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절 유기-무기화합물·헤테로고리화합물·핵산과 이들의 염, 술폰아미드 (제2930호 - 제2935호)
총설 : 제2930호와 제2931호에 분류하는 유기-무기의 화합물은 그 분자 중에 수소, 산소나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이외에 이들의 금속이나 그 밖의 비(非)금속(non-metal)원자(예: 황, 비소 수은, 납, 철 등)가 탄소 원자와 직접 결합된 유기화합물이다. 제2930호(유기 황화합물)와 제2931호(그 밖의 유기-무기화합물)에는 수소, 산소와 질소가 아니고 다만, 탄소가 술폰화(sulphonated)유도체나 할로겐화(halogenated)유도체(복합유도체)의 특성을 부여하는 황이나 할로겐의 원자와 직접 결합된 술폰화(sulphonated)유도체와 할로겐화(halogenated)유도체(화합물유도체)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에는 헤테로고리(heterocyclic) 화합물을 분류한다. 헤테로고리(heterocyclic)"화합물은 하나나 그 이상의 고리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서 탄소 원자 이외에 그 밖의 원소의 원자 즉, 산소, 질소나 황과 같은 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헤테로고리기를 유도한다.(A) 5원 고리(환) (1) 한 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함유하는 것 (a) 산소원자 : 푸란기(furan group)(제2932호) (b) 황원자 : 티오펜기(thiophen group)(제2934호) (c) 질소원자 : 피롤기(pyrrole group)(제2933호) (2) 두 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옥사졸(oxazole)과 이소옥사졸기(isoxazole group)(제2934호) (b) 한 개의 황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티아졸기(thiazole group)(제2934호) (c) 두 개의 질소원자 : 이미다졸(imidazole group)과 피라졸기(pyrazole group)(제2933호) (3) 세 개나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두 개의 질소원자 : 푸라잔기(furazan group)(제2934호) (b) 세 개의 질소원자 : 트리아졸기(triazole group)(제2933호) (c) 네 개의 질소원자 : 테트라졸기(tetrazole group)(제2933호) (B) 6원 고리(환) (1) 한 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함유하는 것 (a) 산소원자 : 피란기(pyran group)(제2932호) (b) 황원자 : 티인기(티아피란기)[thiin(thiapyran) group](제2934호) (c) 질소원자 : 피리딘기(pyridine group)(제2933호) (2) 두 개의 헤테로원자(hetero-atom)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옥사진기(oxazine group)(제2934호) (b) 한 개의 황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티아진기(thiazine group)(제2934호) (c) 두 개의 질소원자 : 피리다진(pyridazine), 피리미딘(pyrimidine), 피라진기(pyrazine groups)와 피페라진기(piperazine groups)(제2933호) (C) 그 밖의 그 이상의 복수고리식화합물 이들은 그 밖의 탄소고리화합물과 5원이나 6원의 헤테로고리화합물(heterocyclic compounds)을 축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면, 다음의 (groups) 를 포함한다. (a) 쿠마론(coumarone)(제2932호) (b) 벤조피란(Benzopyran)(제2932호) (c) 크산텐(xanthene)(제2932호) (d) 인돌(indole)(제2933호) (e) 퀴놀린(quinoline)과 이소퀴놀린(isoquinoline)(제2933호) (f) 아크리딘(acridine)(제2933호) (g) 벤조티오펜(티오나프덴)[benzothiophene(thionaphthene)](제2934호) (h) 인다졸(indazole)(제2933호) (ij) 벤즈이미다졸(benzimidazole)(제2933호) (k) 페나진(phenazine)(제2933호) (l) 페녹사진(phenoxazine)(제2934호) (m) 벤족사졸(benzoxazole)(제2934호) (n) 카르바졸(carbazole)(제2933호) (o) 퀴나졸린(quinazoline)(제2933호) (p) 벤조티아졸(benzothiazole)(제2934호)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의 분류에 있어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heterocyclic rings)를 포함하는 복합물의 경우 오직 하나의 헤테로고리(heterocyclic rings)만이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 내의 소호에서 특정의 명칭을 부여하였을 때에는 그 화합물은 해당 소호에 분류하여야 하지만 두 개 이상의 헤테로고리(heterocyclic rings)가 소호 수준에서 특정한 명칭을 부여하였을 때에는 그 복합물은 그 순서상 가장 마지막 호에 분류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