동차용·항공기용·선박용과 이와 유사한 것·고정식 기관용에 상관없이 어떠한 종류(피스톤이나 그 밖의 형)의 내연기관의 시동용이나 점화용의 전기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내연기관에 부속되는 발전기(generators)와 개폐기(開閉器 : cut-outs)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A) 점화플러그(sparking plugs) 이것은 절연한 중앙의 전극과 케이싱에 부착된 단극(또는 다극)으로 되어 있다. 케이싱(casing)은 기관의 실린더헤드(cylinder-head)에 나사못을 박기 위하여 그 기저에 부분적으로 나삿니를 파서 전원에 접속되도록 중앙 전극의 상부에 단자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고전압을 중앙 전극에 가하면 해당 전극과 단극(또는 다극)과의 사이에 점화가 발생하여 기관의 실린더(cylinder) 내에 있는 폭발성 혼합가스의 점화에 사용한다. (B) 점화용 자석발전기(ignition magnetos)[직류 자석발전기(magneto-dynamos)를 포함한다] 이들은 내연기관의 점화플러그(sparking plug)에 공급되는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며; 주로 경주용 자동차·트랙터·항공기·모터보트(motor-boat)·모터사이클의 기관용으로 사용하며, 그 주요한 형은 다음과 같다. (1) 회전전동자형 자석발전기(revolving armature magnetos) : 이것은 저압의 일차 코일을 감은 전동자가 영구자석의 극 사이를 회전하는 일종의 교류 발전기를 결합한 것이다. 일차코일은 접촉식의 차단기와 축전기(capacitor)에 접속되어 그 코일 내의 전류를 급격히 발생·차단하면 이차 코일 내에 초고전압을 유기시킨다. 보통 전체가 하나의 하우징(housing) 내에 조합되어 있으며 그 위의 점화플러그(sparking plugs)에 차례로 전압을 배전하는 배전기 아암(distributor arm)이 장착되어 있다. (2) 고정 전동자형 자석발전기(stationary armature magnetos) : 여기에는 두 가지 형이 있다. 어느 형이든 전동자 권선(捲線 : winding wire)·접촉식의 차단기와 축전기(capacitor)가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어떤 형에 있어서는 자석이 회전하는데 반하여 다른 형에 있어서는 그 자석은 고정되어 있고 연철제의 유도자(soft iron inductors)가 자석과 전동자권선(捲線 : winding wire) 사이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3) 직류 자석발전기(magneto-dynamos) : 이것은 단일장치에 공통구동력을 결합한 자석발전기와 직류 발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모터사이클에 사용한다. (C) 마그네틱 플라이휠(magnetic flywheels) 이것은 점화용의 저압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자기 장치[플라이휠(flywheel)에 부착되어 있다]로 되어 있다. (D) 배전기(distributors) 이것은 점화 플러그(sparking plugs)에 대하여 차례로 점화 전류를 배전하며 또한 점화코일의 일차 권선(捲線 : winding wire)에 전류를 보내거나 차단시키기 위하여 단속기를 갖추고 있다.; 배전과 단속의 두 작용은 기관으로 구동되는 캠(cam)에 의하여 실린더(cylinders) 내의 피스톤의 왕복작용과 동시성을 갖는다. (E) 점화코일(ignition coils) 이것은 특별히 만든 유도코일(induction coils)로 되어 있으며 보통 원통형의 용기에 넣어져 있다. 단속기를 거쳐 일차 코일을 축전지(蓄電池)에 접속하면 고전압이 이차측에서 발생하여 배전기를 경유하여 점화플러그(sparking plugs)에 유도된다. 어떤 점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중점화코일이 두 개의 점화 플러그(sparking plugs)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그 코일은 각 플러그에서 동시에 점화불꽃을 발생시키는데 하나의 플러그에서 발생하는 점화는 해당 실린더(cylinders)에 동력행정을 생산하며 또 다른 플러그에서 발생하는 점화는 배기행정으로서 실린더에 아무런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시스템은 점화 코일이 직접 점화플러그(sparking plugs)에 연결되어 있어서 배전기가 필요 없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코일은 전자(電子)적(반도체) 코일모듈(coil module)에 의하여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F) 시동전동기(starter motors) 이 기계는 보통 직류 직권형의 소형전동기이다. 이 전동기는 시동하여야 할 내연기관과 일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나사의 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소형 피니언(pinion)이나 그 밖의 기계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G) 발전기(generators)(직류용과 교류용)(dynamos and alternators) 이것은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며, 축전지(蓄電池)에 충전을 하고 자동차·항공기 등의 조명장치·신호장치·가열장치·그 밖의 전기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교류 발전기에는 정류기(rectifier)를 사용한다. (H) 승압코일(booster coils) 이것은 시동할 때의 기관의 회전속도가 그 기관의 자석발전기를 작동시키기에는 너무 낮을 경우에 사용하는 소형 유도코일이며, 주로 항공기에 사용한다. (IJ) 예열플러그(glow plugs) 이것은 점화플러그(sparking plugs)와 유사하나 전극과 포인트의 대신에 점화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작은 저항체를 갖추고 있어서 전류가 흐를 때에 그 저항체를 가열한다. 디젤 기관의 시동전과 시동 중에 실린더(cylinders) 내의 공기를 가열시키는데 사용한다. (K) 가열코일(heating coils) 이것은 시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디젤기관의 공기취입구에 부착되는 것이다. (L) 직류발전용 개폐기(dynamo cut-out apparatus) 이것은 기관이 정지하거나 저속도로 회전할 때에 직류 발전기가 축전지(蓄電池)의 전류를 소비하여 전동기로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단일의 하우징(housing)에 전압조정기나 전류조정기를 결합한 개폐기(開閉器 : cut-outs)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러한 장치는 축전지(蓄電池)와 직류 발전기를 보호하는 외에 또한 충전에 소요되는 한계 전류치를 확보하고 일정량의 충전 전류를 공급하게 하기도 한다.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물품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한다. 다음의 물품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a) 비행장·버스정류장 등에서 사용하는 내연기관의 시동용 기기로서 주로 변압기와 정류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제8504호) (b) 축전지(蓄電池)(제8507호) (c) 조명만의 목적으로 자전거에 사용하는 직류 발전기(제8512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