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04 - 철도나 궤도의 유지용이나 보수용 차량[자주식(自走式)의 것인지에 상관없다][예: 공작차(workshop)·기중기차(crane)·밸러스트 템퍼(ballast tamper)·트랙라이너(trackliner)·검사차·궤도검사차]
이 호에 분류하는 차량[자주식(自走式)의 것인지에는 상관없다]은 예를 들면, 철도의 고정 선로와 궤도 주위의 구조물의 설치·보수·유지에 사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었다. 이 호에서는 다음 물품을 포함한다.(1) 공구·공작기계·발전기·리프팅 기계[잭·호이스트(hoist) 등]·용접기·체인·케이블 등을 갖춘 작업차 (2) 응급 작업차와 그 밖의 기중기차(crane lorry); 기관차나 객차를 인양하는 기중기차; 레일을 리프팅하거나 부설하기 위한 기중기차; 역구 내에서의 적하용이나 양하용의 기중기차 (3) 윈치트럭(winch truck) (4) 청소용이나 자갈 따위를 다지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수 장치를 갖춘 차량 (5) 궤도용의 시멘트 혼합기기를 갖춘 트럭(전선용 철탑 등의 기초 공사를 하기 위한) (6) 계량대의 측정용 트럭 (7) 전선의 가설과 유지를 위한 발판 차량(scaffold truck) (8) 제초용 약제 분사차 (9) 궤도유지용의 자주식(自走式) 차량[특히 철도용의 트랙라이너(trackliner)] : 한 개 이상의 엔진을 갖추고 있어서 궤도부설장치·밸러스트 탬퍼(ballast tamper) 등 차량에 장착된 작업기계에 동력을 공급하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차량을 구동시킬 뿐 아니라 작업기계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자주식(自走式)의 장치로 궤도를 따라 속히 이동시킬 수 있다. (10) 엔진·브레이크 등의 작동검사용의 자동기기와 같은 특수 장치를 갖춘 철도 검사차(예: 적재하중의 측정용과 레일·궤도바닥·다리 등의 결함 검사용의 것); 운행 중에 궤도의 여러 가지 불규칙 상태를 기록하는 트랙 검사용 차량 (11) 기계구동식의 궤도검사용 트롤리[모터를 갖춘 레일 사이클(rail cycle)을 포함한다]로서 철도 역무원이 궤도유지용으로 사용하는 것 : 이들은 보통 내연기관을 갖추었고, 자주식(自走式)이며, 유지 작업 요원과 궤도를 따라 운반되는 자재의 양쪽을 급히 운반하는 수단으로 제공한다. (12) 비기계 구동식의 궤도검사용 트롤리[레일사이클(rail cycle)을 포함한다] : 철도 검사 요원이 사용한다(예: 손이나 발 구동식의 것). 바퀴가 달린 플랫폼에 단순히 장착되고 철도나 전차의 하부 구조에 장착되지 않은 기계·측정기구와 그 밖의 장치(즉, 사실상 철도나 궤도차량을 구성하는 것이 아닌 것) 이 호에서 제외하고 그 밖의 열거 호에 분류한다(제8425호·제8426호·제8428호·제8429호·제8430호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