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15부 비(卑)금속과 그 제품 > 제81류 기타 비금속 > 제8112호 기타 비금속
HS
제8112호의 해설

81.12 - 베릴륨·크로뮴·게르마늄·바나듐·갈륨·하프늄·인듐·니오븀(컬럼븀)·레늄·탈륨과 이것으로 만든 제품[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을 포함한다]

[호해설]

(A) 베릴륨(beryllium)
베릴륨(beryllium) : 귀석(예: 에메랄드)의 상태로 있을 때를 제외하고(제71류), 제2617호에 분류하는 베릴륨과 알루미늄의 규산복염(複鹽)인 녹주석(beryl)으로부터 거의 대부분이 얻어진다.
이 금속의 상업적 추출방법은 주로 다음과 같다.

(1) 베릴륨산불화물(beryllium oxyfluoride)(광석에서 제조된 것)과 바륨(barium)이나 그 밖의 불화물과의 혼합물을 고온 하에서 전기분해하는 방법. 이때 흑연으로 만든 도가니는 양극으로 사용하며 베릴륨은 수냉(水冷)한 철로 만든 음극에 집결된다.

(2) 마그네슘(magnesium)을 사용하여 베릴륨불화물(beryllium fluoride)을 환원시키는 방법
베릴륨(beryllium)은 스틸그레이(steel-grey)의 금속이며, 매우 가볍고 견고하나 부서지기가 아주 쉽다. 이것은 다만, 매우 특수한 조건하에서만 압연이나 인발(引拔)될 수 있다.
비합금 베릴륨(unalloyed beryllium)은 X-선관의 창의 제조용; 핵반응기의 구성요소; 항공과 우주산업; 무기산업; 사이클로트론(cyclotrons)의 표적; 네온사인(neon signs) 등의 전극, 야금(冶金)공업의 탈산제(脫酸劑)로 사용한다.
비합금 베릴륨은 또한 다수의 합금의 제조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강(鋼)과의 합금[스프링강(spring steel) 등]; 구리와의 합금[예: 스프링·시계부분품이나 공구 등의 제조용으로 사용하는 베릴륨 구리로 알려진 합금]; 그리고 니켈(nickel)과의 합금. 그러나 이 합금은 단지 아주 소량의 베릴륨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72류, 제74류제75류에 각각 분류한다.
그러나 이 호에는 모든 형태의 베릴륨, 즉 금속[예: 블록(block)·펠릿(pellet)·큐브(cube) 등]과, 물품[봉·선(線)·시트(sheet) 등]과 제품을 분류한다. 그러나 기계부분품, 기구의 부분품 등으로 특별히 인정될 수 있도록 만든 제품은 제외한다(특히 제85류제90류 참조).

(B) 크로뮴(chromium)
크로뮴(chromium) : 주로 크로마이트(chromite : 크롬철광)에서 추출되는데 이것은 세스키옥사이드(sesquioxyde)로 전환된 후, 크로뮴 금속을 생산하기 위해서 환원된다.
크로뮴은 연마하지 않았을 때는 스틸그레이(steel-grey)이지만 연마하였을 때는 백색으로 빛을 낸다. 매우 단단하고 내식성(耐蝕性)이 있지만 가단성(可鍛性)이나 연성(延性)은 별로 없다.
순수한 크로뮴은 다른 금속의 여러 가지 제품의 피복물(被覆物)(전기크로뮴도금)로 된다. 주용도[보통 페로크로뮴(ferro-chromium), 제72류 참조]는 스테인리스강 제조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금[예: 니켈이나 코발트를 함유한 것]은 제15부의 주 제5호에 따라 이 호에서 제외한다.
특정 크로뮴을 기본재료로 한 합금은 제트엔진·전열기구의 보호용 튜브(tube) 등에 사용한다.

(C) 게르마늄(germanium)
게르마늄(germanium) : 아연을 제조할 때의 잔유물·게르마나이트(germanite)광석[구리게르마늄-황화물]과 가스 공장의 가스 도관에서 생기는 더스트(dust)로부터 추출된다.
이것은 회백색의 금속으로 특정한 전자 이온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자 부분품의 제조[예: 다이오드(diodes)·트랜지스터(transistors)·전자관]에 사용한다. 또한 주석·알루미늄과 금의 합금에도 사용한다.

(D) 바나듐(vanadium)
바나듐(vanadium) : 보통 산화물의 환원법에 의해서 파트론광(patronite)이나 카르노광(carnotite)으로부터나 철·라듐(radium)이나 우라늄(uranium)을 제조할 때 생기는 잔유물로부터 주로 추출된다. 금속 자체로서는 별로 쓰이지 않기 때문에 보통 페로-바나듐(ferro-vanadium)(제72류)이나 구리-바나듐 모합금(master alloy)(제74류)으로 제조되고; 이들은 강(鋼)·구리·알루미늄 등과의 합금 제조에 사용한다.

(E) 갈륨(gallium)
갈륨(gallium) : 알루미늄·아연·구리와 게르마늄을 추출할 때 부산물로 얻어지거나 가스 공장의 가스 도관에서 생기는 더스트(dust)로부터 얻는다.
이것은 연하고 회백색의 금속으로 용융(溶融)점이 섭씨 약 30도이고, 높은 기화(氣化)점을 갖고 있다. 그리하여 상당한 온도범위 내에 액체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온도계와 증기아크(vapour arc) 등에 있어서 수은의 대용으로 사용한다. 이것은 또한 치과용 합금과 특수한 거울의 은 도금재(silvering)로 사용한다.

(F) 하프늄(hafnium)
하프늄(hafnium) : 지르코늄(zirconium)과 동일한 광석[지르콘(zircon) 등]으로부터 추출되며, 지르코늄과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
저속 중성자(slow neutrons)의 흡수율이 특히 높으므로 원자로의 통제와 모니터용 봉의 제조에 사용한다.

(G) 인듐(indium)
인듐(indium) : 아연 잔유물로부터 추출된다.
연(軟)하고 은색의 금속으로 내식성(耐蝕性)이 있다.
그러므로 다른 금속을 도장하기 위하여 단독으로나 아연 등과 함께 사용한다. 비스무트(bismuth)와의 합금·납과의 합금이나 주석과의 합금(외과용의 형을 뜨는데 사용하는 합금)·구리나 납과의 합금[베어링(bearing)용 합금]과 금과의 합금(신변장식용품·치과용 합금 등)에 사용한다.

(H) 니오븀(niobium)[콜럼븀(colombium)]
니오븀(niobium) : 니오븀광(niobite)[(콜럼바이트(columbite)]과 탄탈광(tantalite)으로부터 얻는데 이는 불화칼륨니오븀(niobium-potassium fluoride)을 얻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진 후 전기분해나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다.
이것은 은회색 금속으로 게터(getter)(라디오용 밸브를 제조할 때 가스의 마지막 흔적을 제거하기 위한 것) 제조용에 사용한다.
니오븀(niobium)과 합금철(ferro-alloy)(제72류)은 역시 강(鋼)과 그 밖의 합금의 제조에도 사용한다.

(IJ) 레늄(rhenium)
레늄(rhenium) : 몰리브데늄·구리 등을 추출할 때 부산물로 얻어진다.
지금은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도금용과 촉매로서의 용도를 생각할 수 있다.

(K) 탈륨(thallium)
탈륨(thallium) : 황철광과 그 밖의 광석을 처리할 때 생기는 그 잔유물로부터 추출된다. 연한 금속으로 납과 유사한 회백색을 나타낸다.
납과의 합금[녹는점·강도·내식성(耐蝕性)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과 은과의 합금(변색을 방지하기 위해)이 있다.

◀ 제8111호 제8113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