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2 - 고무로 만든 공기타이어(재생품과 중고품으로 한정한다), 고무로 만든 솔리드(solid)나 쿠션타이어, 타이어 트레드(tread), 타이어 플랩(flap)
[호해설] 이 호에는 더 이상의 사용이나 재생용에 적합한 고무로 만든 재생 공기타이어(retreaded pneumatic tyres of rubber)와 중고공기타이어(used pneumatic tyres of rubber)를 포함한다. 솔리드(solid) 타이어는 예를 들면, 바퀴가 달린 완구와 이동성 가구제품에 사용한다. 내부에 밀폐된 공간(air space)을 가진 솔리드 타이어인 쿠션 타이어(cushion tyres)는 손수레와 트롤리(trolleys)에 사용한다. 타이어 트레드(tread)는 공기타이어 골조의 원주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리브(ribbed)가 있는 트레드 형태를 갖는다. 이들 물품은 공기타이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이 호는 교환성 타이어 트레드(interchangeable tyre treads)를 포함하는데, 그 목적용으로 특별히 제작된 타이어 골조에 부착될 고리의 형태로 제시한다. 타이어 플랩(tyre flaps)은 이너튜브(inner tube)를 금속으로 만든 림(rim)이나 스포크(spoke) 끝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사용한다. 이 호에서는 제39류 물품(예: 폴리우레탄)으로 만든 솔리드 타이어나 쿠션 타이어(일반적으로 제17부)와 재생(retreading)에 적합하지 않은 닳아서 못쓰게 된(worn-out) 타이어(제4004호)는 제외한다.[소호해설] 소호 제4012.11호·제4012.12호·제4012.13호·제4012.19호와 제4012.20호 소호 제4012.11호·제4012.12호·제4012.13호와 제4012.19호의 규정에서 "재생타이어(retreaded tyres)"는 타이어 골조로부터 분리된 닳아 해진 트레드(tread)로부터 다음의 두 가지 방법 중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새로운 타이어까지를 포함한다. (ⅰ) 어떤 트레드(tread)는 가황되지 않은 고무로 타이어 골조 위에 주조되며, (ⅱ) 가황된 트레드(tread)는 가황될 수 있는 고무스트립(rubber strip)에 의해 타이어 골조에 부착된다. 그러한 타이어는 탑캡핑(top-capping)[트레드(tread)의 교체]·리캡핑(re-capping)[사이드월(sidewall) 부분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재료로 트레드(tread)를 교체]이나 재생형 bead to bead[트레드(tread)의 교체와 타이어 사이드월(sidewall)의 전부나 일부를 포함한 사이드월(sidewall)의 수리]로 불릴 수도 있다. 소호 제4012.20호의 중고타이어(used tyres)는 재절삭(recutting)이나 재그루빙(regrooving)이 되는데 이것으로 마모된(그러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트레드(tread)의 홈은 절삭에 의해 깊어진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재그루핑(regrooving)은 대형자동차(예: 버스 그리고 화물차)에 사용하는 타이어에 행해진다. 재절삭(recut)과 재그루핑된(regrooved) 중고 타이어는 소호 제4012.11호·제4012.12호·제4012.13호와 제4012.19호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소호 제4012.11호·제4012.12호·제4012.13호·제4012.19호와 제4012.20호의 타이어는 부수적인 재절삭(supplementary recutting)이 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절삭에 의해 원래의 트레드(tread) 무늬에 횡선이나 사선의 홈이 추가된다. 이러한 부수적인 재절삭은 소호 제4012.11호·제4012.12호·제4012.13호와 제4012.19호의 재생타이어로서나 제4012.20호의 중고타이어로서 분류하는데 있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부수적인 재절삭이 된 새 공기타이어는 제4011호의 적절한 소호에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