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16부 기계류·전기기기  > 제85류 전기기기  > 제8536호 스위치, 커넥터(1000V이하)
HS
제8536호의 해설

85.36 - 전기회로의 개폐용·보호용·접속용 기기[예: 개폐기·계전기·퓨즈·서지(surge)억제기·플러그·소켓·램프홀더와 그 밖의 커넥터·접속함](전압이 1,000볼트 이하인 것으로 한정한다)와 광섬유용·광섬유다발용·케이블용 커넥터

[호해설]
이 호에는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공업용 기기에 사용하는 1,000볼트 이하의 전기기기를 분류한다. 다만, 제8535호에는 아래의 1,000볼트를 초과하는 기기를 분류한다. 이 호에는 광섬유용·광섬유 다발용이나 케이블용의 커넥터도 포함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Ⅰ) 전기회로의 개폐용 기기(apparatus for switching electrical circuits)
이러한 기기는 주로 접속되어 있는 하나나 그 이상의 회로의 개폐용 장치나 한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 회로의 수에 따라 단극·쌍극·삼극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 호에는 또한 전환스위치(change-over switches)와 계전기(繼電器 : relays)도 포함한다.

(A) 개폐기(開閉器 : switches) : 이 호의 개폐기는 무선기기·전기식기기 등에 사용하는 소형스위치, 가정의 전기배선에 사용하는 종류의 스위치[예: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es)·레버조작 스위치(lever operated switches)·회전 스위치(rotary switches)·펜던트 스위치(pendant switches)·푸쉬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es)], 공업용 스위치[예: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es)·캠 스위치(cam switches)·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es)·프록시미티(proximity) 스위치]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문의 개폐에 의하여 조작되는 스위치와 형광등을 점등하기 위한 자동식의 열전기 스위치(starters)도 이 호에 분류한다.
여기에서 분류하는 다른 예로는, 광학적으로 연결된 입·출력 회로로 구성된 전자 AC 스위치[절연된 사이리스터(thyristor)AC 스위치]; 트랜지스터와 1000V 이하용 논리칩(chip-on-chip 기술)으로 구성된 전자스위치(온도보호 전자스위치 포함); 11amps 이하의 전류용 전기기계식 스냅-작동스위치(토글스위치) 등이 있다.
반도체 소자[예: 트랜지스터(transistors)·사이리스터(thyristors)·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접촉에 의하지 않고 작동하는 전자 스위치
스위치가 갖추어진 문 자물쇠는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8301호).

(B) 전환스위치(change-over switches) : 하나나 그 이상의 선로를 하나나 그 이상의 다른 선로에 접속시키는데 사용한다.
가장 간단한 형식에 있어서는 한 선로가 가동 암(moving arm)에 의하여 다른 노선의 어느 것에도 접속되는 중심점에 접속되어 있다. 이 형식의 한층 복잡한 기기에는 전동기의 시동용 스위치와 전동차용의 제어기어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에는 때때로 스위치기어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많은 저항기도 포함한다(제8533호 해설 참조).
이 호에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세트 등에 사용하는 복잡한 스위치 장치도 포함한다.

(C) 계전기(繼電器 : relays) : 이것은 전기회로를 동일한 회로나 다른 회로의 변화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시키는 전기장치이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면, 전기통신기기·도로용이나 철도용의 신호기기·공작기계 등의 제어용이나 보호용으로 사용한다.
다음 예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이 있다.

(1) 제어를 위하여 전기적 수단을 사용하는 형태 : 전기자석식계전기·영구자석식계전기·열전식계전기·유도식계전기·정전식계전기·광전식계전기·전자식계전기 등

(2) 작동을 위하여 조건을 사전에 결정하는 형태 : 최대전류계전기·최대나 최소 전압계전기·차동계전기·즉시 차단동작을 행하는 계전기·시간지연계전기 등이 있다.
계전기(relays)로도 간주하는 접촉기(contactors)는 전기회로를 연결하거나 절단하는 장치로서 기계적인 고정 장치나 수동(手動)조작 없이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전류에 의해 활동적인 상태로 작용되며 유지한다.

(Ⅱ) 전기회로의 보호용 기기(apparatus for protecting electrical circuits)
이 호에는 퓨즈(fuses)를 포함한다. 퓨즈는 보통 일정한 길이의 퓨즈선(fuse wire)이 결합된(또는 결합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이 회로 내에 삽입된 경우 그 전류가 위험할 정도로 증가하면 퓨즈선이 용해되어 회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것은 사용하고자 하는 회로와 전류의 형에 따라 설계상 매우 여러 가지가 있다. 통형(筒型)퓨즈는 양단부가 금속제의 캡에 접속되도록 퓨즈선을 넣은 관(tube)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퓨즈는 선에 접속시키기 위한 베이스나 소켓(socket)과 퓨즈선이 부착된 접속부분[이것은 소켓(socket)에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거나 스프링식의 접촉자 사이에 끼워 넣은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호에는 선이 있는지에 상관없이 완전한 퓨즈(complete fuses)를 포함한다. 소켓(socket)과 접속 부분이 분리하여 제시하는 경우에도 다음 물품을 제외하고 이 호에 분류한다. 즉 완전한 절연재료제의 것(단순히 조립을 목적으로 소량의 금속을 주입한 것은 이 호에 포함한다)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8547호). 퓨즈선은 그 구성재료에 따라 분류한다. 다만, 사용하기 위하여 루프(loops)나 그 밖의 접속수단을 갖춘 짧은 퓨즈선은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회로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그 밖의 장치를 포함한다(예: 전류가 일정치를 초과할 때에 자동적으로 회로를 차단시키는 전기자석식의 장치).
이 호에는 또한 정전압 변압기(제8504호)와 자동전압조정기(제9032호)를 제외한다.

(Ⅲ) 전기회로의 접속용 기기(apparatus for making connections to or in electrical circuits)
이 기기는 전기회로의 서로 다른 각 부분을 함께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기에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A) 플러그(plugs), 소켓(sockets), 그 밖의 콘택트 : 이동가능한 도선이나 기기를 보통 고정되어 있는 설비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 범주에는 다음 물품을 포함한다.

(1) 플러그(plugs)와 소켓(sockets)(두 개의 이동 가능한 도선을 접속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 플러그는 소켓의 구멍이나 접촉자에 꼭 일치되는 하나나 그 이상의 핀이나 측면접촉자를 갖고 있다. 림(rim)이나 한 개의 핀은 접지 목적으로 사용한다.

(2) 전동기용의 브러시와 전차·리프팅 기기용 등의 집전장치(가공선이나 제3레일의 집전장치 등)와 같은 섭동접촉기(摺動接觸器 : sliding contacts) : 다만, "탄소형(carbon)"이나 흑연제의 것은 제외한다(제8545호). 이러한 것은 블록 모양의 금속·와이어 클로드·적층된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가 흑연의 윤활층으로 피복된 경우에도 이 호에 분류한다.

(3) 전구용이나 진공관용의 소켓(sockets)과 램프홀더(lamp-holders) : 어떤 램프홀더는 가지 모양의 촛대에 부착된 초의 형으로 되어 있거나 벽에 대하여 브래킷(bracket)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것은 그 주기능이 램프홀더(lamp-holder)로서 작용되는 것이라면 이 호에 분류한다.
플러그(plugs)와 소켓(sockets) 등이 일정한 길이의 전선과 조립된 것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8544호).

(B) 그 밖의 커넥터, 터미널(terminals), 터미널스트립(terminal strips) 등 : 여기에는 전기접속자를 갖춘 작은 사각형의 절연재료(dominoes), 도체를 받도록 만든 금속부품으로 되어 있는 터미널(terminals)과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기배선의 끝에 부착시키도록 설계된 작은 금속부품[스페이드(spade) 터미널, 크로커다일 클럽(crocodile clips) 등]을 포함한다.
터미널 스트립(terminal strips)은 전기배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약간의 금속터미널이나 접속기를 갖춘 스트립 모양의 절연재료로 되어 있다. 이 호에는 태그 스트립(tag strips)이나 패널(panels)도 포함하며; 이러한 것은 전선이 납땜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절연재료 내에 고정시킨 약간의 금속태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그 스트립은 라디오나 그 밖의 전기기기에 사용한다.

(C) 접속함(junction boxes) : 이러한 것은 전선과 함께 접속시키기 위하여 터미널(terminals)이나 그 밖의 장치를 내부에 부착시킨 상자로 되어 있다. 전기적 접속수단이나 설비를 부착하지 않은 상자는 이 호에 포함하지 않고 그 구성 재료에 따라 분류한다.

(Ⅳ) 광섬유용(optical fibres)·광섬유다발용(optical fibre bundles)·케이블용(cables) 커넥터
제8536호에서 광섬유용 커넥터·광섬유 다발용 커넥터·케이블용 커넥터란 디지털 회선 시스템에서 광섬유를 단순히 기계적으로 정렬해 주는 커넥터를 말한다. 이들은 그 밖의 기능으로서 신호의 증폭·재생·변조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 케이블이 달려 있지 않은 광섬유용 커넥터는 이 호에 분류하지만 케이블이 달린 경우에는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8544호제9001호).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기기의 부분품은 제8538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전압조정기로 사용하는 비선형 전압저항기(바리스터/VDR)(제8533호)

(b) 앞에서 설명한 기기의 조립품(단순한 스위치 조립품은 제외한다)(제8537호)

(c) 전압조정기로 사용하는 반도체 다이오드(diodes)(제8541호)

◀ 제8535호 제8537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