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1부 방직용섬유와 그 제품  > 제54류 인조필라멘트
HS 표제 품명 해설
5401 재봉사 인조필라멘트의 재봉사(소매용인지에 상관없다)
5402 합성필라멘트사 합성필라멘트사(재봉사와 소매용은 제외하며, 67데시텍스 미만인 합성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5403 재생·반합성필라멘트사 재생·반(半)합성 필라멘트사[재봉사와 소매용은 제외하며, 67데시텍스 미만인 재생·반(半)합성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한다]
5404 합성모노필라멘트 합성모노필라멘트(67데시텍스 이상인 것으로서 횡단면의 치수가 1밀리미터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방직용 합성섬유재료의 스트립(strip)이나 이와 유사한 것[예: 인조 스트로(straw)](시폭이 5밀리미터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5405 재생·반합성모노필라멘트 재생·반(半)합성 모노필라멘트(67데시텍스 이상인 것으로서 횡단면의 치수가 1밀리미터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재생·반(半)합성 방직용 섬유재료의 스트립(strip)이나 이와 유사한 것[예: 인조 스트로(straw)](시폭이 5밀리미터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
5406 소매용 사 인조필라멘트사(재봉사는 제외하며, 소매용으로 한정한다)
5407 합성필라멘트 직물 합성필라멘트사의 직물(제5404호 재료로 직조한 직물을 포함한다)
5408 재생·반합성필라멘트 직물 재생·반(半)합성 필라멘트사의 직물(제5405호의 재료로 직조한 직물을 포함한다)
◀ 제53류 제55류 ▶
 
부주 류주 분류사례 이미지  

제54류 인조필라멘트, 인조방직용 섬유재료의 스트립(strip)과 이와 유사한 것

류주 :

1. 이 표에서 "인조섬유"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유기중합체의 스테이플섬유나 필라멘트를 말한다.

가.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유기단량체의 중합으로 제조한 것(예: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폴리올레핀·폴리우레탄)이나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중합체의 화학적 변성으로 제조한 것(예: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로 제조한 폴리비닐알코올)

나. 구리암모늄레이온(큐프라)·비스코스레이온(viscose rayon)과 같은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연 유기중합체(예: 셀룰로오스)를 용해하거나 화학적 처리로 제조한 것,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알기네이트와 같은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천연 유기중합체[셀룰로오스·카세인(casein)과 그 밖의 단백질·알긴산]의 화학적 변성으로 제조한 것

※ 섬유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합성섬유"와 "재생·반(半)합성 섬유"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합성섬유: 가목에서 정의한 섬유
- 재생·반(半)합성 섬유: 나목에서 정의한 섬유
제5404호부터 제5405호까지의 스트립(strip)과 이와 유사한 것은 인조섬유로 간주하지 않는다.
※ "인조", "합성", "재생·반(半)합성 섬유"라는 용어는 방직용 섬유재료와 관련하여 사용할 경우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2. 제5402호제5403호제55류의 합성필라멘트 토우(tow)와 재생·반(半)합성 필라멘트 토우(tow)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총설 :
이 류의 해설을 읽을 때는 제11부의 총설을 참조해야 한다.
제54류 주 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제54류제55류 또는 이 표의 다른 류에서 사용되는 "인조섬유"라 함은 다음과 같은 제조공정에서 만들어진 유기고분자의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를 의미한다.

(1) 유기단량체 중합 또는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변성한 것 (제39류 총설 참조)(합성섬유) 또는

(2) 천연유기중합체의 용해 또는 화학적 처리 또는 천연유기 중합체(재생 또는 반합성섬유)의 화학적 변성

 

(Ⅰ) 합성섬유
이들 섬유를 제조하는 기본재료는 일반적으로 석탄 혹은 석유 증류물 또는 천연가스로부터 유도된다. 중합에 의해 생산된 물질은 적합한 용제에 녹거나 용해되어 대기 중으로 또는 적절한 응고용기(용제를 냉각 또는 증발하여 고형화시키는) 중으로 방사구(분출구)를 통해 방사된다. 또는 필라멘트의 형태로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것도 있다.
이 단계에서 이들 물질의 성질은 대개 계속되는 다음 공정에서 직접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므로 드로잉공정을 거쳐야 하며 이와 같은 처리로 분자가 필라멘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결과적으로 기술적 특성(예: 강도)이 상당히 개선된다.
주요 합성섬유는 다음과 같다.

(1) 아크릴 : 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아크릴로니트릴 단위의 중량이 적어도 전중량의 85% 이상의 것

(2) 모다크릴 : 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아크릴로니트릴 단위의 중량이 적어도 전중량의 35% 이상 85% 미만의 것

(3) 폴리프로필렌 : 비환식포화 탄화수소의 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전중량의 85% 이상이 하나 걸러 탄소원자의 아이소탁틱 위치에서 1개의 메틸기를 가지고 있고 이 이상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단위로 조성된 것.

(4) 나일론 또는 기타 폴리아미드 : 합성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85% 이상이 비환식기 또는 환식기에 결합되어 있는 아미드결합이 반복되어 있거나 또는 85% 이상이 아미드결합에 의하여 2개의 방향환이 직접 결합하고 있는 방향족기로부터 조성된 것. 이 조성 중 아미드기의 50% 미만은 아미드기로 치환되어 있기도 하다.
"나일론 또는 기타 폴리아미드"라는 용어에는 아라미드를 포함한다(제11부 주 제12호 참조).

(5) 폴리에스테르 : 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디올레스테르와 텔레프탈릭산의 중량이 적어도 전중량의 85% 이상의 것

(6) 폴리에틸렌 : 선상 고분자로 조성된 섬유로서 해당 고분자 중 에틸렌단위의 중량이 적어도 전중량의 85% 이상의 것

(7) 폴리우레탄 : 피마자유·butane-1,4-diol·폴리에테르polyols·폴리에스테르polyols 등의 polyhydroxy화합물과 다가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의 결과로 생긴 섬유
기타 합성섬유에는 chlorofibre·fluorofibire·polycarbamide·trivinyl 및 vinylal이 포함된다.
제39류의 공중합체 또는 호모폴리머의 혼합체(예: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섬유의 구성물질로 되어 있을 경우에 그 섬유를 분류하는데 있어서는 개개구성물질의 각각의 백분율을 고려하여야 한다. 폴리아미드를 제외하고 백분율은 중량을 말한다.

 

(Ⅱ) 재생 또는 반합성섬유
이 섬유를 제조하는 기본재료는 처리공정(용해 혹은 화학적인 처리 또는 화학적인 변성을 포함한다)에 의하여 천연의 원료로부터 추출한 유기고분자이다.
주요한 재생 또는 반합성섬유는 다음과 같다.

(A) 셀룰로오스계 섬유, 즉 :

(1) 비스코스레이온 : 셀룰로오스(일반적으로 아황산펄프상)를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 처리 결과로 생긴 알카리-셀룰로오스는 다시 이산화탄소로 처리하여 크산테이트 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변화된다. 이 크산테이트는 희수산화나트륨 용액속에서 용해되어 비스코스로 알려진 농후한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변화된다.
이 비스코스는 정제·숙성된 후 방사구를 통하여 산성 응고배쓰(bath)에 압출되어 재생셀룰로오스의 필라멘트의 형태로 된다. 비스코스레이온에는 변성비스코스공정에 의하여 재생셀룰로오스로부터 제조한 modal fibres도 포함한다.

(2) 쿠프라 암모늄 레이온(쿠프로) : 셀룰로오스(일반적으로 린터상 또는 화학펄프의 형상)를 그 암모늄용액으로 용해시켜 얻는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점성의 용액은 침전셀룰로오스 필라멘트를 형성시키는 응고욕에 압출된다.

(3) 아세테이트섬유(tri-acetate를 포함한다) : 적어도 74% 이상의 하이드록실그룹이 아세틸화되어 있는 초산셀룰로오스에서 얻은 섬유임. 이 섬유는 셀룰로오스(면 린터 또는 화학펄프의형상)를 무수초산, 초산 및 황산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최초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가용성의 형태로 변성되어 아세톤과 같은 휘발성의 용제에 용해된 후 방사된다(보통 따뜻한 공기 중으로). 그리고 용제는 증발시키고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필라멘트를 얻는다.

(B) 동·식물성의 단백질계섬유,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1) 이 섬유는 밀크 카세인을 알카리(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에 용해시켜 숙성시킨후 이 용액을 산성 응고배쓰(bath) 중에 방출한다. 이 결과로 만든 필라멘트는 포름알데히드, 탄닌, 크로뮴염 또는 기타 화학적 조제품으로 처리하여 경화시킨다.

(2) 낙화생, 대두, 옥수수(제인) 등의 단백질로서 (Ⅰ)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기타의 섬유

(C) 알긴산 섬유 ; 해초류에 여러가지 화학적 처리를 하여 점성의 용액을 얻는다(일반적으로 알긴신 나트륨). 이것은 특정한 금속성 알긴상으로 변화시키는 배쓰(bath)에 방출하며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1) 칼슘 크로뮴 알긴네이트 섬유 : 이 섬유는 불연성이다.

(2) 칼슘 알긴네이트 섬유 : 이 섬유는 비눗물의 약한 알카리성 용액에서 잘 용해되며 이 섬유는 일반적인 직물용섬유로서는 적당하지 아니하고 특정 제조작업에서 임시적인 사로 사용된다.

이 류에는 인조필라멘트와 그 필라멘트로 만든 사 및 직물을 분류하며 제11부 주 제2호의 규정에 의거 인조필라멘트 사 및 섬유로 분류되는 혼합방직용 섬유의 사 및 직물을 포함한다. 또한 이 류에는 제5404호 또는 제5405호의 모노필라멘트 및 기타제품과 이들 제품으로 만든 직물도 분류한다.
이 류에는 필라멘트토우(제55류의 주 제1호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한다)를 포함한다. 제55류의 필라멘트의 토우는 스테이플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데 반하여 이 류의 필라멘트의 토우는 일반적으로 담배필터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 류에서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치간사이를 청결히 하는데 사용되는 사로서 개개 소매용으로 포장된 것(덴탈플로스-치과용견사)(제3306호)

(b) 제40류의 물품, 특히 제4007호의 실 및 코드

(c) 제55류의 물품, 특히 스테이플 섬유·스테이플섬유의 사 및 직물, 인조필라멘트 웨이스트(노일·사웨이스트 및 가아넷스톡을 포함한다)

(d) 제6815호의 카본섬유 및 카본섬유의 제품

(e) 제7019호의 유리섬유 및 유리섬유의 제품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