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14 - 그 밖의 시계의 부분품
이 호에는 다음의 열거한 것 이외의 모든 시계의 부분품을 분류한다.(A) 이 류의 주 제1호에서 제외하는 부분품 (1) 추·시계용 유리·워치체인·볼베어링(ball bearing)과 베어링볼(bearing ball)(예: 자기권양 시계용) (2) 제15부의 주 제2호에 규정한 범용성 부분품 예: "스크루(screw)[브리지(bridge)·용두(龍頭)·문자판·톱니장치·클릭(click)·앤드 스톤 캡(end-stone cap)이나 인덱스 디스크·요크(yoke)·세팅레버 등]·테이퍼핀(taper pin)·클록체인(clock chain)·문자판용 숫자(제15부)나 이와 유사한 플라스틱으로 만든 물품(제39류), 귀금속이나 귀금속을 입힌 금속(일반적으로 제7115호) 이러한 부분품은 각 해당되는 호에 분류한다. 그러나, 시계용 스프링(메인스프링·헤어스프링 등)은 이 호로 분류한다. (B) 이 류의 다른 호에 특별히 포함되는 부분품[예: 제9108호나 제9109호의 완전한 무브먼트와 조립 무브먼트·제9110호의 무브먼트세트(movement set)·불완전한 시계의 무브먼트·조립이나 러프(rough)한 시계의 무브먼트·제9111호나 제9112호의 케이스와 제9113호의 휴대용 시계의 줄·밴드·팔찌] 위의 (a)나 (b)에 해당하는 것을 제외하고 시계와 그 밖의 물품(예: 완구·계기나 측정기기·정밀기기)에모두 적합한 부분품(스프링·전달장치·보석·지침 등)은 이 호로 분류한다(이 류의 주 제4호 참조). 다만, 시계용 부분품으로 명백히 인정되지 않는 부분품[예: 타임 레지스터(time-register)용의 인쇄장치나 합산장치와 제9106호나 제9107호의 물품에 사용하는 그 밖의 부분품]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 이 호에서는 시계 부분품의 블랭크(blank)로 인정되는 물품을 포함하나, 시계 부분품으로 인정할 수 없는 금속편[예: 지판·브리지(bridge) 등으로 선반으로 절삭하거나 어떤 형태로 거칠게 절단만 하고 천공 등의 가공을 하지 않은 것 등]은 이 호에 포함되지 않고 그 구성 재료에 따라 분류한다. 이 호에 해당되는 시계 부분품에는 연마하지 않은 것·연마한 것·니켈을 도금한 것·로듐을 도금한 것·은장한 것·바니시(varnish) 도장한 것 등·보석을 붙인 것이 있다. 위의 규정에 의하여, 이 호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시계 부분품을 분류한다.(A) 휴대용 시계의 무브먼트(movement)의 부분품(구조의 복잡성에 상관없다) 여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프레임(frame) : 지판(과 어떤 추가적인 판)·브리지(bridge)[태엽통·중심륜·삼번륜·사번륜·밸런스 휠(코크)·탈진기·셋팅 휠(setting wheel) 등의 것] (2) 구동기구(driving mechanism) : 메인스프링·태엽통·태엽통 덮개·배럴 아버(barrel arbor)와 톱니장치·클릭스프링 (3) 윤열(輪列 : train) : 중심륜과 중심륜 피니온·삼번륜과 삼번륜 피니온·사번륜과 사번륜 피니온 (4) 일(日)의 이륜열(裏輪列 : motion work) : 캐넌 피니온(cannon pinion)·분륜 피니온(minute wheel pinion)과 분륜·시륜(hour wheel) (5) 탈진기(escapement)[앵커식·레버식·핀 팰릿(pin pallet)식·실린더식·디텐트(detent)식 등] : 탈진륜(escape wheel)과 피니온·레버·팰릿 스태프(pallet staff)·롤러(roller)·팰릿 스톤·임펄스핀(impulse pin)·실린더 (6) 조정기(regulating device) : 밸런스·밸런스 스태프·헤어스프링[평면형, 브레게(Bréguet)형, 실린더형]·음차(tuning fork)·스터드(stud)·콜릿(collet)·조정기·인덱스스터드(index stud)·엔드 스톤 캡(end-stone cap)이나 인덱스디스크(index disc)·조정스프링·로워 캡 주얼 엔드피스(lower cap jewel end-piece)[내(耐)충격 장치용의 특수 부분품을 포함한다]. (7) 태엽감는 기구(winding mechanism)과 시각맞춤기구(setting mechanism) : 용두(龍頭 : crown)·용두감기와 피니온·클러치휠(clutch wheel)·세팅휠(setting wheel)·크라운 래칫휠(crown ratchet wheel)·크라운 휠 코어(crown wheel core)·요크(yoke)(로킹바 : rocking bar)·세팅레버(setting lever)·세팅레버 스프링과 요크 스프링(yoke spring) (8) 전자식 무브먼트의 부분품 : 휴대용 시계의 회로, 예를 들면, 인쇄접속자가 정열된 절연기판과 프린팅 이외의 방법으로 만든 그 밖의 구성요소[예: 코일(coils)·축전기·저항기·다이오드·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으로서 집적회로를 함께 갖춘 경우도 있다. (9) 플랫폼 탈진기(platform escapement) : 지판·브리지(bridge)·탈진기·밸런스휠(balance-wheel)·헤어스프링과 시계의 무브먼트의 조정기로 구성되며 윤열(train)이 있는 것인지에는 상관없다. 이러한 것은 조정되는 탈진기와 함께 조립되어 있는 것인지 조립되지 않은 것인지에는 상관없이 이 호로 분류한다. 조립한 플랫폼 탈진기는 시계의 무브먼트(타임레지스터·타임스위치 등)를 사용하는 전 기기류에 결합되어 사용하기도 하며 간혹 소형시계나 자명종시계에 결합되어 사용하기도 한다. (B) 시계나 자명종시계 무브먼트(movement)의 부분품 이러한 무브먼트 부분품의 대부분은 휴대용 시계의 무브먼트의 부분품과 원칙적으로 유사하지만 그보다 대형이다. 클록 무브먼트(clock movement) 특유의 부분품에는 진옥(weigh drum)·진자(pendulum)·보정진자[수은·인바스탬(invar stem) 등]·크러취(crutch)·버즈(verge)·버즈휠(verge wheel)·반동식 탈진기·직진[또는 그러햄(Graham)] 탈진기(escapement) 등·독립 와인딩키(winding key)를 포함한다. 자명종시계 무브먼트의 부분품에는 고착된 와인딩키(winding key)와 세팅용 손잡이를 포함한다. (C) 타종장치의 부분품 (1) 자명종 시계의 타종장치(striking work of alarm clock) : 정지구(stop or detent)·각목(刻目)한 환관(notched collar)·방출륜(release wheel)·탈진륜(escape wheel)·인덱스 스태프(index staff)·팰릿(pallet)·타종 해머 등 (2) 클록(clock)의 타종장치[록킹 플레이트(locking plate)형·래크(rack)형 등] : 드럼(drum)이나 배럴(barrel)과 배럴휠(barrel wheel)·로킹플레이트(locking plate)·그레이트휠(great wheel)·핀휠(pin wheel)·3번륜(third wheel)·워닝휠(warning wheel)·플라이(fly)·디텐트(detent)·레버(lever)나 플라이스프링(fly spring)·리피터랙(repeater rack)·스네일(snail)·해머(hammer)·리프팅 피스(lifting piece)·아버(arbor)·플라이휠(fly wheel)·개더링 팰릿(gathering pallet)·랙(rack)·볼(ball)·공(gong)·차임(chime) (D) 보석 이 범주에는 가공된 석(보석) 즉, 정형(turned)·절단·연마·천공 등이나 장착[세팅이나 (screw)]된 것에만 한하여 포함한다. 따라서 가공하지 않은 것이나 거칠게 자른 보석은 제외한다(제71류). 시계용의 보석은 보통 극히 작고 직경과 두께가 각각 2㎜와 0.5㎜를 초과하는 것은 드물다. 시계 제조에 사용하는 주된 석은 천연이나 합성의 루비·사파이어와 가닛(garnet)(석류석) 때로는 다이아몬드를 사용한다. 값싼 시계에 있어서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보석대신에 금속캡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시계용 보석은 지지되는 부분품의 명칭에 따라 정해지는데 예를 들면, 중심륜용 보석·삼번륜용 보석·사번륜용 보석·탈진륜용 보석·팰릿스태프(pallet staff)용 보석 밸런스 휠용 보석이다. 원통형 선회축의 베어링은 천공된 보석이나 천공된 보석과 고형보석(solid jewel : end-stone)으로 되어 있으며 원추형의 공동(空洞 : cavity) 보석으로 된 것도 있다. 레버식 탈진기를 갖춘 시계에는 베어링으로 사용하는 둥근 보석 외에도 특수한 모양의 세 개의 보석, 즉 두 개의 팰릿(pallet)석[팰릿(pallet)의 각 단말에 부착된 사용 보석]과 한 개의 진석(振石)(보통 롤러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반원이나 삼각형의 단면으로 된 보석)이 부착되어 있다. 보석의 삽입은 손으로 하거나 부착된 보석을 사용하기도 하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압축에 의하는 것이 있다. (E) 문자판(dial) 문자판(dial)은 시·분·초를 지시해 주는 디비전(division)이나 숫자를 각목한 판으로서 평면이나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판은 보통 은과 금으로 도금한 것·페인트 도장한 것·산화피막처리나 그 밖의 처리를 한 황동제의 것·에나멜을 도포한 동제·금제나 은제의 것, 때로는 지제·유리제·플라스틱제·도자제의 것도 있다. 숫자(figure)와 명각(名刻 : inscription)은 여러 가지의 방법(전사·착색·각인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문자판은 형광성 수자나 기호를 가지기도 한다. 문자판은 금속제의 스크루(screw)·핀·외환(外環 : outer ring)에 의하여 지판(또는 "다이얼플레이트(dial plate)"로 불리는 추가 외판)에 고정되어 있다. (F) 지침(hand) 지침은 시·분·초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호에는 크로노그래프(chronograph) 시계용의 특수한 지침과 자명종시계 등 용도의 지침도 포함한다. 시계 지침에는 평면이나 곡면으로 된 것이 있으며, 철강제·황동제·구리제로서 일반적으로 연마된 것·산화피막처리를 한 것·니켈을 도금한 것·크로뮴을 도금한 것·은이나 금을 도금한 것·래커를 도장한 것이 있으며; 때로는 금제의 것과 골제의 것도 있다. 형광성지침은 방사성염(방사성토륨·메소토륨 등)을 기본재료로 한 화합물로 충전된 "윈도우(window)"를 가지고 있으며, 지침에는 문자판의 형식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된 다수의 형의 것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