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11부 방직용섬유와 그 제품 > 제56류 워딩·펠트 > 제5603호 부직포
HS
제5603호의 해설

56.03 - 부직포(침투·도포·피복·적층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부직포(nonwoven)는 방직용 섬유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놓거나 아무렇게나 배열하고 접착시킨 시트(sheet)나 웹(web)이다. 이들 섬유의 근원은 천연의 것이거나 인조의 것이다. 이들 섬유는 스테이플섬유(천연·인조)나 인조필라멘트이거나 혹은 자연 상태(in situ)로 형성된다.
부직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되며 제조과정을 다음의 3단계[웹(web)형성, 접착과 완성가공]로 간편하게 나눌 수 있다.

(Ⅰ) 웹형성(web formation)
웹(web)을 만드는데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기본적인 방법이 있다.

(a) 섬유를 카딩(carding)하거나 에어레잉(air-laying)함으로써 시트(sheet)를 형성하여 만드는 방법. 이들 섬유는 평행·교착이나 아무렇게나 배열되어 있다(dry-laid공정);

(b) 방출된 필라멘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냉각시켜서 직접 웹(web)으로 만들거나 응고·세척하여 직접 습식의 웹(web)으로 만드는 방법(spun laid공정);

(c) 섬유를 물속에서 서스펜딩(suspending)·분산시켜 이러한 결과로 생긴 슬러리(slurry)를 와이어스크린에 침전시킨 다음 물을 제거하여 웹(web)을 만드는 방법(wet-laid공정);

(d) 섬유의 제조·웹(web)의 형성과 접착이 동시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특수기술에 의한 방법(in situ공정)

(Ⅱ) 접착(bonding)
웹(web)형성 후 섬유를 웹의 층과 폭에 걸쳐서 결합하거나(연속법) 점이나 파편으로 결합한다(간헐법).
이러한 접착방법은 다음의 세 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a) 화학적 접착(chemical bonding) : 섬유를 접착물질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접착은 용액(solution)이나 에멀젼(emulsion)으로 되어 있는 고무·검·전분·아교·플라스틱 등의 접착성 있는 결합제(adhesive binder)를 침투시키거나 가루 상태의 플라스틱으로 가열처리하거나 용제(solvent)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인딩 화이버(binding fibre)도 화학적 접착에 사용될 수도 있다.

(b) 열접착(thermal bonding) : 섬유를 열(또는 초음파)처리로 결합시킨 후 웹(web)으로 하여금 오븐을 통과하게 하거나 과열된 롤러(area bonding)나 가열부조된 캘린더(point bonding)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c) 기계적 접착(mechanical bonding) : 물리적으로 구성섬유를 얽히게 함으로써 웹(web)을 강하게 한다. 이러한 접착은 고압공기나 물 분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늘의 사용으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스티치본딩 방식으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바늘을 사용하여 만든 물품이 부직포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로 한정한다.
- 필라멘트를 기본재료로 한 웹(web);
- 바느질이 그 밖의 다른 유형의 접착을 보완하고 있는 스테이플섬유웹(staple fibre web)
이러한 여러 가지의 접착공정은 때로는 조합하여 시행되기도 한다.

(Ⅲ) 완성가공(finishing)
부직포는 염색·날염·침투·도포(塗布 : coated)·피복·적층되기도 한다. 한 면이나 양면에 방직용 섬유직물이나 그 밖의 다른 재료의 시트(sheet)를 피복한 부직포[거밍(gumming)·봉제·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는 부직포에서 물품의 본질적인 특성이 유래되는 경우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특히 고무·플라스틱이나 이들을 혼합한 접착제를 도포(塗布)한 부직포로 된 접착테이프(adhesive tape)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또한 방직용 섬유를 타르나 이와 유사한 물질로서 응집하여 제조된 특정의 "루핑펠트(roofing felt)"와 이와 똑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나 다만, 소량의 코르크(cork) 파편을 결합한 소위 "역청펠트(bitumen felt)"로 알려진 특정물품도 포함한다.
다만, 제39류제40류에 해당하는 다음 물품은 제외한다.

(a) 부직포를 플라스틱이나 고무 안에 완전히 삽입한 물품과 부직포 양면 모두에 플라스틱이나 고무를 도포(塗布)하거나 피복한 물품으로서 육안으로 도포(塗布)나 피복한 사실을 색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는 것

(b) 부직포와 결합한 셀룰러 플라스틱이나 셀룰러 고무의 판·시트·스트립으로서 방직용 섬유재료가 단순히 보강용으로 사용된 것(제39류 총설의 "플라스틱과 방직용 섬유와의 결합물품(plastic and textile combination)"이라 칭하는 부분과 제4008호의 해설(A) 참조)


부직포는 제조공정이나 접착공정과 섬유와 필라멘트의 밀도·웹(web)의 수량에 따라 두께와 특성(유연성·탄력성·내파열성·흡습성·안정성 등)이 달라진다. 어떤 종류의 부직포는 종이·판지·셀룰로오스워딩(cellulose wadding)·섀미가죽·제5601호의 워딩(wadding)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들은 제조공정 중에 섬유가 소화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는 점에서 종이·판지·셀룰로오스워딩과 구별된다.
결국, 웹(web)과 시트(sheet)의 모든 층과 폭에 걸쳐서 섬유나 필라멘트가 접착되어 있다는 사실이 부직포를 제5601호의 특정 종류의 워딩으로부터 구별하는데 도움을 준다(제5601호 해설 참조).
어떤 부직포는 그 밖의 방직용 섬유직물류와 같이 세탁도 가능하며 비틀어 짤 수도 있다.
이 표의 다른 호에 열거한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의 가공 없이 커다란 조각에서 단순히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으로 절단한 것이나 일정 길이로 절단한 것이나 원단상의 부직포를 포함한다[접어서 제시되었는지 포장(예: 소매용)에 넣어졌는지에 상관없다]. 이 호에는 적층된 플라스틱에 일체가 된 결합용 facing web(overlay); 일회용의 냅킨(diaper)이나 위생용 타월 제조용 탑 시트(top-sheet); 보호용 의류나 의류안감 제조용 직물; 액체나 공기 여과용·충전제용·방음용·도로건설이나 그 밖의 토목공사에서의 여과나 분리용으로 사용하는 시트(sheet); 역청루핑직물(bituminous roofing fabric)의 제조용 바탕; 터프트한 양탄자류 등에 대는 이면재(주·부재료); 손수건·베드린넨(bed linen)·테이블린넨(table linen) 등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도 제외한다.

(a) 의료용붕대·소매용으로 포장한 붕대(제3005호)

(b) 제33류의 향료나 화장품류, 제3401호의 비누나 세척제, 제3405호의 광택제·크림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조제품, 제3809호의 직물유연제 등의 물질이나 조제품을 침투·도포(塗布)·피복한 부직포(방직용 섬유재료가 단순히 매체로 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한다)

(c) 니들룸펠트(needleloom felt)(제5602호)

(d) 제57류의 양탄자류와 그 밖의 부직포로 된 바닥깔개

(e) 제5802호의 터프트(tufted)한 부직포

(f) 볼덕(bolduc)(제5806호)

(g) 원단상의 자수한 부직포[스트립(strip)과 모티프(motif)로 된 것으로 한정한다](제5810호)

(h) 원단상의 방직용 누비섬유제품(박음질과 그 밖의 방법으로 부직포제의 충전재와 조합한 한 층 이상의 방직용 섬유의 재료로 만든 것으로 한정하며, 제5810호의 자수 천을 제외한다)(제5811호)

(ij) 제5911호의 공업용의 부직포

(k) 가루 모양이나 알갱이 모양으로 연마재료를 피복한 부직포(제6805호)·응결운모나 재생운모로 피복한 부직포(제6814호)

(l) 부직포의 뒷면에 부착한 금속박(일반적으로 제14부제15부)

◀ 제5602호 제5604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