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16부 기계류·전기기기  > 제85류 전기기기  > 제8517호 통신기기
HS
제8517호의 해설

85.17 - 전화기(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통신망용 전화기를 포함한다)와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송신용·수신용 그 밖의 기기(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과 같은 유선·무선 통신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하며, 제8443호·제8525호·제8527호·제8528호의 송신용·수신용 기기는 제외한다)

[호해설]
이 호에는 유선 네트워크(wired network)에 흐르는 전류나 광파(optical wave)의 변화나 무선네트워크(wireless network)에 의한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s)로 두 지점간의 대화나 그 밖의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이들 신호는 아날로그나 디지털이다. 상호 연결되는 네트워크에는 전화·전신·무선전화·무선전신·근거리와 광대역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Ⅰ) 전화기(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 통신망용 전화기를 포함한다)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유선전화기
유선전화기는 음성을 다른 기기로 보내기 위하여 전송용 신호로 변환하는 통신기기이다. 신호를 수신하면, 유선전화기는 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다음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송화기(transmitter) : 음파를 변조된 전류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이다.

(2) 수화기(receiver)(헤드폰이나 이어폰) : 변조된 전류를 음파로 다시 변환시키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송화기와 수화기는 핸드 세트로 알려진 한 개의 성형물에 조립되어 있다. 다른 경우에는 송화기와 수화기가 헤드폰과 마이크로폰과 조합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쓰도록 설계되어 있다.

(3) 잡음 방지회로(anti-sidetone circuit) : 송화기에 유입된 소리가 같은 핸드세트의 수화기에서 재생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4) 명종(鳴鐘 : ringer) : 호출경보를 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소리를 전자(電子)적으로 생산하는 톤(tone) 명종과 벨이나 부저와 같은 기계적인 명종이 있다. 일부 전화기는 명종과 결합하여 호출이 착신하였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라이트나 램프를 갖추고 있다.

(5) 스위칭장치(switching device)나 "스위치훅(switchhook)" : 이것은 통신망으로부터의 전류흐름을 저지하거나 허락한다. 일반적으로 수화기걸이(cradle)에서 분리되었다가 다시 수화기걸이에 놓이는 핸드세트에 의하여 작동한다.

(6) 다이얼 선택기(dialling selector) : 호출자가 접속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선택기는 버튼 누름식이나 키패드(keypad : tone)식이거나 드럼이나 회전식[펄스(pulse)]이다.
별도로 분리되어 제시하였을 경우, 마이크로폰과 수화기(핸드세트로서 조합여부에 상관없다)와 확성기는 제8518호에 분류하며, 벨과 부저는 제8531호에 분류한다.
전화기 세트는 전화번호 저장과 재 호출용 기억장치; 다이얼링한(dialled) 전화번호와 착신한 호출자의 전화번호와 통화일과 시간, 기간을 볼 수 있는 가시 표시기; 핸드세트를 사용하지 않고 통화 가능한 별도의 확성기와 마이크로폰; 자동 응답 장치(녹음한 통신문을 전달하거나 착신한 통신문을 녹음하거나 명령에 의해 녹음된 통신문을 재생한다)·다른 전화기의 가입자와 통화 도중에 그 회선을 대기시키는 장치가 조립되어 있거나 갖추어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장치가 조립된 전화기 세트는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열쇠나 누름식 버튼을 갖고 있으며 핸드세트를 전화기대(臺)에서 분리하지 않고 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칭 키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들 중 상당수는 작동을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dessor)나 디지털집적회로가 활용되고 있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여 모든 종류의 전화기를 분류한다.

(ⅰ)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 세트 : 다이얼링(dialling) 선택기·스위칭 키·라디오 주파수 휴대용 소형 무선전화기 기초 기기가 조립되어 전화 통신망과 유선으로 연결된 건전지 전원 라디오 주파수 휴대용 소형 코드리스 핸드세트를 포함한다(또 다른 코드리스 세트는 핸드세트를 갖추고 있지 않지만 휴대용 혼합 건전지 전원 라디오 주파수 소형 무선전화기와 연결된 결합형 헤드폰과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다이얼링 선택기, 스위칭 키를 갖추고 있기도 하다).

(ⅱ) 결합된 다이얼링(dialling) 선택기와 스위칭 키 유닛(전화통신망과 유선으로 연결한다)과 조합된 헤드폰과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함께 제시된 전화기 세트

(B) 셀룰러 통신망이나 그 밖의 무선통신망용 전화기(telephones for cellular networks or for other wireless networks)
이 그룹에는 무선통신망용 전화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화기는 기지국이나 위성에 의해 수신되고 재송신되는 무선주파수를 수신하거나 발생시킨다.
여기에는 특히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셀룰러 전화기(cellular phones)나 휴대형 전화기(mobile phones)

(2) 위성 전화기

(Ⅱ)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의 송신용·수신용 그 밖의 기기(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과 같은 유선·무선 통신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기기를 포함한다)

(A) 기지국(base stations)
가장 일반적인 기지국의 형태는 셀룰러 전화기로부터나 그 밖의 무선네트워크로 무선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셀룰러 통신망의 것이다. 모든 기지국은 지리적인 구역(셀)을 커버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하면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통화권은 지체없이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자동 전달된다.

(B) 엔트리폰 시스템(entry-phone systems)
이 시스템은 대개 전화핸드세트와 키패드나 확성기·마이크로폰(microphone)·키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여러 명이 입주해 있는 건물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방문객은 원하는 키를 눌러서 입주자를 호출하여 대화할 수 있다.

(C) 비디오폰(videophones)
건물용 비디오폰은 유선전화통신용 전화기 세트와 텔레비전 카메라와 텔레비전 수신기(유선에 의한 전송)를 주로 하여 구성된 결합체이다.

(D) 제8443호의 팩시밀리(facsimile) 기기를 제외한 전신 기기
이들 기기는 주로 문자·그래픽·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를 적당한 전기적 임펄스(impulse)로 변환시키고, 이들 임펄스를 전송하며 수신단에서는 이들 임펄스(impulse)를 수신해서 문자·그래픽·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를 상징하는 약정한 신호나 표시로 변환시키거나 문자·그래픽·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 그 자체로 변환시키도록 설계하였다.
예를 들면

(1) 메시지 송신용의 기기 : 다이얼(dial)식이나 키보드식 송신기와 자동 송신기(예: 텔레프린터나 텔레타이프라이터 송신기)

(2) 메시지 수신용의 기기(예: 텔레타이프라이터 수신기) : 어떤 경우에는 수신기와 송신기가 하나의 송수신기로 결합되어 있다.

(3) 사진 전신 기기(picture telegraphic apparatus) : 이 기기(영상전신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보조적인 사진용 기기(예: 현상장치)는 제90류에 분류한다.

(E) 전화용(telephonic)이나 전신용(telegraphic) 교환기(switching apparatus)

(1) 자동 교환대와 교환기(automatic switchboards and exchanges)
이것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스위칭 시스템의 핵심 특징은 부호화된 신호에 응답해서 사용자 간을 자동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자동 교환대와 교환기는 회로 스위칭과 전달문 스위칭에 의해 작동하거나 전자적 수단에 의해 사용자간을 연결하는데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활용하는 패킷(packet) 스위칭에 의해 작동한다. 많은 자동 교환대와 교환기는 아날로그의 디지털 변환기·디지털의 아날로그 변환기·자료압축/압축해제장치(부호기)·모뎀(modem)·다중교환장치·자동자료처리기계·통신망을 통하여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모두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그 밖의 장치들로 조립되어 있으며 말·그 밖의 소리·문자·그래픽·영상이나 그 밖의 자료를 집적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자동 교환대와 교환기 중 어떤 형태의 것은 근본적으로 호출기 세트로부터 수신한 임펄스(impulse)에 부응하는 유선을 선택하고 연결을 완성해 주는 선택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자동적으로 호출 세트에서 발하는 임펄스에 의해 직접 작동하거나 디렉터(director)와 같은 보조기기에 의해 작동한다.
여러 형태의 선택기(사전선택기·중간선택기·최종선택기)와 이곳에 사용하는 디렉터는 종종 금속래크(rack)에 교환기를 조립하여 넣은 섀시(chassis)에 같은 형태의 시리즈(series)와 그룹(group)으로 조립되어 있다. 특히 소형의 설비에 있어서는 자동 교환기를 자체 포함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러한 것들 전부를 단일 랙(single rack)에 탑재하기도 한다.
또한 자동 교환대와 교환기는 단축 다이얼링(abbreviated dialling)·호출대기·호출발송·다중호출·음성우편 등과 같은 편의기능이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편의기능은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화기 세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은 공적(公的) 통신망이나 공적(公的) 통신망에 연결된 사적(私的)지국교환기(PBX : private branch exchange)를 이용하는 사적(私的) 통신망에 사용한다. 또한 자동교환대와 교환기는 운영자의 조정이나 점검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전화기 세트와 유사한 콘솔(console)을 갖추고 있기도 하다.

(2) 비(非)자동식 교환대와 교환기(non-automatic switchboards and exchanges)
이것은 여러 가지의 수동(手動) 스위칭 장치를 탑재한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기는 교환대나 교환기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호출을 운영자가 수동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 기기는 호출이 진행 중이거나 완성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호출(call)"이나 "종료(clear)" 표시기와; 운영자의 전화기 세트(가끔 특별하게 탑재한다); 스위칭 장치[코드(cord)와 연결된 잭이나 소켓(socket)과 플러그(plug)를 탑재한다]; 플러그와 코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영자가 호출자에게 답하거나 호출절차를 감독하고 교환을 완성하는 것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스위치(key switches)로 구성되어 있다.

(F) 무선전화와 무선전신용 송수신기기(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radio-telephony and radio-telegraphy)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무선전화와 무선전신용 고정기기(송신기·수신기·송수신기) : 주로 대형 설비에 사용하는 어떤 형에는 비밀장치(예: 스펙트럼 변환기)와 다중장치(둘 이상의 통신문을 동시에 보내는데 사용한다)와 특정의 수신기["다이버시티 수신기(diversity receivers)"라고 불리며 페이딩(fading)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중 수신기 기법을 사용한다]와 같은 특수 장치를 포함한다.

(2) 다수 언어에 의한 회의에서 동시통역(simultaneous interpretation)을 하기 위한 무선송신기와 무선수신기

(3) 선박·항공기 등으로부터의 조난신호용으로 사용하는 자동 송신기와 특수 수신기

(4) 원격신호의 송신기·수신기·송수신기

(5) 자동차·선박·항공기·열차 등에 사용하는 무선전화기기(무선전화 수신기를 포함한다)

(6) 보통 배터리로 작동되는 휴대용 수신기 : 예를 들면, 부름, 경보, 호출 등에 사용하는 휴대용 수신기

(G) 그 밖의 통신기기(other communication apparatus)
이 그룹에는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거나 그러한 네트워크에서 대화나 그 밖의 음성·영상이나 그 밖의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기를 포함한다.
통신네트워크에는 특히 반송통신시스템·디지털통신시스템과 이들의 조합품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제한적·개방형의 구조를 갖는 공중 교환 전화 통신망·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s)·도시지역 통신망(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s)·원거리 통신망(WAN : Wide Area Network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통신 인터페이스 카드(예: 인터넷 인터페이스 카드)

(2) 모뎀(변조기와 복조기가 결합된 것)

(3) 라우터(routers)·브리지(bridges)·허브(hubs)·중계기(repeaters)와 채널 간 어댑터(channel to channel adaptors)

(4) 다중화 장치와 이와 관련된 유선 장비(예: 송신기·수신기·전자광학적 변환기)

(5)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부호기(자료 압축기/압축해제기)

(6) 펄스 다이얼 신호(pulse dialled signals)를 음조 신호(tone signals)로 변환하는 펄스 음조 변환기(pulse to tone converters)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기기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다음의 물품을 제외한다.

(a) 팩시밀리 기기(제8443호)

(b) 천공기(穿孔機) : 전기식인지에 상관없이 자동식 전신기기에 사용하기 위하여 종이테이프 천공에 사용하는 것(제8472호)

(c) 전화나 전신회선회로에 삽입하는 유도코일(제8504호)

(d) 일차전지와 축전지(蓄電池)(제8506호제8507호)

(e) 전화응답기 : 전화기세트의 필요 불가결한 부품이 아닌 것으로서, 전화기와 결합하여 작동하도록 설계된 것(제8519호)

(f) 라디오방송이나 텔레비전 신호의 송신이나 수신용의 기기(제8525호·제8527호·제8528호)

(g) 전기식의 벨과 표시기[예: 전화기의 다이얼(dial)에 의하여 작동되는 조명표시기](제8531호)

(h) 계전기(繼電器)와 개폐장치(예: 자동전화교환기용의 선택기)(제8536호)

(ij) 개별적으로 피복을 한 섬유로 만든 광섬유 케이블과 전기 절연된 선·케이블 등[교환대용 플러그(plug)가 달린 코드를 포함하며, 접속자를 부착한 것인지에 상관없다](제8544호)

(k) 통신용 위성(제8802호)

(l) 전화호출자동기록기와 카운터(제90류)

(m) 아날로그형이나 디지털형의 자동계측 전송장치와 함께 단일 유닛을 형성하는 반송(伴送)전류 수신기와 송신기나, 후자(디지털형 것)의 것과 함께 제90류의 주 제3호의 의미에 해당하는 기능단위기계(functional unit)를 구성하는 것(제90류)

(n) 통화시간기록기(calculographs : time recorders)(제9106호)

(o) 일각대·양각대·삼각대와 이와 유사한 물품(제9620호)

[소호해설]

소호 제8517.62호
이 소호에는 분리되어 제시하는 코드리스 핸드세트(cordless handsets)와 베이스 유닛(base units)을 포함한다.

◀ 제8516호 제8518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