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13 - 액체펌프(계기를 갖추었는지에 상관없다)와 액체엘리베이터
이 호에는 액체[용융(鎔融 : molten)된 금속과 응고되지 않은 콘크리트(concrete)를 포함한다]를 퍼올리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대부분의 기계와 기구가 포함되며 수동식이나 동력구동식(원동기와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인지에 상관없다. 이 호에는 주유소에서 급유에 사용하는 계기나 대금 계산기구를 갖춘 급유펌프와 그 밖의 기계와 차량 등에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펌프[내연(內燃 : internal combustion)기관의 급유용이나 급수용 펌프와 인조섬유의 방적기계 펌프를 포함한다]를 포함한다. 이 호의 기계는 작동 시스템에 따라서 다음의 다섯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A) 용적형 왕복펌프(reciprocating positive displacement pump) 이 펌프는 실린더(cylinder) 내에서 동작하는 피스톤(piston)이나 플런저(plunger)의 선형(線型) 흡인이나 압출 동작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흡입과 토출(吐出)은 밸브에 의하여 조절된다. "단동(單動 : single acting)" 펌프는 피스톤의 단면의 추력이나 흡인만을 이용하는 것이며; "복동(複動 : double acting)"식 펌프는 피스톤의 양면의 전후진의 행정을 이용하는 것이다. 간단한 "리프트(lift)"펌프에 있어서는 액체는 다만, 흡인에 의하여 양수(揚水)되어 대기 중에 방출된다. "압상(押上 : force)"펌프는 액체를 높은 곳으로 밀어올리거나 압력 용기로 방출하기 위하여 압축행정 외에 흡입행정도 사용한다. 다기통펌프(multi-cylinder pump)는 토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실린더(cylinder)는 선형의 것일 수 있고 별모양의 것일 수도 있다. 이 범주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다이어프램펌프(diaphragm pump) : 이 펌프는 금속으로 만든 것이나 가죽으로 만든 것 등의 진동막(직접이나 액체의 이동에 의하여 작동한다)을 갖추고 있으며 액체는 빨아올리기 위한 피스톤(piston)과 같은 작용을 한다. (2) "오일-쿠션"펌프(oil-cushion pump) : 배수용·관개용·점성 액체나 산(酸) 등의 흡상용(吸上用 : pumping) 등에 사용하며 퍼올린 액체가 막(膜 : membrane)으로 작용한다. (3) 전자기(電磁氣)펌프 : 이 펌프에는 피스톤(piston)의 전후진의 행정은 전자(電磁)작용(자계내에 있는 윙의 진동)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4) 응고되지 않은(젖은) 콘크리트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펌프(콘크리트 펌프)와 같이 두 개의 피스톤의 흡인이나 압출운동을 이용하는 기계 : 다만, 이 호의 콘크리트 펌프가 함께 영구적으로 부착된 특수용의 차량은 제외한다(제8705호). (B) 용적형 회전펌프(rotary positive displacement pump) 이 펌프에 있어서 액체의 흡인과 토출(吐出 : discharge)은 흡인과 압축에 의하여 행하여지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캠(cam : lobe)이나 이와 유사한 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며, 축상(軸上 : axis)에서 연속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장치는 펌프 본체의 벽에 하나 이상의 점으로 접촉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체임버(chamber)를 형성하며 그 체임버 속에 액체는 배수된다. 이들은 회전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기어펌프(gear pump) : 액체는 특수한 형체의 기어(gear)의 이(齒)에 의하여 배수된다. (2) 베인펌프(vane pump) : 로터(rotor)는 편심(偏心 : eccentric)으로 회전하는 실린더(cylinder) 모양의 것으로서 반경 방향으로 급격하게 자유로이 움직이는 토출익(吐出翼 : projecting vane)을 갖는다. 그 회전운동은 슬라이딩 베인(sliding vane)이 케이싱(casing) 내벽과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해주며 그렇게 함으로써 액체가 배수되는 것이다. 이 범주에는 또한 베인(vane) 대신에 소형의 신축성이 있는 베인을 갖춘 롤러(roller)나 휠(wheel)을 갖거나 펌프의 본체에 부착된 방사형의 슬라이딩 베인(sliding vane)을 갖는 것으로 편심(偏心)운동과 함께 회전하면서 평활한 로터(rotor) 위에서 마찰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3) 로터리 피스톤 로브형의 펌프(rotary piston lobe type pump) : 케이싱 속에서 회전되는 두 개의 상호작용 배수장치를 갖는다. (4) 나선 펌프(helicoidal pump : screw pump) : 이들에 있어서 액체는 수개의 나선 모양의 줄(thread)이 서로 교합되고 회전하는 압력에 의하여 펌프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수된다[둘 이상의 스크루(screw)를 갖춘 펌프·나선상의 축을 갖춘 펌프·엔드리스 스크루 펌프(endless screw pump)]. (5) 연동펌프(peristaltic pump) : 이들은 하우징(housing) 본체의 길이를 따라 흐르는 액체가 함유된 신축성이 있는 관(flexible tube)과 각 끝에 롤러(roller)를 갖춘 로터(rotor)를 갖는다. 롤러는 신축성이 있는 관 위에 압력이 미치게 하고 액체는 회전운동에 의하여 배출된다. (C) 원심펌프(centrifugal pump) 이 형식의 펌프에서 액체는 축방향으로부터 유입되며 로터(rotor)의 회전 블레이드(blade)[임펠러(impeller)]에 의하여 회전이 시작되고 그 결과 원심력에 의하여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 토출구(吐出口 : outlet)를 갖춘 환상(環狀 : annular)의 케이싱(casing)의 원주 방향으로 향하여 흘러가게 된다. 케이싱에는 액체의 운동에너지를 고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분기익(divergent vane : diffuser vane)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고압면에 있어서는 다단식 원심펌프를 사용하며 액체는 동일한 축에 부착된 다수의 임펠러(impeller)를 통하여 각 단으로 유도된다. 원심펌프는 전동기·내연기관이나 터빈에 의하여 구동된다. 피스톤(piston) 펌프와 회전펌프는 감속 기어를 통하여 구동되어야 하나 이 형의 펌프는 고속회전을 하기 때문에 원동기에 직결하여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그룹에는 또한 수중펌프·중앙난방 순환펌프·채널 임펠러펌프(channel impeller pump)·사이드채널펌프(side channel pump)와 원심임펠러펌프(radial flow impeller pump)를 포함한다. (D) 그 밖의 펌프 다음의 펌프는 이 그룹에 해당한다. (1) 전자기펌프(electro-magnetic pump) : 이들 펌프는 액체가 전기 전도의 현상에 의하여 순환되기 때문에 가동 부분이 없다. 이들 펌프는 피스톤(piston)의 안팎 운동이 전자기효과에 의하여 얻어지는 용적형 왕복 펌프와 혼동해서는 안되며, 그 기능이 자기유도에 의한 것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2) 이젝터(ejector : 배수 펌프) : 이러한 형의 펌프에 있어서는 관(tube)으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에 의한 공기·증기·물 등의 분사된 운동에너지는 처리되는 액체에 대하여 흡인 효과를 유발시킨다. 이들 펌프는 밀폐된 체임버(chamber) 속에 설치된 확산용이나 집중용의 복잡한 파이프 장치로 구성되며 이 체임버에서 파이프 장치가 나온다.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지파드(Giffard)형의 분사기와 피스톤(piston)식 내연기관용의 분사펌프는 똑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이 호에 분류한다. (3) 에멀젼 펌프(emulsion pump : gas lift pump) : 이들에 있어서 액체는 배출관 내에서 압축가스와 혼합되며, 유제화된(乳劑化 : emulsified) 액체의 밀도가 감소됨으로써 양수(揚水)가 이루어진다. 압축공기를 사용할 경우 펌프는 공기양수 펌프가 되는 것이다. (4) 증기나 가스 압력에 의한 펌프는 직접 액체의 표면에서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 가스연소펌프 : 이것은 액체를 양수(揚水 : lift)하기 위하여 적절한 연료나 가스의 폭발력을 사용한다. (b) 증기 맥동기(蒸氣脈動機 : steam pulsator)(기압 양수기 : pulsometer) : 펌핑되어 올라 온 액체의 수급은 맥동기의 체임버(chamber)에 들어오는 증기의 변위(displacement)로 이루어지며 흡인은 체임버 속에서 증기가 응축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압력강하에 의하여 생기게 된다. (c)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압축공기식 체임버 엘리베이터(Monteju) (d) 액압식 램(hydraulic ram) : 공급선 내에서 액체의 흐름을 주기적으로나 갑자기 멈추게 함으로써 그 결과로 유동 액체 기둥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기기의 배출관 속에 들어갈 액체만큼을 펌핑하는데 사용한다. (E) 액체엘리베이터(liquid elevator) 액체엘리베이터(liquid elevator)에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1) 버켓(bucket)·스쿠프(scoop) 등이 부착된 엘리베이터 휠(wheel) (2) 버켓(bucket)·스쿠프(scoop)·고무로 만든 컵 등이 부착된 체인식이나 케이블식 엘리베이터 (3) 밴드엘리베이터(band elevator) : 이 물품은 섬유나 금속으로 만든 엔드리스밴드(endless band)(물결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 다세포 모양의 것이나 나선 모양의 것)로 구성되며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모이며 원심력에 의하여 토출(吐出 : ejected)된다. (4) 아르키메데스 스크루(Archimedean screw)식의 엘리베이터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에 분류하는 기기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러한 부분품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펌프의 하우징(housing)이나 보디; 원동기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설치된 펌프의 피스톤(piston)에 접속하여 구동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로드(예: 펌핑로드·"서커로드(sucker rod)"); 피스톤(piston)·플런저(plunger)·베인(vane); 캠(cams : lobe); 나선 스크루(screw)·임펠러 휠(impeller wheel)·확산익(擴散翼 : diffuser vane); 버켓(bucket)과 버켓이 부착된 체인(chain); 밴드식의 액체엘리베이터용 밴드; 압력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도자제 펌프[예: 부식성 약액(腐蝕性藥液 : corrosive fluid)용](제6909호) (b) 수동식의 오일 캔(oil can)과 그리스건(grease gun)(제8205호)과 압축공기식 그리스건(grease gun)(제8467호) (c) 제8422호에 해당하는 병주입기 (d) 액체의 분사용·살포용(撤布用 : dispersing)이나 분무용의 기기(제8424호) (e) 소방차(제8705호) [소호해설] 소호 제8413.11호와 제8413.19호 이 소호에는 액체가 배출되는 양의 용적 조정이 가능한 기기를 갖춘 유닛을 형성하거나 형성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어느 형의 것이든 이러한 펌프만을 포함하며, 이러한 계기가 펌프와 동시에 제시하는 것인지에 상관없다. 이러한 조절계기는 매우 단순한 것도 있고[예: 눈금이 매겨진 구(球)나 유닛], 반대로 주어진 액체의 전량이 배출되면 펌프가 자동적으로 정지되게 조절되는 더욱더 복잡한 기계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있으며[예: 눈금이 매겨진 실린더(cylinder)(측정용 실린더)로 구성되는 배송 펌프로서 한편에는 요구량의 한계를 정해 놓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리 정해 놓은 양이 되었을 때 펌프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가 있는 것], 본래의 용량제어와 연결시켜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있다[예: 총량 집계용 펌프·선급 펌프(prepayment pump)·가격계산 펌프·샘플링(sampling) 펌프·자동혼합조절 펌프와 자동조제 펌프]. 다른 한편, 예를 들면, 측정계기가 펌프의 유동에 의하여 액체가 움직이는 관에 단순히 부착되도록 설계된 경우 이들 두 장치는(펌프와 측정계기) 비록 함께 제시하였을지라도 각 해당 호에 분류한다. 이들 소호에는 예를 들면, 식료품가게·실험실과 여러 가지 공업 활동에서 사용하는 측정계기를 갖춘 펌프는 물론 가솔린이나 모터(motor)용 연료와 윤활유 급유용의 펌프를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