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14 - 공업용이나 실험실용 전기식 노(爐)와 오븐[전자유도식이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식을 포함한다]과 그 밖의 공업용이나 실험실용의 전자유도식이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식 가열기
[호해설] 이 호에는 전기적으로 열을 얻는[예: 전도체 내에서의 전류의 가열 효과에 의하거나; 전기 아크(arc)로부터 얻어진다] 많은 공업용이나 실험실용의 전기 가열식의 기계·기기와 장치를 포함한다. 이 호에는 전자유도식(induction)이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식의 노(爐 : furnace)와 오븐과 그 밖의 공업용이나 실험실용의 전자유도식이나 유전손실식 가열기를 포함한다[예: 공업용 마이크로웨이브 노(爐 : furnace)·오븐과 기기]. 이 호에는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종류의 전열기기는 제외한다(제8516호). (Ⅰ) 공업용이나 실험실용 전기식 노(爐 : furnaces)와 오븐(전자유도식이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식을 포함한다) 전기식 로와 오븐은 주로 약간 밀폐된 공간이나 용기로 되어 있어서 그 내부에서 비교적 고온이 얻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다목적[용해·소둔·뜨임(tempering)·에나멜링·용접·용접물의 열처리 등]으로 사용한다. 주요한 형에는 레토르트(retort) 로·벨형 로·트로프(trough) 로·도가니 로·터널 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노(爐 : furnace) 중의 어떤 것은 특수한 기울임 장치(tilting attachments)를 갖추었거나 산화(酸化)방지를 위하여 특수한 가스 중에서 금속을 처리하기 위한 내부 용기가 갖추어져 있다. 이 그룹에 분류하는 전기식 로와 오븐에는 특히 다음의 것이 포함한다. (A) 저항가열식 노(爐)와 오븐(resistance heated furnaces and ovens) : 이 노(爐 : furnace)는 발열저항체를 통과하는 전류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 요소(저항체)는 복사(輻射)와 대류(對流)에 의해 열을 원광석이나 장전물에 전달한다. (B) 가열대상물인 금속 봉이나 알갱이 상태의 물질이 저항체로 작용하는 가열용 저항로 : 이것은 피가열재에 전류를 통하도록 만든 용기로 되어 있다. 가열대상물의 전기저항은 필요한 열을 발생한다. (C) 액체저항로(liquid resistance furnaces) : 이것은 전극을 갖춘 통(槽)으로 되어 있다. 사용할 때에는 그 통에 용융금속·용융염·특수유를 넣어서 전극에 의하여 그 액 중에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필요한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목적물을 액체가 담긴 통에 넣음으로서 가열한다. (D) 금속 용해나 정제용 전기분해로(electrolytic furnaces for smelting of refining metals) : 이것은 용해전해조(電解槽)의 전해질에 잠겨 있는 전극을 갖춘 액체저항로이다. 전해조는 용해 소금에 녹아 있는 광석의 성분을 함유하는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을 경유하여 전해질을 통과하는 전기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해질 분해는 양극(陽極)에서 가스가 방출되는 동안 음극(陰極)에서는 순수한 용해 금속이 축적되도록 한다. (E) 저주파 유도로(low frequency induction furnaces) : 일차 코일의 저주파 교류가 가열하여야 될 장전물과 연철심(soft iron core)에 의하여 자기(磁氣)적으로 결합되어서 그 장전물 중에 가열하기 위한 전류를 유도한다. 이러한 형식의 어떤 노(爐 : furnace)에 있어서는 용융된 장전물이 수직 방향의 환(環)상으로 된 배관을 통하여 주된 도가니에서 순환되며 한편 그 관 내에서는 일차회로로부터 가열 전류가 유도된다. (F) 고주파 유도로(high frequency induction furnaces) : 일차 코일의 고주파 교류(때로는 무선주파수)가 가열하여야 될 장전물에 와전류(渦電流 : eddy currents)를 유도시킨다. 이 형의 노(爐 : furnace)에는 철심이 없다. (G) 유전식 정전용량 노와 오븐(dielectric capacitance furnaces and ovens) : 비도전성의 장전물이 교류 전원에 접속된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놓여 있다. 그 결과 그 장치는 축전기(capacitor)로서 작동되며 장전물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은 장전물 중에 발생될 열의 원인이 된다. 이 그룹에는 공업용 마이크로웨이브오븐이 포함되며, 그 내부에서 가열되어야 하는 유전성 물체는 전자기파의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유전손실에 의해, 파장으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는 일시에 물체 전체에 걸쳐서 열로 변환이 되며 이로 인하여 매우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오븐은 건조·서리제거·플라스틱의 주조·도자기 굽기 등에 사용한다. (H) 아크(arc)식의 노(爐 : furnaces) : 이 노(爐)에 있어서는 전극간이나 전극과 가열대상물과의 사이에 생기는 전기 아크(arc)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 노(爐)는 선철·여러 가지의 페로얼로이·탄화칼슘의 제조, 철광석의 환원, 공기 중의 질소의 고착 등에 사용한다. 어떤 저온 아크로는 또한 비교적 끓는점이 낮은 물질(예: 아연이나 인)의 증류용으로 사용하며; 다만, 이 노(爐)가 증류물을 수집하기 위하여 응축장치를 갖춘 경우에는 그 전체가 이 호에 제외한다(제8419호). (IJ) 적외선방사로(infra-red radiation ovens) : 이 노(爐 : furnace)는 많은 적외선 전구나 적외선 방사판에 의하여 가열한다. 어떤 노(爐 : furnace)나 오븐은 하나 이상의 가열방법[예: 금속 등의 용해와 가열용 고주파·저주파 유도나 저항로(盧); 적외선과 고주파의 비스킷을 굽는 오븐; 물체를 가열하기 위한 적외선과 저항과 유전(誘電)식 정전용량(극초단파) 오븐]을 사용하고 있다. 이 호에 열거된 노(爐 : furnaces)와 오븐(ovens)은 특히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빵(bread)·파이(pastry)·비스킷 제조용 오븐 (2) 치과용 오븐(dental ovens) (3) 화장장(crematorium)용 노(爐) (4) 쓰레기 소각용 노(爐) (5) 유리의 소둔(annealing)이나 뜨임(tempering) 노(爐)나 오븐 이 호에는 건조, 살균이나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전기식 가열기기를 제외한다(제8419호). (Ⅱ) 그 밖의 공업용이나 실험실용의 전자유도식이나 유전손실(dielectric loss)식 가열기 이 호에는 그 형태가 노(爐 : furnace)나 오븐의 것인지에 상관없이 전자유도식이나 유전식의 가열기기(예를 들어 전자파 기기)도 포함한다. 이 기기(주로 소형물의 열처리에 사용한다)는 주로 특정한 판이나 코일(때로는 처리하여야 할 특정 물품에 맞춰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을 함께 부착한 고주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전기장치로 되어 있다. 이들 기기는 특히 다음을 포함한다. (1) 유도코일을 갖춘 기계 : 재료가 전기의 양도체인 것으로 만든 유도 물체로 가열하는데 사용하며, 전력은 저주파·중주파·고주파 전력을 이용한다[예: 크랭크축·실린더(cylinders)·콕휠(cog wheels)·그 밖의 금속 부분품의 표면경화(硬化)용 기계; 용해·소결·소둔·뜨임·금속부분품의 예열용 기계]. (2) 축전기(capacitor)(예: 판·봉 모양)로 사용하는 전극을 갖춘 기계 : 재료가 전기의 부도체나 불량도체인 것으로 만든 물체를 유전식(capacitive) 가열용으로 사용하며, 전력은 고주파전력을 이용한다[예: 목재 건조용 기계; 펠릿(pellet)이나 가루 형태 등의 재료를 성형하면서 열경화(熱硬化 : thermohardenable)할 수 있게 예열하는 기계]. 어떤 특수한 형의 장치는 코일을 통과한 봉의 연속적인 열처리를 위해서나 일련의 물품을 반복처리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회전식 변환기(rotary converters)와 고주파 발생기(high-frequency generators)는 열처리장치와 함께 제시하였을 때, 또한 이 호에 분류한다. 각각 분리하여 제시하였을 때에는 경우에 따라 제8502호나 제8543호에 분류한다. 그러나 금속의 납땜이나 땜질에 사용하는 유전처리용 기계와 플라스틱이나 그 밖의 재료의 용접에 사용하는 유전손실(dielectric loss)에 의한 열처리 기계(예: 용접용 고주파 프레스 기계와 고주파선 용접기계)는 제8515호에 분류한다. 가열장치를 부착한 프레스기는 또한 제외한다(제84류). 이 호는 또한 고온 야금법에 의하여 조사된 핵연료의 분리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노(爐 : furnace)와 그 밖의 기기를 포함하며,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용기기(예: 방사성 찌꺼기를 함유한 진흙이나 유리의 연소용이나 흑연이나 방사성 필터의 연소용)나 재순환을 위해 재생된 핵분열성 물질의 소결이나 열처리기기를 포함한다. 다만, 동위원소 분리용기기는 제8401호에 분류한다.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물품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한다[예: 전기자·문·검사구멍·패널(panel)·도움(domes)·전극홀더·금속전극]. 단, 이 호는 다음 것을 제외한다.(a) 전기로의 건설이나 내장용 벽돌·블록·이와 유사한 내화물·세라믹 물품(제69류) (b) 반도체 웨이퍼나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전기로와 오븐(제8486호) (c) 전열용저항체(경우에 따라 제8516호나 제8545호) (d) 흑연이나 그 밖의 탄소제의 전극(금속이 함유된 것인지에 상관없다)(제8545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