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06 - 타악기[예: 북·목금·심벌·캐스터네츠·마라카스(maracas)]
타악기(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는 서로 유사한 물체끼리, 봉(stick)이나 이와 유사한 기기로, 맨손으로 치는 악기이다. 이러한 악기는 전체적으로 "드럼(drum)"으로 불린다. 이 호에 해당되는 주요한 악기는 다음의 것이 있다.(A) 가죽을 늘려서 만든 것. 예: (1) 소고(tabor)와 탬버린(tambourin) (2) 드럼(drums)[측면이 얕은 드럼·저음드럼·큰 드럼(big drum) 등] : 이러한 드럼은 양단을 신장된 양피나 소우피로 덮은 목재나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구성되며(양두드럼), 한 개나 두 개의 보통의 봉이나 가죽을 씌운 두부가 있는 봉으로 두드려서 소리를 낸다. (3) 팀파니(timpani)와 케틀드럼(kettle-drum) : 양피로 덮은 속이 빈 구리로 만든 반구로 구성된다(적당한 사이즈로 변경할 수 있으며 보통 지상에 놓고 사용한다). 이러한 악기는 일정한 음조로 조정되며 봉으로 쳐서 소리를 낸다. (4) 방울이 달린 탬버린(tambourin with jingles) : 가죽을 덮은 테(륜)로 구성되며 방울이나 구리로 만든 텅(tongue)이 부착되어 있어 탬버린을 흔들어서 소리를 내거나 손바닥·손가락 등으로 쳐서 소리를 낸다. (5) 톰톰(tom-tom) (B) 그 밖의 타악기. 예: (1) 심벌(cymbal) : 일반적으로 두 개를 마주친다든가 두 개를 다같이 비벼서 소리를 내는 원판으로서; 어떤 경우에는 한 개의 심벌즈를 머리부분이 부드러운 봉으로 쳐서 소리를 내는 것도 있다. (2) 징(gong)(예: 중국식 징) : 보통 가죽이나 펠트 뭉치를 무거운 봉의 끝에 부착하여 두둘기는 금속판이다. (3) 트라이앵글(triangle) : 강봉(steel rod)을 정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서 쇠막대기로 쳐서 소리를 낸다. (4) 징글링 조니(jingle johnny)[중국 파빌리온(Chinese pavilion)·터키 크레센트(Turkish crescent)] : 방울과 작은 종이 부착된 것으로서 악기가 설치된 지주를 흔들어서 소리를 낸다. (5) 캐스터네츠(castenets) : 목제·골제·아이보리제의 요면이나 패각 모양의 소형 악기로서; 손가락에 고정시키거나 손잡이를 달아서 마주쳐서 소리를 낸다. (6) 목금(실로폰 : xylophone) : 음계순으로 길이가 다른 일련의 소형 목제판을 두 개의 지지물에 배열고정시킨 것으로 막대기로 쳐서 연주한다. (7) 메탈로폰(metallophone) : 실로폰과 유사한 것으로서 목제판 대신에 좁은 금속제판[강(鋼)이나 두랄루민(duralumin)제]으로 되어 있다; (실로폰과 메탈로폰은 간혹 다같이 테이블의 아래쪽에 금속으로 만든 공명용 판이나 관을 부착한다). 이 호에는 유리판(glass plate)을 사용한 이와 유사한 악기도 포함한다. (8) 첼레스타(celesta)와 이와 유사한 타악기 : 보통의 차임(chime)과 대체성 있는 타악기로 사용한다. 이러한 악기는 외관상 페달과 단음장치를 갖춘 소형의 피아노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건반에 의하여 작동되는 기계식 해머로 특수한 두꺼운 강판을 쳐서 소리를 낸다. (9) 벨·벨의 세트·차임과 튜블러벨(tubular bell)[프레임에 달아맨 일련의 관(管)으로서 해머나 맨손으로 친다] (10) 마라카스(maraca)와 이와 유사한 악기 : 속이 빈 종이나 관으로 되어 있으며 흔들어서 소리를 낸다. (11) "클라베스(claves)" : 일조의 경목제의 막대기로 되어 있다. (12) 플렉사톤(flexatone) : 손잡이에 부착된 금속판과 판의 양측에 부착된 두 개의 목제의 구(balls)로 구성된다. 이 악기를 흔들면 구가 금속판에 부딪혀서 진동하며 음조는 엄지손가락으로 판을 구부려서 조정한다. 위에 설명한 악기는 때로는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 개의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무도악단에 있어서는 큰 드럼을 치는 머리부분이 부드러운 봉은 페달로 조작되며 그 외에도 드럼에는 심벌·징(gong)·목판(벨이 부착되었거나 실로폰 모양의 것이 장치된 목제의 공명상자) 등이 부착되어 있다. 공회당에서 음악연주용으로 사용하는 카리용(carillon)은 이 호로 분류한다. 그러나 전자(電子)식 타악기는 제9207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문이나 탁상용의 벨(bell)과 공(gong)·도어차임(door chime) 등으로서 악기로 볼 수 없는 것(제8306호나 제8531호) (b) 시계용의 차임과 그 밖의 타종기구(제9114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