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1부 방직용섬유와 그 제품  > 제50류
HS 표제 품명 해설
5001 누에고치 누에고치(생사를 뽑는 데에 적합한 것으로 한정한다)
5002 생사 생사(꼰 것은 제외한다)
5003 견웨이스트 견 웨이스트(waste)[생사를 뽑는 데에 적합하지 않은 누에고치, 실 웨이스트(waste), 가닛스톡(garnetted stock)을 포함한다]
5004 견사 견사[견 웨이스트(waste)로 만든 견방사와 소매용은 제외한다]
5005 견방사 견방사[견 웨이스트(waste)인 것으로 한정하며, 소매용은 제외한다]
5006 소매용 견사·견방사 견사·견방사(소매용으로 한정한다), 누에의 거트(gut)
5007 견직물 견직물[견 웨이스트(waste)의 것을 포함한다]
◀ 제49류 제51류 ▶
 
부주 류주 분류사례 이미지  

제50류 견

총설 :
이 류의 해설에는 제11부의 총설을 반드시 참조해야 한다.
이 류에서 "견(silk)"이란 Bombyx mori(뽕을 먹는 누에)가 분비하는 섬유질뿐 아니라 야잠견(wild silk)으로 알려진 그 밖의 다른 유사한 곤충(예: Bombyx textor)이 분비하는 섬유질을 포함한다. 누에 유충이 사람의 손으로 사육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야생 누에라고 불리는 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오크(oak) 잎을 먹고 자라는 누에이며, 이것에서 얻는 것이 참나무산누에(tussah)견이다. 이 류에는 거미견(spider silk)과 해양견(marine silk)이나 비서스 실크(byssus silk)(암석에 붙은 피나(Pinna)과 조개류에서 얻은 필라멘트)도 역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류에는 원료로부터 직물에 이르기까지 각 제조공정의 견(견으로 분류하는 혼합 방직용 섬유의 재료를 포함한다)을 분류하며 누에의 거트(silk-worm gut)도 포함한다.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