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7 - 목(木)타르, 목(木)타르유, 목(木)크레오소트(creosote), 목(木)나프타, 식물성 피치(pitch), 브루어피치(brewers' pitch)와 이와 유사한 조제품[로진(rosin)·수지산이나 식물성 피치(pitch)를 기본 재료로 한 것으로 한정한다]
[호해설] 이 호에는 수지질이나 비수지질 나무를 증류나 탄화할 때 얻어지는 복합 성분의 물품을 분류한다. 이러한 공정으로 가스는 별도로 목초액(pyroligneous liquids)·목(木)타르(wood tar)와 목탄(wood charcoal)을 얻게 되며 그 비율은 사용한 나무의 질과 조작 속도에 따라서 변한다. 목초액[조(raw)목초산으로 알려진 경우가 있다)은 국제무역상품은 아니지만 초산(acetic acid)·메탄올(methanol)·아세톤(acetone)·소량의 푸르푸르알데히드(furfuraldehyde)와 알릴알코올(allyl alcohol)을 함유하고 있다. 이 호에는 또한 여러 가지의 식물성 피치(pitch)·브루어피치(brewers' pitch)와 로진(rosin)·수지산(resin acids)이나 식물성 피치를 기본 재료로 한 유사화합물을 분류한다. 이 호에 분류하는 물품은 다음과 같다.(A) 목(木)타르(wood tar), 목(木)타르유(wood tar oil)[탈크레오소트(decreosote)한 것인지에 상관없다]와 목(木)크레오소트(wood creosote) (1) 목(木)타르(wood tar) : 나무(침엽수나 그 밖의 것) 숯가마에서 탄화시키는 동안 서서히 흘러내리거나[예: 스웨디쉬 타르(Swedish tar)나 스톡홀름 타르(Stockholm tar)] 증류기나 가마에서 증류하여[증류타르(tar)] 얻는다. 후자는 목초액으로부터 침전분획물로서 직접 얻거나(침전타르) 우드타르분이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있는 목초액을 증류하여 얻는다(용해타르). 일부 휘발성 유분이 증류 제거된 부분증류 타르(tar)도 이 호에서 분류한다. 이러한 타르(tar) 류는 모든 탄화수소·페놀(phenol)이나 그 동족계열(同族列 : homologous series)·푸르푸르알데히드·초산(acetic acid)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물품의 복합혼합물이다. 수지질 나무에서 얻어진 타르(tar)는 비수지질 나무에서 얻어진 타르와 달라서 수지의 증류에서 생기는 물품[테르펜(terpenes)·로진오일(rosin oil) 등]을 함유하며, 갈색을 띤 오렌지색부터 갈색까지의 점성 물질이다. 주로(단순한 탈수나 부분증류 후에 얻어지는 것과 같은 것) 선용 케이블의 침투용·고무공업의 가소제(可塑劑 : plasticizer)·매스틱(mastic)의 조제·의약품 등에 사용한다. 비수지질 나무에서 얻어진 타르(tar)는 흑갈색의 진한 액체로서 이것을 증류나 그 밖의 방법으로 광범위한 부산물[목(木)크레오소트(wood creosote)·구아이야콜(guaiacol) 등] 조제에 주로 사용한다. 케이드유(cade oil)는 쥬니퍼 타르유(juniper tar oil)라고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과 비누 제조용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호에 분류한다. (2) 목(木)타르유(wood tar oil) : 목(木)타르(wood tar)의 증류 산물이다. 경질유(light oils)(지방족 탄화수소·테르핀·고급케톤을 함유)는 양의 세척용(sheep dips)과 원예용 분무액의 제조에 사용하며 중질유[지방족과 방향족(芳香族)탄화수소·고급 케톤(ketones)과 고급 페놀(phenols)을 함유]는 목재의 침투·목(木) 크레오소트(wood creosote) 추출에 사용한다. 탈크레오소트유(decreosote oil)는 크레오소트(creosote)의 추출 후에 얻어지며 그 성질에 따라 부유선광·살균제·용제(溶劑 : solvent)·연료 등에 사용한다. (3) 우드크레오소트(wood creosote) : 목(木)타르(wood tar)의 주성분이다. 보통 비수지질 목재에서 얻어진 타르(tar)를 증류하고 적절한 부분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분리하고 다시 산성화하고 재증류해서 얻는다. 무색의 액체이지만 공기와 광선의 작용으로 착색되고 연기같은 냄새가 있으며 부식성이 있고 특히 살균제·방부제로서 사용한다. 제2707호에서 분류하는 크레오소트오일(creosote oil)이나 광물성 크레오소트(mineral creosote)와는 혼동하여서는 안 된다. (B) 우드나프타(wood naphtha) : 목초액을 처리하여 얻는다. 탄 냄새가 있는 담황색 액체로서 보통 70~90%의 메탄올(methanol)에 여러 가지 비율의 아세톤과 그 밖의 케톤(ketones)(일반적으로 8~20%)·그 밖의 불순물[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고급알코올·타르물질 등]과 함께 함유되어 있다. 특정 종류의 우드나프타(wood naphtha)는 에탄올(ethanol)의 변성제로 사용한다. (C) 식물성 피치(vegetable pitch) 이것은 식물성 재료를 증류하거나 그 밖의 처리에서 생긴 잔재물로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목(木)타르(wood tar)[목(木)타르 피치(wood tar pitch)] : 목(木)타르(wood tar)의 증류잔재물이다. (2) 로진피치(rosin pitch) : 로진을 증류하여 로진 스플릿(rosin split)과 로진 오일(rosin oil)을 제조할 때의 잔재물이다. (3) 황산 피치(sulphate oil) : 톨유(tall oil) 등을 증류한 후의 잔재물이다. 이러한 피치(pitch)류는 보통 흑갈색·적갈색·황갈색이며 일반적으로 손의 열로 연화(soften)된다. 종류에 따라서 선박 코킹(caulking)제·직물의 방수피복제·목재의 침투제·방청피복제·물품의 결합제 등에 사용한다. (D) 브루어 피치(brewers' pitch)와 이와 유사한 조제품으로서 로진·수지산이나 식물성 피치를 기본 재료로 한 것 (1) 브루어피치(brewers' pitch) : 가열하여 맥주 통 피복에 사용한다. 대개 로진·파라핀왁스(paraffin wax)와 로진유(rosin oil)의 혼합물이나 로진과 식물성유(아마인유·면실유·채종유)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얻는다. (2) 코블러 왁스(cobblers' wax) : 신발·마구(馬具 : harness)를 꿰매는 실에 왁스를 칠하는데 사용하며 보통 로진·로진오일·파라핀왁스·오우조커라이트 등의 혼합물로 조성되어 있고 가루의 무기질(활석이나 고령토)을 함유하고 있다. 보통 블록 모양·막대(stick) 모양·원반 모양이다. (3) 코킹용 피치(caulking pitch) : 선박 코킹(caulking)제에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목(木)피치·목(木)타르와 로진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만든다. 이 호에는 다음에 열거한 물품은 제외한다.(a) 천연의 부르군디 피치(Burgundy pitch)("보스그스피치(Vosges pitch)"라고도 알려져 있다)(특정 침엽수에서 얻어진 천연 수지)와 옐로우 피치(yellow pitch)(용해하고 여과하여 정제한 천연의 부르군디 피치)(제1301호) (b) 스테아린 피치(stearic pitch)·울 그리스 피치(wool grease pitch)·글리세롤 피치(glycerol pitch)(제1522호) (c) 석탄·토탄·석유 등에서 얻어지는 광물성 피치(pitch)(제27류) (d) 순수하거나 상거래 관습상 순수한 메탄올(메틸알코올), 목재 증류의 일차 산품을 재처리하거나 재증류하여 얻어진 화학적으로 단일인 물품[예: 초산(acetic acid)·아세톤·구아이야콜(guaiacol)·포름알데히드·초산염(acetates) 등](제29류) (e) 실링 왁스(sealing wax)(제3214호나 제3404호) (f) 목재 펄프를 제조할 때 생기는 폐액(廢液 : residual lyes)(제3804호) (g) "브라이스 레지노스(Brais résineux)"(제3806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