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8부 원피·가죽·모피 > 제41류 원피·가죽
HS 표제 품명 해설
4101 소의 원피 소(버팔로를 포함한다)와 마속(馬屬)동물의 원피[생 것·염장한 것·건조한 것·석회처리한 것·산처리한 것이나 그 밖의 방법으로 보존처리한 것으로 한정하고, 유연처리·파치먼트(parchment) 가공이나 그 이상의 가공을 한 것은 제외하며, 털을 제거한 것인지 또는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4102 양의 원피 면양이나 어린 양의 원피[생 것·염장한 것·건조한 것·석회처리한 것·산처리한 것이나 그 밖의 방법으로 보존처리한 것으로 한정하고, 유연처리·파치먼트(parchment) 가공이나 그 이상의 가공을 한 것은 제외하며, 털을 제거한 것인지 또는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다만, 이 류의 주 제1호다목에 따라 제외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4103 기타의 원피 그 밖의 원피[생 것·염장한 것·건조한 것·석회처리한 것·산처리한 것이나 그 밖의 방법으로 보존처리한 것으로 한정하고, 유연처리·파치먼트(parchment) 가공이나 그 이상의 가공을 한 것은 제외하며, 털을 제거한 것인지 또는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다. 다만, 이 류의 주 제1호나목이나 다목에 따라 제외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4104 유연처리한 소의 원피 소(버팔로를 포함한다)나 마속(馬屬)동물의 유연처리나 크러스트 처리한 원피[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이상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
4105 유연처리한 양의 원피 면양이나 어린 양의 유연처리·크러스트 처리한 원피[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이상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
4106 유연처리한 기타 원피 그 밖의 동물의 유연처리·크러스트 처리한 원피[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이상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
4107 소가죽 유연처리·크러스트 처리한 후 그 이상의 가공을 한 소(버팔로를 포함한다)나 마속(馬屬)동물의 가죽[파치먼트(parchment) 가공 가죽을 포함한다][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제4114호의 가죽은 제외한다]
4112 양가죽 유연처리·크러스트 처리한 후 그 이상의 가공을 한 면양이나 어린 양의 가죽[파치먼트(parchment) 가공 가죽을 포함한다][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제4114호의 가죽은 제외한다]
4113 기타 가죽 유연처리·크러스트 처리한 후 그 이상의 가공을 한 그 밖의 동물의 가죽[파치먼트(parchment) 가공 가죽을 포함한다][털을 제거한 것으로 한정하고, 스플릿(split)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제4114호의 가죽은 제외한다]
4114 세무가죽·페이턴트레더 섀미가죽(chamois leather)[콤비네이션 섀미가죽(chamois leather)을 포함한다], 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와 적층한 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 메탈라이즈드 레더(metallised leather)
4115 콤포지션레더·가죽웨이스트 콤퍼지션 레더(composition leather)[가죽이나 가죽섬유를 기본 재료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롤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슬래브 모양·시트(sheet) 모양·스트립 모양으로 한정한다], 가죽이나 콤퍼지션 레더(composition leather)의 페어링(paring)과 그 밖의 웨이스트(waste)(가죽제품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한다), 가죽의 더스트(dust)와 가루
◀ 제40류 제42류 ▶
부주 류주 분류사례 이미지  

제41류 원피(모피는 제외한다)와 가죽

주: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것은 제외한다.

가. 생 원피의 페어링(paring)이나 이와 유사한 웨이스트(waste)(제0511호)

나. 제0505호제6701호의 새의 깃털이나 솜털이 붙은 가죽과 그 부분

다. 털을 제거하지 않은 원피로서 생 것, 유연처리나 드레스가공한 것(제43류). 다만, 소(물소를 포함한다), 마속(馬屬)동물, 면양이나 어린 양[아스트라칸(Astrakhan)·브로드테일(Broadtail)·카라쿨(Caracul)·페르시아 어린 양과 이와 유사한 어린 양, 인도·중국·몽고·티베트 어린 양은 제외한다], 염소(예멘·몽고·티베트 염소는 제외한다), 돼지[페카리(peccary)를 포함한다], 샤무아(chamois), 가젤(gazelle), 낙타(단봉낙타를 포함한다), 순록, 엘크(elk), 사슴, 로벅(roebuck), 개의 털을 제거하지 않은 원피는 제41류로 분류한다.

2. 가. 제4104호부터 제4106호까지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유연처리된(유연전처리를 포함한다) 원피는 제외한다(경우에 따라서는 제4101호부터 제4103호까지로 분류될 수 있다)

나. 제4104호부터 제4106호까지에서 "크러스트"는 재유연처리된 원피와 건조하기 전에 색을 입히거나 기름을 바른 원피를 포함한다.

3. 이 표에서 "콤퍼지션 레더(composition leather)"란 제4115호의 물품만을 말한다.

총설
이 류에서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Ⅰ) 동물의 원피(모양이 큰 네발짐승의 원피)와 그 밖의 원피(깃털이나 솜털을 가진 새의 가죽과 모피는 제외한다)(제4101호부터 제4103호까지). 이들 호는 또한 이 류의 주 제1호다목와 제4101호부터 제4103호까지의 해설에서 규정한 동물의 털을 제거하지 않은 원피도 포함한다.
원피는 유연처리 전에 일련의 준비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알카리 용액(원피를 부드럽게 해주고 보존성을 위하여 사용한 염을 제거해주는)을 침투시키고 탈모와 탈육["플레싱(fleshing)"] 가공을 거친 후 털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용한 석회와 그 밖의 잔존물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물로 세척한다.
또한 제4101호부터 제4103호까지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유연처리[유연전(柔軟前)처리(pre-tanning)를 포함한다]를 거친 털을 제거한 원피를 포함한다. 그러한 처리는 스플릿(splitting) 공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원피를 안정시켜 주며 일시적으로 부패를 막아준다. 이러한 처리를 거친 원피는 마무리하기 전에 추가적인 유연처리가 요구되며 제4104호부터 제4106호까지의 물품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털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유연전(柔軟前)처리(pre-tanning)되거나 그 이상의 추가가공을 한 원피는 이 류의 주 제1호다목에 의해 이 류에서 제외한다.

(Ⅱ) 유연처리되거나 크러스트(crust) 처리되었으나 그 이상 추가 가공되지 않은 원피(제4104호부터 제4106호까지). 유연처리공정은 원피의 부패를 방지하게 해주며 물에 대한 불침투성을 증대시킨다. 탄닌(tannin)은 원피구조에 침투하여 콜라겐과 교차결합을 형성한다. 이것은 비가역 화학반응(irreversible chemical reaction)으로서 물품이 열·빛·땀으로부터 안정성을 갖도록 해주며 원피를 모양내기 쉽고 사용하기 좋게 해준다.
그 다음 단계로 "식물성 유연처리(vegetable tanned)"[특정 목재·원피·나뭇잎 등과 이들의 추출물(extract)을 함유하는 목욕통 내에서], "광물성 유연처리(mineral tanned)"[크로뮴염·철염·백반(白礬 : alum) 등의 광물성 염으로]하거나 "화학적 유연처리(chemically tanned)"(포름알데히드나 특정 합성화학약품으로)를 거치는데 때로는 이러한 공정들을 조합하여 처리하는 때도 있다. 백반과 염의 혼합물로서 중후한 가죽을 유연처리 하는 방법을 헝가리 공법(Hungarian dressing)이라고 하며, 백반(白礬 : alum)으로 유연처리를 할 때는 염·백반(白礬)·알의 노른자위·밀가루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백반(白礬)으로 유연처리 된 가죽은 주로 장갑·의복과 신발 제조에 쓰인다.
유연처리 되거나 유연처리 이상의 추가 가공된 원피는 상거래에서 "가죽(leather)"으로 알려져 있다. 유연처리 이후 건조된 가죽은 "크러스트(crust)" 나 "크러스트 레더(crust leather)"으로 알려져 있다. 크러스트 처리 중에, 크러스트를 매끄럽게 하고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방액이나 기름이 첨가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원피는 건조 전에 재유연처리 되거나 침수(예: 드럼통 속)에 의해 염색될 수 있다.
섀미가죽(chamois leather)[콤비네이션 섀미가죽(combination chamois leather)을 포함한다]을 생산하기 위해 유성 유연처리와 드레스 가공된 면양과 어린양의 원피는 제4114호에 규정하고 있다.

(Ⅲ) 유연처리(tanning)나 크러스트 처리(crusting) 후에 그 이상 가공한 가죽(제4107호·제4112호·제4113호). 유연처리나 크러스트 처리 후, 원피 표면의 불균질을 없애고 좀 더 유연하고 방수성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종종 부가적인 가공["무두질 하는 것(currying)"]을 거친다. 이러한 추가 공정은 표면을 유연(softening)·신장(stretching)·박연(thinning)·타연(beating)·경화(hardening) 시키는 과정과 기름으로 "침지(stuffing)" 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공정을 거친 가죽은 그 이상의 드레스 가공이나 완성가공 공정을 거치는 것도 있다. 즉, 다른 종류의 가죽을 모조하기 위한 표면 물감이나 도료의 도포, 은면가공이나 각인을 하거나 스웨이드(suède) 상태나 벨벳(velvet) 상태로 하기 위해 가죽 내측면(때로는 은면)을 사이징·윤택·연마[버핑(buffing)]처리하거나 왁스처리·흑염(blacking)·윤골화(smoothing)
[글레이징(glazing)]·광택처리(satin finishing)·날염(printing) 등의 공정을 거친다.
파치먼트 가공을 한 가죽(parchment-dressed leather)은 원피를 유연처리 한 것이 아니라 원피의 보존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처리단계를 거친 것이다. 이 원피를 유연화·털을 제거·탈육·세척하고 프레임으로 신장시킨 후 백악(whiting)과 소다나 소석회(消石灰)를 함유하는 페이스트(paste)로 도장하고 필요한 두께로 깎아 부석으로 연마하여 최종적으로 아교와 전분으로 드레스 가공을 한다.
"벨럼(vellum)"이라고 불리는 고급품질의 가죽은 어린 소의 원피로 제조한다. 이러한 고급품질의 가죽은 중요서류나 책의 표지와 드럼피(drum-skin) 등으로 사용한다. 두꺼운 원피(즉, 몸집이 큰 소의 것이 보통이다)는 이와 유사하게 처리 가공하여 ["로하이드(rawhide)"로 알려져 있다] 기계부분품 제조를 위하여 사용하거나 공구, 여행용구 등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Ⅳ) 섀미가죽(chamois leather); 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와 적층한 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 메탈라이즈드 레더(metallised leather)(제4114호). 제4114호는 특별히 호의 표제에서 명명된 가죽과 특정 마무리 공정에 의해 생산된 가죽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호에는 섀미가죽(chamois leather)[콤비네이션 섀미가죽(combination chamois leather)을 포함한다]을 생산하기 위해 기름으로 유연처리되고 드레스 가공된 면양과 어린양의 원피를 포함하며; 바니시(varnish)·래커(lacquer)나 미리 성형한 플라스틱의 시트(sheet)를 도포하거나 피복한 가죽[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나 적층한 페이턴트 레더(patent leather)]; 그리고 금속 가루나 금속 박(箔 : foil)으로 도포한 가죽[메탈라이즈드 레더(metallised leather)]

(Ⅴ) 가죽이나 가죽섬유를 기본 재료로 한 콤퍼지션(접착) 레더[composition (bonded) leather)](제4115호)

(Ⅵ) 가죽과 콤퍼지션레더(composition leather)의 페어링(parings)과 그 밖의 웨이스트(waste)(제4115호). 이 호는 원피나 모피의 페어링(parings)과 이와 유사한 웨이스트(waste)는 포함하지 않는다.


원피와 가죽은 전신(원피와 가죽의 모양은 동물의 윤곽을 지니고 있으나, 머리와 다리부분의 원피가 제거된 것도 있다)의 모양이든 일부분[예: 사이드(side)·숄더(shoulder)·버트(butt)·벤드(bend)·벨리(belly)·취크(cheek)]의 모양이든 스트립(strip)모양의 것이든 시트(sheet)모양의 것이든 모두 이 류에 분류하나; 특별한 모양으로 절단한 가죽은 다른 류, 특히 제42류제64류의 제품으로 간주한다.
스플릿(split)한 원피와 가죽은 각각 스플릿(split)되기 전의 전신의 원피나 가죽을 분류하는 동일 호에 분류한다. 스플리팅(splitting)은 원피를 둘 이상의 층으로 수평적으로 나누는 과정이며 유연처리단계를 전후하여 이루어진다. 스플리팅의 목적은 가공 처리를 위하여 두께를 보다 고르게 하고 그리하여 보다 균질한 최종 가죽을 얻는데 있다. "그레인 스플릿(grain split)"으로 알려져 있는 원피의 바깥쪽 즉 그레인층(grain layer)은 원피를 엔드리스(endless) 밴드 나이프(band-knife)에 통과시켜 평평하게 함으로써 수밀리미터까지의 정확도를 갖도록 한 것이다; "플레시 스플릿(flesh split)"으로 알려져 있는 바닥 층은 모양이나 두께가 일정치 않다. 물소의 것과 같이 예외적으로 두꺼운 원피로부터는 여러 개의 층이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는 중간층은 바깥층에 비하여 구조가 약하다.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