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06 - 도자제의 관(管)·도관(導管)·홈통과 관(管)의 연결구류
이 호에는 일반적으로 연결해서 액체의 배수용이나 배분용에 사용하도록 설계한 비내화성의 관(管 : piping) 등을 분류한다. 이들은 여러 가지의 모양이나 부분[직관·곡관·다지관·직경이 고정된 관(管)·직경이 변화되는 관(管) 등]일 수 있으며 유약처리한 경우도 있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1) 저온 소성처리만 하여 조잡하게 완성 가공한 다공질(多孔質) 도자제의 농업용·원예용의 배수관 (2) 그 밖의 관(管), 도관(導管)과 홈통[예: 빗물의 배수관·하수구 관(管)·절연용으로 설계하지 않은 전선보호관·홈통이나 홈 모양의 반형관(半形管 : half tube)·벽용 배수관 등] 이러한 관(管) 등은 유약처리하지 않은 보통 도자제인 경우도 있고 때에 따라서는 유약처리나 유리질화함으로써 불침투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예: 화학용의 관(管)]. (3) 연결용이나 분기용의 관(管)의 연결구류[고리(collar)·플랜지(flange)·엘보(elbow)·T자형의 관(管 : T-piece)·클린 아웃 트랩(clean out trap)등]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관(管) 모양의 굴뚝용 부분품(예: 굴뚝통·굴뚝갓·굴뚝용 내장재·연도용 블록 등)(제6905호) (b) 실험실용으로 특별히 설계한 작은 관류(管類 : tube·tubing)(예: 연소(燃燒)관)로서 일반적으로 도기제의 것(제6909호) (c) 전기절연용의 전선관(electric conduit tubing)과 조인트(joint)와 모든 전기용 관(管) 모양 연결구류(특히 제8546호와 제8547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