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8부 원피·가죽·모피  > 제41류 원피
HS 탐색창
제41류의 주

류주 :

1. 이 류에서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가. 원피의 페어링 또는 이와 유사한 웨이스트(제0511호)

나. 제0505호 또는 제6701호의 우모나 솜털이 붙은 새의 우모피와 그 부분

다. 탈모하지 아니한 수피로서 생 것, 유연처리 또는 드레스가공한 것(제43류). 다만, 소(물소를 포함한다)·마속의 동물·면양 또는 어린 양(아스트라칸·브로드테일·카라쿨·페르시아 및 이와 유사한 어린 양·인도·중국·몽고 및 티베트 어린 양을 제외한다)
·산양(예멘·몽고 및 티베트 산양을 제외한다)·돼지(페카리를 포함한다)·샤무아·거젤·낙타(단봉낙타를 포함한다)·순록·엘크·사슴·로벅 또는 개의 탈모하지 아니한 원피는 제41류에 분류한다.

2. 가. 제4104호 내지 제4106호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유연처리된(유연전처리를 포함한다) 원피를 제외한다(경우에 따라서는 제4101호 내지 제4103호에 분류될 수 있다)

나. 제4104호 내지 제4106호에서 "크러스트"는 유연재처리된 원피와 건조하기 전에 색을 입히거나 기름을 바른 원피를 포함한다.

3. 이 표에서 "콤퍼지션레더"라 함은 제4115호의 물품만을 말한다.

총설 :
이 류에서는 다음의 물품이 포함된다.

(Ⅰ) 동물의 원피(모양이 큰 사족동물의 수피)와 기타의 원피(깃털이나 솜털을 가진 조피와 모피는 제외함) (제4101호 내지 제4103호). 이들 호는 또한 이 류주 제1호 다목 및 제4101호 내지 제4103호의 해설에서 규정한 동물의 탈모하지 아니한 원피도 포함한다.
원피는 유연처리 전에 일련의 준비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알카리 용액(원피를 부드럽게 해주고 보존성을 위하여 사용된 염을 제거해주는)을 침투시키고 탈모 및 탈육(플레싱)가공을 거친 후 탈모과정에서 사용된 석회와 기타 잔존물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물로서 세척한다.
또한 제4101호 내지 제4103호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유연처리 (유연전 처리를 포함한다)를 거친 탈모한 원피를 포함한다. 그러한 처리는 스플릿 공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원피를 안정시켜주며 일시적으로 부패를 막아준다. 이러한 처리를 거친 원피는 마무리하기전에 추가적인 유연처리가 요구되며 제4104호 내지 제4106호의 물품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탈모하지 않은 상태로 유연전 처리 되거나 그 이상의 추가가공을 한 원피는 이 류주 제1호 다목에 의해 이 류에서 제외된다.

(Ⅱ) 유연처리 또는 크러스트 처리 되었으나 그 이상 추가 가공되지 않은 원피(제4104호 내지 제4106호). 유연처리공정은 원피의 부패를 방지하게 해주며 물에 대한 불침투성을 증대시킨다. 탄닌은 원피구조에 침투하여 콜라겐과 교차결합을 형성한다. 이것은 비가역 화학반응으로서 제품이 열·빛 또는 땀으로부터 안정성을 갖도록 해주며 원피를 모양내기 쉽고 사용하기 좋게 해준다.
그 다음 단계로 "식물성 유연처리"(특정 목재·수피·수엽 등과 또는 그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욕통내에서), 광물성 유연처리 (크로뮴염·철염·백반 등의 광물성 염으로) 또는 화학적 유연처리(포름알데히드 또는 특정 합성화학약품으로)를 거치는데 때로는 이러한 공정들을 조합하여 처리하는 때도 있다. 백반과 염의 혼합물로서 중후한 가죽을 유연처리하는 방법을 헝가리 공법이라고 하며, 백반으로 유연처리를 할 때는 염·백반·황란·소맥분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백반으로 유연처리 된 가죽은 주로 장갑·의복 및 양화 제조에 쓰인다.
유연처리 되거나 또는 유연처리 이상의 추가가공된 원피는 상거래에서 "가죽"으로 알려져 있다. 유연처리 이후 건조된 가죽은 "크러스트" 또는 "크러스트 레더"으로 알려져 있다. 크러스트 처리 중에, 크러스트를 매끄럽게 하고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방액 또는 기름이 첨가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원피는 건조전에 재유연처리 되거나 또는 침수(예: 드럼통 속)에 의해 염색될 수 있다.
섀미가죽(콤비네이션 섀미가죽을 포함한다)을 생산하기 위해 유성 유연처리 및 드레스 가공된 면양 및 어린양의 원피는 제4114호에 규정되어 있다.

(Ⅲ) 유연처리 또는 크러스트 처리 후에 그 이상 가공한 가죽 (제4107호·제4112호제4113호). 유연처리 또는 크러스트 처리 후, 원피표면의 불균질을 없애고 좀 더 유연하고 방수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종종 부가적인 가공("무두질 하는 것")을 거친다. 이러한 추가 공정은 표면을 유연·신장·박연·타연·경화 시키는 과정 및 기름으로 "침지(stuffing)"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공정을 거친 가죽은 그 이상의 드레스 가공 또는 완성가공 공정을 거치는 것도 있다.
즉, 다른 종류의 가죽을 모조하기 위한 표면물감 또는 도료의 도포, 은면가공 또는 각인을 하거나 스웨이드상 또는 벨벳상으로 하기 위해 가죽 내측면 (때로는 은면)을 사이징·윤택·연마(또는 버핑)처리 하거나 왁스처리·흑염·윤골화(글레이징)·광택처리·날염 등의 공정을 거친다.
파치먼트 가공을 한 가죽은 원피를 유연처리 한 것이 아니라 원피의 보존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처리단계를 거친 것이다. 이 원피를 유연화·탈모·탈육·세척하고 프레임으로 신장시킨 후 백악·생석회를 함유하는 페이스트로 도장하고 필요한 두께로 깎아 경석으로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아교와 전분으로 드레스 가공을 한다.
"벨름"이라고 불리우는 고급질의 가죽은 어린 소의 원피로 제조한다. 이러한 고급질의 가죽은 중요서류나 책의 표지 및 드럼피 등으로 사용한다. 두꺼운 수피(즉, 몸집이 큰 소의 것이 보통이다)는 이와 유사하게 처리 가공하여 ("로하이드"로 알려져 있음) 기계부분품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거나 공구, 여행용구 등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Ⅳ) 섀미가죽, 페이턴트 레더 및 적층한 페이턴트 레더, 메탈라이즈드 레더(제4114호). 제4114호는 특별히 호의 표제에서 명명된 가죽 및 특정 마무리 공정에 의해 생산된 가죽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호에는 섀미가죽(콤비네이션 섀미가죽을 포함한다)을 생산하기 위해 기름으로 유연처리되고 드레스 가공된 면양 및 어린양의 원피를 포함한다. ; 바니시·래커 또는 미리 성형한 플라스틱의 시트를 도포 또는 피복한 가죽(페이턴트 레더 또는 적층한 페이터트 레더) ; 및 금속 가루나 금속박으로 도포한 가죽(메탈라이즈드 레더)

(Ⅴ) 가죽 또는 가죽섬유를 기제로 한 콤퍼지션(접착)레더 (제4115호)

(Ⅵ) 가죽 및 콤퍼지션레더의 페어링 및 기타의 웨이스트(제4115호). 이 호는 원피 또는 모피의 페어링 및 이와 유사한 웨이스트는 포함하지 않는다.
원피 및 가죽은 전신(원피 및 가죽의 형상은 동물의 윤곽을 지니고 있으나, 머리 및 다리부분의 원피가 제거된 것도 있다)의 모습이든 일부분(예: 사이드(sides)·숄더(shoulders)·버트(butts)·벤드(bends)·벨리(bellies)·취크(cheeks))의 모습이든 스트립상의 것이든 시트상의 것이든 모두 이 류에 분류되나, 특별한 모양으로 절단한 가죽은 다른 류, 특히 제42류 또는 제64류의 제품으로 간주된다.
스플릿한 원피와 가죽은 각각 스플릿되기 전의 전신의 원피나 가죽이 분류되는 동일 호에 분류된다. 스플리팅은 원피를 둘 이상의 층으로 수평적으로 나누는 과정이며 유연처리단계를 전후하여 이루어진다. 스플리팅의 목적은 가공처리를 위하여 두께를 보다 고르게 하고 그리하여 보다 균질한 최종 가죽을 얻는데 있다. "그레인 스플릿"으로 알려져 있는 원피의 바깥쪽 즉 그레인층은 원피를 엔드리스 밴드 나이프에 통과시켜 평평하게 함으로써 수밀리미터까지의 정확도를 갖도록 한 것이다. "플래시 스플릿"으로 알려져 있는 바닥층은 형상이나 두께가 일정치 않다. 물소의 것과 같이 예외적으로 두꺼운 원피로부터는 여러 개의 층이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는 중간층은 바깥층에 비하여 구조가 약하다.

◀ 제40류 제42류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