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06 - 일차전지
[호해설] 일차전지(primary cells and primary batteries)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한다. 일차전지는 기본적으로 알칼리나 비알칼리의 전해질(예: 수산화칼륨이나 수산화나트륨, 염화암모늄이나 염화리튬·염화암모늄·염화아연과 물의 혼합물)을 넣은 용기로 되어 있으며 전해질 중에는 두 전극이 침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양극은 일반적으로 아연·마그네슘·리튬이며 음극(cathode)[탈분극전극(脫分極電極 : depolarising electrode)]은 이산화망간(탄소가루와 혼합)·산화수은·산화은이다. 리튬 일차전지는 양극은 리튬, 음극은 예를 들어, 티오닐 클로라이드(thionyl chloride), 이산화황, 이산화망간·황화철 등으로 되어 있다. 수성의 용해액에서 리튬의 용해성과 반응성으로 인하여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에어 징크(air-zinc) 일차전지에서는 알칼리나 중성 전해질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아연은 양극, 산소는 전지로 확산하면서 음극으로 사용한다. 일차전지의 주요 특성은 재충전이 쉽게 효율적으로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차전지는 전류를 많은 목적(벨·전화·보청기·카메라·시계·계산기·심장 박동 조절장치·라디오·장난감·휴대용 램프·가축몰이용의 전기막대기 등)에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셀은 배터리 내에서 직열·병열이나 직열과 병열의 결합으로 함께 그룹지어질 수 있다. 전지는 그 의도된 용도가 어떤 것인지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한다(예: 이미 알려져 있는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실험실용의 표준전지도 이 호에 해당한다). 이 호에는 다음에 열거한 여러 가지 종류의 전지를 포함한다.(1) 습전지(wet cells) : 전해질이 액체이며 흐르는데 제약이 없다. 그러므로 습전지는 방향(方向 : orientation)에 민감하다. (2) 건전지(dry cells) : 전해질이 흡착제나 흡착 겔에 고정되어 있다[예: 페이스트(paste)를 형성하기 위해 한천(agar-agar)이나 가루같은 농후제와 혼합되어 있다]. 사용하는 전해질은 액체일 수 있으나, 흐르는데 제약이 있다. 건전지(dry cells)는 주로 휴대용 장치에 사용한다. (3) 불활성전지(inert cells)·리저브(reserve)전지·리저브 배터리 : 사용하기 전에 물이나 전해질의 전부나 일부를 첨가하거나 전해질이 이온적으로 전도력이 있도록 가열되어야 한다. (4) 농축전지(concentration cells) : 전해질의 농도가 각 전극에 따라 상이하다. 일차전지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조한다. 일반적인 형태는 원통형이나 단추형이 있다. 어떤 종류의 전지[예: 습전지(wet cells)와 몇몇 불활성전지(inert cells)]는 보통 전해질 없이 제시하여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재충전이 가능한(rechargeable) 전지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은 축전지(蓄電池 : electric accumulators)로서 제8507호에 분류한다.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에는 용기를 포함한 일차 전지의 부분품을 분류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터미널(terminals)(제8536호) (b) 태양전지(제8541호) (c) 탄소전극(제8545호) (d) 수명이 끝난 일차전지와 이들의 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제8548호) (e) 열전대(熱電對 : thermocouples)(예: 제8503호·제8548호·제9033호) [소호해설] 소호 제8506.10호·제8506.30호와 제8506.40호 이들 소호들의 분류는 음극(cathode)[탈분극전극(脫分極電極 : depolarising electrode)]의 구성물에 따라 결정한다. 그러나 음극이 이산화망간, 양극이 리튬인 일차전지는 제8506.50호의 리튬 일차전지로 분류한다(아래 소호 해설 참조). 소호 제8506.50호 이 소호의 분류는 양극(anode)의 구성물에 따라서 결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