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10 - 자수천[원단 상태인 것·스트립(strip) 모양인 것·모티프(motif)로 된 것으로 한정한다]
[호해설] 자수천(embroidery)은 기존의 튈(tulle)·망·벨벳·리본·메리야스 편물·뜨개질 편물·레이스·직조된 직물·펠트(felt)·부직포 등의 바탕천 위에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자수실(embroidery threads)로 자수 가공한 것이다. 자수는 일반적으로 섬유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그 밖의 다른 실[예: 금속·유리·라피아야자의 섬유(raffia) 등]로 자수가공된 것도 이 호에 분류한다. 바탕천은 대개 완성된 자수천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자수 후에 도안만 잔류하고 바탕천은 제거한다(화학적으로나 절단에 의하여). 특정의 자수천은 자수를 사용하지 않고 스트립(strip)이나 브레이드(braid)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자수천은 기존의 바탕천(pre-existing ground fabric)을 가지고 제조한다는 점에서 레이스(lace)와 구별되며 자수한 후 바탕천을 제거한 자수천과 레이스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또한 제직공정(plumetis와 그 밖의 broché가공) 중에서 브로세실(broché threads)에 의하여 만들어진 도안을 가지고 있는 직물과 자수천과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다른 물품을 자수천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이후의 해설에서 설명한다. 자수천은 손으로 만들거나 기계로 만들기도 한다. 손으로 만든 자수천은 비교적 크기가 작다. 이에 반하여 기계로 만든 자수천은 상당히 기다랗게 되어 있는 것이 상례이다. 이 호에 분류하는 자수천은 주로 다음의 세 개 그룹으로 되어 있다.(Ⅰ) 바탕천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자수천 이 자수천은 바탕천이 제거(예: 화학적으로나 절단에 의하여)되어 자수된 무늬만 남아 있는 것이다. 이 종류의 자수천은 바탕천이 없어서 제5804호의 레이스와 혼동하기 쉬우나 다음과 같은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A) 레이스(lace)는 연속된 한 가닥의 실로 만들어졌거나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두 가닥이나 그 이상의 연속사가 교합되어 만들어진 것이어서 일반적으로 직물의 양쪽 면의 외관이 동일하다. 그러나 이 종류의 "기계로 만든 자수천(machine embroidery)"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는 두 가닥의 실로 되어 있다.; 한 가닥은 자수실(embroidery thread)이고 다른 한 가닥은 기포 밑에 있는 셔틀용 실(shuttle thread)이다. 이 셔틀용 실은 자수실보다 일반적으로 자수실보다 섬세하다. 그러므로 자수직물의 양쪽 면이 서로 다르며 뒷면은 평평한 반면 앞면은 부조(浮彫 : relief)되어 돋보인다. (B) 바탕천을 절단한 자수천의 가장자리에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바탕천 실의 작은 끝이 가끔 남아 있다. (Ⅱ) 자수 후에도 바탕천이 남아있는 자수천 이것은 자수실이 보통 바탕천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고 그 표면이나 가장자리의 둘레에 무늬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자수천이다. 자수방법은 다양하며 여기에는 러닝스티치·체인-스티치·백(back)스티치·록(lock) 스티치·헤링-본 스티치·포인트 드 포스테(point de poste)·시드스티치·루프스티치·단추 구멍 스티치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도안 전체는 직물의 표면에서만 볼 수 있다. 많은 종류의 자수천은 바탕천을 절단하거나 구멍 내는 바늘(stiletto)로서 뚫어 만들거나 경사(經絲)나 위사(緯絲)(때로는 양쪽 함께)를 기포에서 빼냄으로서 작은 구멍이나 투시할 수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자수로서 가공하여 완성한다. 이것은 자수천을 밝게 해 주거나 자수천의 주된 매력을 형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브로더리 앵글레이스(broderie anglaise)와 드로온 드레드워크(drawn thread work)이 있다. 단지 실을 빼내는 가공만 한 물품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 특정 종류의 자수천에는 원하는 도안을 먼저 윤곽으로 만들어 놓거나 자수된 도안을 더욱 돋보이도록 도안을 충전용 실(padding thread)로 채워 넣는다. 특정 종류의 기계로 만든 자수천, 특히 사틴 스티치 자수천(satin stitch embroidery)과 특정의 자수된 머슬린(embroidered muslins)은 제50류부터 제55류까지 분류하는 브로세머슬린과 그 밖의 브로세직물(예: plumetis)과 대단히 유사한 외관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다음과 같은 제조 방법의 특성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브로세 직물에 있어서는 브로세가 제직공정 중에서 삽입됨으로써 도안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동일열상의 도안을 만드는 각개의 브로세사는 항상 정확하게 동일한 경사(經絲)나 동일한 위사(緯絲) 사이에 배치되는데 반하여; 자수천에서는 바탕천이 표면에 도안이 만들어지기 이전에 제직된다. 이 도안을 만드는 데에는 자수기에 바탕천을 팽팽하게 장치하여야 하며 이렇게 장치된 경우에 있어서도 직물의 장력과 위치가 자수기의 침이 바탕천의 동일한 위사(緯絲)나 경사(經絲) 사이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도안에 각각 상응하는 부분을 만들만큼 충분하고 완전하게 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자수천에는 왕왕 자수바늘로 바탕천의 실을 꿰뚫은 것이 있으나 브로세직물에는 있을 수 없다. 브로세직물과 자수직물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자수천의 도안의 가장자리가 풀려 나온다는 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Ⅲ) 아프리케 가공(applique work) 이것은 방직용 섬유직물이나 펠트지의 바탕천 위에 다음의 것을 자수나 보통 바느질로 봉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A) 비드(bead : 작은 유리구슬)·원형의 작은 금속편·이와 유사한 장식적인 부속품; 이 부속품은 유리·젤라틴·금속이나 나무로 만든 것으로서 바탕천 위에 무늬나 모양을 나타내도록 봉합한다. (B) 방직용 섬유나 그 밖의 재료로 된 장식적인 모티프(motif) : 이 모티프(motif)는 보통 바탕천과는 서로 다른 조직의 직물(레이스도 포함한다)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절단되어 바탕천에 봉합된다.; 어떤 경우에는 바탕천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거기에 모티프(motif)로 덮는 것도 있다. (C) 브레이드(braid)·셔닐사(chenille yarn)나 그 밖의 트리밍(trimmings) 등 : 이것들은 바탕천 위에 붙여져서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자수천은 다음과 같은 형태일 때 이 호에 포함한다. (1) 여러 가지 폭으로 된 원단상의 것이나 스트립(strip) 모양의 것 이러한 원단상의 것이나 스트립 모양의 것은 똑같은 무늬가 연속적으로 자수된 것도 있다. 이것은 완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나중에 분리하고자 하는 것인지에는 상관없다[예: 의류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스트립(strip) 모양의 자수된 레이블(label)이나 절단하여 턱받이를 만들 수 있도록 일정 간격에 자수된 원단상의 것]. (2) 모티프(motif)상의 것 즉, 내의, 의류제품이나 실내용품에 자수요소로서 결합되거나 아프리케(appliquéd 가공되지 않고 그 물품만 가지고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자수된 개별적으로 독립성이 있는 물품. 이것들은 여러 형태로 절단되었거나 다른 물품으로 뒤를 대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다른 물품과 조합된다. 이것들은 배지(badge)·기장·플래시·명칭의 첫 글자·숫자·별·국가나 운동경기의 표지 등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비섬유재료[예: 가죽·지조세공물(枝條細工物)·플라스틱·카드보드]에 자수된 것 (b) 바늘 가공된 태피스트리(tapestry)(제5805호) (c) 자수한 테이블보·냅킨·이와 유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과 실로 구성된 세트(제6308호) (d) 제11부의 총설(Ⅱ)에 규정한 바와 같이 제품으로 된 모티프(motif) 이외의 자수천(직접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완제품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인지에 상관없다)과 더 이상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는 최종의 제품에 직접 자수한 것과 같이 직접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완전히 완성되어 자수가 들어 있는 별개로 된 제품. 이와 같이 매우 광범위한 물품은 제품으로 분류하며(제61류·제62류·제63류·제65류), 예를 들면, 손수건·턱받이·커프(cuffs)·깃(collar)·보디스·드레스·트레이클로스·테이블-센터·맨들피스(mantle-piece)커버·테이블 매트·커튼 등을 포함한다. (e) 유리섬유의 실(glass thread)로 자수된 것으로서 바탕천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것(제7019호) [소호해설] 소호 제5810.10호 이 소호에는 브로더리 앵글레이스(broderie anglaise)를 제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