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05 - 비환식알코올과 그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니트로소화유도체
비환식알코올은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를 히드록실기(hydroxyl group)로 치환하여 얻어진 비환식탄화수소의 유도체이다. 이들은 산소화합물로서 산(acid)과 반응하면 에스테르(ester)로 알려진 화합물이 생성된다. 알코올에는 1차 알코올(-CH2OH기의 성질을 가지는 것)·2차 알코올(ᐳCHOH기의 성질을 가지는 것)·3차 알코올(ᗒCOH기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있다. 이 호에는 다음의 비환식알코올과 그 할로겐화(halogenated)유도체·술폰화(sulphonated)유도체·니트로화(nitrated)유도체·니트로소화(nitrosated)유도체·술폰할로겐화(sulphohalogenated)유도체·니트로할로겐화(nitrohalogenated)유도체·니트로술폰화(nitrosulphonated)유도체·니트로술폰할로겐화(nitrosulphohalogenated)유도체나 그 밖의 복합 유도체[예: 글리세롤(glycerol)의 모노클로로히드린(monochlorohydrin), 에틸렌글리콜(ethlyene glycol)의 모노클로로히드린]를 분류한다. 중아황산알데히드(aldehyde-bisulphite) 화합물과 중아황산케톤(ketone-bisulphite) 화합물은 알코올의 술폰화(sulphonated)유도체로 분류한다[예: 중아황산나트륨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sodium bisulphite)·중아황산나트륨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sodium bisulphite)·중아황산나트륨발레르알데히드(valeraldehyde sodium bisulphite)·중아황산나트륨아세톤(acetone sodium bisulphite)]. 이 호에는 이 호의 알코올과 에탄올의 금속알코올레이트(metal alcoholate)를 분류한다. 이 호에는 순도(純度 : purity)에 상관없이 에탄올[에틸알코올(ethyl alcohol)]을 제외한다(제2207호와 제2208호 해설 참조).(A) 포화 1가 알코올 (1) 메탄올(methanol)[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 목재를 건류하거나 합성에 의하여 얻는다. 순수한 메탄올(methanol)은 유동성·무색·인화성 액체로서 독특한 냄새를 가지며; 유기 합성·용매·염료공업과 폭약·약품 제조 등에 사용한다. 목재의 건류에서 얻어진 목(木)나프타(wood naphtha)[가공하지 않은 메틸알코올(crude methyl alcohol)]는 제외한다(제3807호). (2) 1-프로판올(프로필알코올)과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propan-1-ol(propyl alcohol) and propan-2-ol(isopropyl alcohol)] : 무색 액체이며 후자는 프로필렌(propylene)으로부터 합성되며 아세톤·메타크리레이트(methacrylates)의 제조·용제 등에 사용한다. (3) 1-부탄올(butan-1-ol)[노르말-부틸알코올(n-butyl alcohol)]과 그 밖의 부탄올(butanol)[4종의 이성체(isomer)] : 무색 액체로서 유기 합성용과 용제로 사용한다. (4) 펜탄올(pentanol)[아밀알코올(amyl alcohol)]과 그 이성체 : 8종의 이성체가 있으며 발효아밀알코올(fermentation amyl alcohol)은 에틸알코올(ethyl alcohol)을 정류할 때 얻어지는 퓨젤 유(fusel oil)[제3824호의 그레인 오일(grain oil)·당밀 유·포테이토 오일 등으로 알려져 있다]로부터 주로 얻어진다. 또한 아밀알코올(amyl alcohol)은 석유의 분해에서 얻어지는 탄화수소가스로부터 합성된다. (5) 헥산올(hexanol)과 헵탄올(heptanol)(헥실알코올과 헵틸알코올) (6) 옥탄올(옥틸알코올)[octanol(octyl alcohol)]과 그 이성체 (7) 1-도데칸올(라우릴알코올)·1-헥사데칸올(세틸알코올)과 1-옥타데칸올(스테아릴알코올) 이 호에는 순도(純度) 90% 미만(건조한 물품의 중량으로 계산)의 지방알코올은 제외한다(제3823호). (B) 불포화 1가 알코올 (1) 알릴알코올(allyl alcohol)* (2) 에틸프로필알릴알코올(ethylpropylallyl alacohol)[2-에틸-2-헥센-1-올(2-ethyl-2-hexen-1-ol)] (3) 올레일알코올(oleyl alcohol) (4) 비환식테르펜알코올(acyclic terpene alcohol)[예: 피톨(phytol)] : 테르펜알코올(terpen alcohol)은 쉽게 하이드로-방향족(芳香族) 화합물로 전환되며 특정의 정유(essential oil) 속에 존재한다. 예를 들면, 게라니올(geraniol)·시트로넬롤(citronellol)·리날로올(linalool)·로디놀(rhodinol)·네롤(nerol) 등으로서 향료에 사용한다. (C) 2가 알코올과 그 밖의 다가알코올 (Ⅰ) 2가 알코올 (1)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에탄디올(ethanediol)] : 무색 시럽 상태의 액체로서 약간의 자극적인 냄새를 가지며 니트로글리콜(nitroglycol)(폭약) 제조·바니시(varnish)의 용제(溶劑)·부동(不凍 : anti-freeze)제나 유기 합성에 사용한다. (2)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프로판-1,2-디올(propane-1,2-diol)] : 무색 점성이 있는 흡습성 액체 (Ⅱ) 그 밖의 다가알코올 (1) 글리세롤(프로판-1,2,3-트리올)[glycerol(propane-1,2,3-triol)] : 글리세롤(glycerol)[글리세린(glycerine)이라고도 알려져 있다]은 가공하지 않은 글리세롤(glycerol)의 정제(예: 증류·이온교환정제에 의해)나 프로필렌(propylene)으로부터 합성으로 얻어지기도 한다. 글리세롤은 감미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무색과 무취이나 때로는 약간의 황색빛을 띤 음영일 때도 있다. 글리세롤이 이 호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순도(純度) 95% 이상(건조물로 계산한 중량)이어야 하며 저 순도의 글리세롤(glycerol)[가공하지 않은 글리세롤(crude glycerol)]은 제외한다(제1520호). (2) 2-에틸-2-(히드록시메틸)프로판-1,3-디올[2-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propane)] : 바니시(varnish)·알키드수지·합성 건성유·우레탄 폼과 코팅제의 제조에 사용한다. (3)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 백색 결정성 가루로서 폭약과 플라스틱 제조에 사용한다. (4) 만니톨(mannitol)* : 백색 결정성 가루나 알갱이 모양으로서 식물계[프락시너스 오르너스(Fraxinus ornus)의 수액]에 존재하며; 합성으로도 얻는다. 완하제와 폭약(mannitol hexanitrate)의 제조에 사용한다. (5) 디-글루시톨(소르비톨)[d-glucitol(sorbitol)] : 백색 결정성의 흡습성 가루이며 향료로 사용하고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제조(의약용)·계면활성제 제조·글리세롤(glycerol)의 대용품과 습윤제(예: 습기 조절제)로 사용한다. (6) 펜탄트리올(pentanetriol)·헥산트리올(hexanetriol) 등 이 호에는 제3824호의 소르비톨(sorbitol)은 제외한다. (D) 비환식 알코올의 할로겐화(halogenated)유도체·술폰화(sulphonated)유도체· 니트로화(nitrated)유도체·니트로소화(nitrsosated)유도체 (1) 함수클로랄(chloral hydrate)[CCl3CH(OH)2)][2,2,2,-트리클로로에탄(trichloroethane)-1,1-디올(diol)] : 무색 결정체로서 독성이 있으며; 최면제와 유기 합성에 사용한다. (2) 트리클로로터셔리부틸알코올(trichloro-tertiary-butyl alcohol); 의약용으로 사용한다. (3) 에스클로비놀(ethchlorvynol) : 향정신성 물질-제29류 끝의 목록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