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7부 플라스틱과 고무 > 제39류 플라스틱 > 제3904호 염화비닐
HS
제3904호의 해설

39.04 - 염화비닐의 중합체나 그 밖의 할로겐화 올레핀의 중합체[일차제품(primary form)으로 한정한다]

이 호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염화비닐 공중합체(共重合體)·염화비닐리덴 중합체·플루오르(fluoro)중합체와 그 밖의 할로겐 올레핀(halogenated olefin)의 중합체를 분류한다[중합체(공중합체(共重合體)를 포함한다)·화학적으로 변성한 중합체와 혼합 중합체의 품목분류에 대하여는 이 류 총설 참조].
PVC는 가열하였을 경우 한계열안정성(limited heat stability)과 금속표면에 접착하는 성질을 가진 단단하고 무색의 물질이다. 이러한 이유와 또 다른 이유로 염화비닐수지를 가소성 성질로서 이용하기 위하여는 안정제·가소제(可塑劑 : plasticiser)·증량제·충전제 등을 가끔 첨가할 필요가 있다. 유연성의 시트(sheet) 모양으로 된 PVC는 커튼·앞치마·레인코트 등의 방수재료와 가구 제조용의 고급모조 가죽과 여러 가지 승객 수송수단의 실내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한다. 경질(硬質 : rigid)의 PVC 시트(sheet)의 용도는 커버류·덕트(duct)·탱크 라이닝과 화학공장 설비의 그 밖의 수많은 물품의 제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PVC 바닥 타일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염화비닐의 공중합체(共重合體)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축음기 음반과 바닥깔개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共重合體)이다.
염화비닐리덴의 공중합체(共重合體)는 주로 식품 포장용·덮개·파이버(fibre)·브리슬(bristle)과 라텍스 코팅용과 화학처리공정설비 파이프 제조용으로 사용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PTFE)은 플루오르중합체 중 가장 중요한 것의 하나로서 전기·화학·토목공업에서 대단히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높은 작업온도에 견디는 이유로 절연재료로서 우수하며,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으로 거의 파괴되는 일이 없다.
그 밖의 플루오르(fluoro) 중합체에는 클로로트리플루오르에틸렌·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 제3903호 제3905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