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6부 화학공업생산품 > 제38류 화학공업생산품 > 제3801호 인조흑연
HS
제3801호의 해설

38.01 - 인조흑연, 콜로이드흑연·반콜로이드흑연, 흑연이나 그 밖의 탄소를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페이스트(paste)·블록·판 모양이나 그 밖의 반제품으로 한정한다]

[호해설]

(1) 인조 흑연(전기흑연) : 탄소의 일종으로서 전기로에서 극히 미세하게 분쇄된 코크스(일반적으로 석유코크스를 사용하지만 때로는 무연탄코크스·레토르트코크스·피치(pitch)코크스 등을 사용할 때가 있다)와 탄소질 응결제[예: 피치(pitch)나 타르(tar)]의 혼합물을 그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물질의 촉매(예: 실리카나 산화철) 작용 하에 "흑연화(graphitisation)"가 확보되도록 충분한 고온(섭씨 2,500°C부터 3,200°C까지)으로 가열하여 만든다. 그 혼합물은 가압으로 횡단면이 사각이나 원형의 "녹색(green)" 블록으로 압출 성형되며, 이러한 블록은 섭씨 약 1,000°C에서 예열(구운 것)하여 흑연화하거나 흑연화 공정에 직접 제공된다.
이 방법에 의한 물품은 겉보기 비중(apparent specific gravity)이 약 1.5~1.6이며 X선 검사에 의하면 흑연의 균질한 미세결정구조를 나타낸다. 화학분석을 하면 그 물질이 흑연(흑연산의 침전)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보통 품질의 인조 흑연에 더하여,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핵반응용 품질의 인조 흑연 : 특수하게 조제한 인조 흑연으로서 붕소의 함유향이 100만분의 1 이하이고 전체 열중성자 흡수극미횡단면이 원자 당 5밀리반(millibarn) 이하이다. 이 품질의 인조 흑연은 회분이 극히 적고(100만분의 20 이하) 원자로의 감속재(moderator)나 반사재(reflector)로서 사용한다.

(b) 함침 인조 흑연이나 불침투성 인조 흑연 : 이것은 인조 흑연의 겉보기 비중을 배가시키거나 가스가 스며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첫째로 진공상태에서 타르·지방·설탕액·그 밖의 유기물품을 침투시키고 다시 열처리하여 이러한 첨가물의 탄소질 잔재물을 흑연화한 인조 흑연이다.
침투공정은 겉보기 비중(1.9 이상)을 높이거나 고도의 불침투성을 얻기 위하여 되풀이 할 때가 있다. 또한 함침 흑연(impregnated graphite)은 핵반응 품질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호의 인조 흑연은 보통 가루·플레이크(flake)·블록·판·막대(stick) 등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인조 흑연의 블록과 판은 절단하여 고도의 기계처리로 완성가공(정밀완성과 적절한 표면처리)을 한 후에 제8545호에 열거된 브러시나 그 밖의 전기용 탄소제품이나 원자로의 부분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이 호에는 또한 인조 흑연의 재생용에만 적합한 웨이스트(waste)·스크랩(scrap)과 사용하여 낡은 제품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천연흑연(제2504호)

(b) 레토르트 카본(retort carbon)(가스 카본) : 때로는 "인조 흑연(artificial graphite)"이라고 잘못 부를 때가 있다(제2704호).

(c) 표면가공·표면처리·특정 모양으로 절단·선반가공·드릴·밀 등의 가공이나 제품화한 인조 흑연 : 전기용이 아닌 종류의 것은 제6815호(예: 필터·원판·베어링·주형·내산(耐酸)벽돌 등)에 보통 분류하고 전기용 종류의 것은 제8545호에 분류한다.

(d) 도자제품으로 소성한 내화물품 : 인조 흑연을 기본 재료로 한 것(제6902호제6903호)

(e) 블록·판·막대(stick)과 이와 유사한 반제품(semi-manufactures)으로서 은의 가루를 함유한 인조 흑연 (제7106호)

(2) 콜로이드흑연·반콜로이드흑연

(a) 콜로이드흑연 :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의 미세한 입자를 물이나 그 밖의 매질(媒質 : media)(예: 알코올·광물유) 중에 소량의 탄닌(tannin)이나 암모니아와 같은 물품을 현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시킨 경우도 있다. 콜로이드 흑연은 보통 반액체 상태이며 주로 윤활유 조제품의 제조에 사용하거나 고전도성을 이용한다.

(b) 반콜로이드흑연[즉, 물이나 그 밖의 매질(媒質 : media)에 현탁된 반콜로이드상태 흑연] : 반콜로이드흑연은 흑연유 조제품이나 흑연표면 형성용에 사용한다.
이러한 범주에는 어떠한 매질(媒質)에 콜로이드나 반콜로이드 상태로 현탁된 흑연만을 분류하는데, 흑연이 그 주요 구성 성분이 된다.

(3) 흑연이나 그 밖의 탄소를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페이스트(paste)·블록 모양·판 모양·그 밖의 반제품(semi-manufactures)의 것으로 한정한다]

(a) 금속 흑연질이나 그 밖의 품질의 "탄소(carbon)"블록, 판, 막대(stick), 그 밖의 이와 유사한 반제품(semi-manufactures)
전기기기용 "탄소(carbon)"브러시 제조에 사용하는 블록·판 등의 반제품(semi-manufactures)을 분류하며, 탄소질(단일이거나 다른 물질과 혼합한 것)을 기본 재료로 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ⅰ) 미세하게 분쇄한 코크스·유연(lamp black)·천연이나 인조 흑연의 가루를 피치(pitch)나 타르(tar)와 같은 탄소질점결제와 혼합하여 진정한 흑연화를 하는 데는 불충분한 온도(섭씨 1,000도부터 1,200도까지)로 태워서 얻어지는 "탄소(carbon)"
이와 같이 만든 물품의 구조는 불균일하다.; 현미경으로 시험해 보면 무정형 탄소입자가 있는 흑연입자의 혼합물로 나타나며 화학분석으로는 흑연산의 침전상태가 인조 흑연에서 얻어진 것보다 약하다.

(ⅱ) 금속 흑연질로 조성된 것. 가루 흑연과 비금속(卑金屬 : base metal) 가루(구리·카드뮴·그 합금)의 혼합물로부터 소결(응집·주조와 소성)하는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다. 그 금속 함유량은 10%부터 95%까지이다.

(ⅲ) 플라스틱과 혼합한 천연이나 인조 흑연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등급의 것
위에서 설명한 재료에서 얻어진 것 중 특히 블록과 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200㎜×100㎜×35㎜·150㎜×70㎜×30㎜이다. 이 물품은 절단하여 고도의 기계완성(정밀완성하거나 적절한 표면처리)을 한 다음 제8545호에 해당하는 전기용 브러시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한다.
앞에 규정한 인조 흑연의 반제품(semi-manufactures)은, 은 가루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제7106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특별한 모양으로 절단된 것·표면가공·표면처리 등을 한 블록(일반적으로 제6815호제8545호)과 무정형 탄소나 천연흑연을 기본 재료로 한 도자제품과 같이 소성한 내화물품(제6902호제6903호)은 제외한다.

(b) 전극용 탄소질 페이스트(paste). 이 물품은 주로 무연탄과 콜타르 피치(coal tar pitch)(점결제로서 작용)의 혼합물로 조성되어 있다. 보통 작은 블록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금속제 용기의 상부에 삽입시켜 열을 받으면 연질(軟質 : soft)화되어 용기 내부에서 로(furnaces)에 사용하는 엔드리스 전극(endless electrode)의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소모된 기성전극의 교환을 위해 더 이상 멈출 필요가 없다. 이 종류 중 가장 유명한 조제품은 "쇠델베르크 페이스트(Soderberg paste)"이다.
유사한 페이스트(paste)는 노(furnaces)의 내장용에 사용하며 원위치(in situ)에서 경화된다.
또한 이 범주에는 페이스트 상태의 흑연을 분류하는데, 이는 광물유(mineral oils)를 가지고 있는 입자 상태의 흑연 혼합물[대부분 5마이크로미터(미크론)를 초과한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기(重機)의 표면처리용이나 흑연 그리스(greases)의 제조용에 다 같이 적합하다.

제3802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