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07 - 철이나 비합금강의 반제품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s)에 대하여는 이 류의 주 제1호자목에 정의 되어 있다. 이 주에 있어서 "제1차 열간(熱間) 압연을 거친(subjected to primary hot-rolling)"이라는 용어는 그들에게 거친 외관을 부여하는 압연 작업을 거친 제품에 적용된다. 이 호에는 블룸(bloom)·빌릿(billet)·라운드(round)·슬래브(slab)·시트바(sheet bar)·단조(鍛造 : forging)에 의한 거친 형태의 물품·형강(形鋼 : angle·shape·section)의 블랭크(blank), 그리고 연속주조에 의해서 얻어진 모든 제품을 포함한다.(A) 블룸(bloom)·빌릿(billet)·라운드(round)·슬래브(slab)와 시트바(sheet bar) 이들 제품은 모두 제7206호에 분류하는 잉곳(ingot)·퍼들바(puddled bar)나 파일링(piling)을 열간(熱間) 압연이나 단조(鍛造 : forging)하여 얻는다. 이들은 추가적인 열간(熱間) 압연이나 단조(鍛造 : forging)하기 위한 반제품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크기로 만들어질 필요가 없다. 즉, 가장자리가 정교하지 아니하여도 되고, 표면은 가끔 울퉁불퉁한 경우가 있으며 제조공정에서 생긴 마크(예: 롤러 마크)가 남아 있을 수가 있다. 블룸(bloom)은 보통 횡단면이 정사각형이며 빌릿(billet)보다 크다. 빌릿(billet)는 정사각형이거나 직사각형이다. 양자는 재압연에 의해 봉(bar·rod)·형강(形鋼 : angle·shape·section) 등이나 단조(鍛造)품(forging) 제조에 사용한다. 라운드(round)는 횡단면이 원형이거나 변이 네 개보다 많은 다각형의 물품으로 주로 무계목(無繼目) 강관제조용의 중간제품으로 사용한다. 그들은 반제품에 대한 공통적인 일반 특성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보통 1~2m의 길이로 공급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봉(bar·rod)과 구별되며, 그들의 끝부분은 흔히 블로우(blow) 램프에 의해서 절단[보통 더 정교하게 절단되는데 바(bar)의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구별된다. 슬래브(slab)·시트바(sheet bar)도 역시,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 제외)이지만 폭이 두께보다 상당히 크며, 슬래브는 시트바보다 두껍다. 그러므로 슬래브는 보통 재압연하여 후판(厚板 : thick plate)을 만들고 시트바(sheet bar)는 보통 박판(sheet)이나 스트립(strip)의 제조에 사용한다. 틴플레이트바(tinplate bar)는 틴플레이트(tinplate)의 제조에 사용하는 시트바 형태의 것이다[슬래브·시트바와 특정의 판(certain plate)의 구분은 아래 제7208호 해설을 참조]. (B) 조단조품(粗鍛造品 : roughly shaped by forging) 피스 이들 물품은 외양이 거칠고 치수에 대한 오차(tolerance)가 큰 반제품으로서 블록(block)이나 잉곳(ingot)을 파워해머(power hammer)를 사용하거나 단조(鍛造)용 프레스에 의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완제품을 만들 때 필요 이상의 웨이스트(waste)가 생기지 않게끔 하기 위하여 완제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의 조잡한 모양을 만든다. 그러나 단조(鍛造 : forging)·프레스(pres)·선반 등에 있어서는 상당한 정도까지 더 가공을 하여야만 완제품의 모양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물품만을 분류한다. 예를 들면, 잉곳(ingot)이 평평한 지그재그(zig-zag)의 모양으로 거칠게 타발되고 선박용 크랭크샤프트(crankshaf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가공을 하여야만 되는 것은 이 호에 분류하지만 최종 기계로 만들기에 알맞도록 단조(鍛造)된 크랭크샤프트(crankshaft forging)는 제외한다. 주형 사이를 단조(鍛造)함으로써 제조되는 드롭 단조(鍛造)품과 프레스(press) 제품은 최종기계 가공만을 요하는 물품이므로 이 호에서 제외한다. (C) 형강(形鋼 : angle, shape or section)의 블랭크(blank) 형강(形鋼 : angle·shape·section)의 블랭크(blank)는 완제품의 형태에 적합한 복잡한 모양의 횡단면을 가졌으며, 이에 부합된 압연 공정을 거친다. 이 호에는 예를 들면, 와이드 플랜지 빔(wide flanged beam)이나 거더(girder)의 블랭크(blank)를 포함한다. (D) 연속주조에 의해 얻는 반제품 이 그룹에는 어떤 형태이든 연속주조에 의해 얻는 철이나 비합금강의 모든 반제품(semi-finished products)을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 강(鋼)은 다른 주조생산 라인에 공급하는 분배기에 레이들(ladle)로부터 운반되어진다. 이들 생산라인에는 다음 것을 포함한다. (a) 밑바닥이 없고, 냉각장치를 가진 주형 (b) 주형 바깥쪽에 있는 주조금속을 냉각하기 위한 물 분무용 장치 (c) 응고된 금속을 규칙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컨베이어 롤러 그룹; 그리고 (d) 절단기계 장치와 그에 따르는 철거장치 연속주조에 의한 제품과 그 밖의 제품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에 관하여는 이 류의 총설(Ⅲ)을 참조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