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14 - 철이나 비합금강의 그 밖의 봉[단조(鍛造)·열간(熱間)압연·열간인발(熱間引拔)·열간(熱間)압출보다 더 가공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고, 압연 후 꼬임가공된 것을 포함한다]
그 밖의 봉(bar·rod)은 이 류의 주 제1호타목에 정의되어 있다. 이 호의 봉은 보통 블룸(bloom)·빌릿(billet)·퍼들바(puddled bar)나 파일링(piling)을 열간(熱間)압연(hot-rolling)이나 단조(鍛造 : forging)하여 만든다. 이들은 또한 열간인발(熱間引拔 : hot-drawing)이나 열간(熱間)압출(hot-extrusion)로 제조하는 때도 있다. 일반적으로 봉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그 밖의 압연·단조(鍛造 : forging)나 인발(引拔 : drawing)제품과 구별된다.(1) 퍼들바(puddled bar)(제7206호)·블룸(bloom)·빌릿(billet)·라운드(round)·슬래브(slab)와 시트바(sheet bar)(제7207호)보다 더 정교하고 완성된 외양을 가지고 있다. 이들 횡단면은 균일하며,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것인 경우에는 예리한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2) 그들은 제7208호나 제7211호의 제품보다 폭에 비해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 호의 봉은 주로 일직선 길이 상태나 구부려 접은 다발 상태로 인도된다. 이 호의 제품은 다음과 같은 표면 처리를 거친 것일 수도 있다.(1) 금속의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된 산화스케일(oxide scale)과 크러스트(crust)를 제거하기 위한 스케일제거(descaling)·피클링(pickling)·스크레이핑(scraping)과 그 밖의 공정 (2) 오직 부식(腐蝕)이나 그 밖의 산화(酸化)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운송 중 미끄럼을 막으며, 활성방청안료[예를 들면, 적연·아연가루·산화아연·크로뮴산아연·산화철(연단철·쥬얼러 루즈(jeweller rouge)]를 함유한 착색(페인트)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거친 코팅(coating)과 오일(oil)·그리스(grease)·왁스(wax)·파라핀왁스(paraffin wax)·흑연(graphite)·타르(tar)나 역청(bitumen)을 기본 재료로 한 비안료 코팅 (3) 시험목적으로 금속의 일부분을 떼어내는 것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1) 요철 모양[예: 치형·그루브형·플랜지(flange)형]으로 압연되는 봉으로서, 그들의 횡단면 모양이 이 류의 주 제1호타목에서 규정한 기하학적 모양 중의 하나와 일치되는 것으로 한정하며; 이러한 요철 모양은 단지 콘크리트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2) 압연 후 개별적으로 꼬아서 만든 봉으로,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수직 플랜지(flange)를 갖게 압연한 봉을 꼬아서 나선 모양을 만든 것[강(鋼)"twist"]; 그리고 (3) 운송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 봉 그러나, 이 호에서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둘 이상의 압연된 봉을 함께 꼬아서 만든 제품(제7308호) (b) 봉에서 절단해 낸 조각으로 길이가 횡단면의 최대 치수 이하인 것(제7326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