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16 - 카본지, 셀프복사지, 그 밖의 복사지나 전사지(제4809호의 것은 제외한다), 종이로 만든 등사원지와 오프셋 플레이트(offset plate)(상자에 든 것인지에 상관없다)
[호해설] 이 호에는 압력[예: 타이프라이터 키(typewriter key)를 두드림으로써]·습기·잉크 등에 의하여 원본의 복사가 일 매 이상 만들 수 있도록 도포한 종이·침투된 종이를 분류한다. 이러한 종이류는 폭이 36㎝를 초과하지 않는 롤(roll) 모양의 것이나 접지 않은 상태에서 각 변의 길이가 36㎝를 초과하지 않는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의 시트(sheet) 모양의 것이나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 이외의 모양으로 절단한 것에 한정해서 이 호에 분류하며; 이 조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제4809호에 분류한다. 등사원지(duplicator stencils)와 오프셋 플레이트(offset plate)지에 있어서는 크기에 대한 조건이 필요없다. 이 호의 물품은 대개 상자에 넣어져 있다. 이 호의 물품은 복사 과정에 따라서 다음 두 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A) 도포한 물질이나 침투한 물질의 전부나 일부가 다른 표면에 이전되어 원본을 복사하는 종이 이 범주에는 다음의 물품을 포함한다. (1) 카본지(carbon paper)나 이와 유사한 복사지 이 물품은 카본블랙(carbon black)이나 그 밖의 착색료와 혼합한 지방성 물질이나 왁스(wax) 물질을 도포하거나 때로는 침투시켜서 만든다. 보통의 종이 위에 복사하는데는 펜·연필·타자기를 사용한다. 이들 종이는 (a) 간지와 일회나 반복하여 사용하는 얇은 종이(thin paper)이거나 (b) 대개 세트(set)의 부분을 형성하는 보통 중량의 도포한 종이이다. 이 그룹에는 복사기에 사용하는 헥토그래픽카본지(hectographic carbon paper)(이것은 많이 복사하기 위하여 인쇄 "플레이트(plate)"로서의 역할을 하는 마스터시트(master sheet)를 만드는데 사용한다)도 포함한다. (2) 셀프 복사지(self-copy papers) 카본(carbon)이 없는 복사지(carbonless copy papers)로도 알려진 이 복사지는 부채를 접은 형으로 되어 있다. 사무용 기기나 철필에 의하여 원본에 가하여진 압력은 보통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의 다른 종류의 성분 사이에 반응을 일으켜서 동일 면이나 인접한 두 개의 면에 원본에 가하여진 압력의 형이 복사된다. (3) 열전사지(heat transfer papers) 이것은 감광성 물질이 한 쪽면에 도포되어 있는 종이이며 도포 물질을 혼합한 염료를 보통의 종이 위에 이전시키는 과정에 의하여 원본이 복사되는 적외선 복사기에 사용한다(열전사 처리). (B) 앞에서 설명한 (A)이외의 방법에 의한 복사지·등사원지·오프셋플레이트 이 범주에는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1) 등사원지용 종이와 등사원지 등사원지용 종이(papers for duplicator stencils) : 얇고 강도가 높고 파라핀(paraffin)이나 그 밖의 왁스(wax), 콜로디온(collodion),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조제품을 도포·침투시켜 방수한 사이징을 하지 않은 종이이다. 타자기·철필·그 밖의 적당한 기구로 압력을 가하여 도포된 표면에 복사될 문자나 모양대로 구멍을 뚫는다. 등사원지 : 보통 분리가능한 두꺼운 이장지(detachable paper)를 상단에 부착하여 조제한 원지가 복사기에 고정되도록 특별히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때로는 카본(carbon) 복사를 위하여 종이가 삽입되어있다. 더욱이 등사원지는 일반적으로 안내표시나 그 밖의 여러 가지가 특별히 인쇄되어 있다. 이 호에는 프레임(frame)이 있는 주소인쇄기용 원지도 포함한다. (2) 오프셋 플레이트용 종이와 오프셋 플레이트 오프셋 플레이트(offset plate)용 종이는 석판인쇄용 잉크(ink)가 스며들지 않도록 한 쪽 면을 특수 물질로 도포한 것이다. 이것은 손이나 기계, 그 밖의 방법에 의하여 만든 문자나 디자인(design)을 보통의 종이 위에 복사하기 위하여 사무용 오프셋(offset) 인쇄기에 사용한다. 이 호의 종이는 부채를 접은 형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복사과정의 둘 이상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한쪽 면에 특수잉크(special ink)를 도포한 종이로서[카본지(carbon paper)의 경우와 같다] 이에 의해 문자나 디자인(design)의 반전 이미지(reverse image)를 앞에서 설명한 (B)(2)항에 기재된 플레이트(plate)와 유사한 제2의 종이 위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2의 종이를 적당한 등사기 위에 올려놓고 누르면 여기에 부착된 잉크(ink)로 인해 보통의 종이 위에 원본과 같은 상(positive image)이 전사되고 또한 많은 복사가 가능하다. 복사할 문구나 디자인(design)을 내재하고 있는 복사지나 전사지도 이 호에 분류하는데 순서대로 편철되어 있는지에는 상관없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을 제외한다.(a) 스탬프용 박(stamping foils)이나 블로킹용 박(blocking foils)로서 알려진 전사지 : 이것은 금속·금속 가루·안료를 도포한 얇은 종이로서 책의 표지·모자의 밴드(band) 등의 인쇄에 사용한다(제3212호). (b) 제3701호부터 제3704호까지의 감광지와 판지 (c) 젤라틴(gelatin)으로 제조된 복사용 페이스트(paste)(종이의 지지물이 있는 것)(제3824호) (d) 얇은 플라스틱층으로 만든 등사원지로서 분리가능한 종이가 부착되어 있으며, 일정의 크기로 절단되고 한쪽 끝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제39류) (e) 직접 도포 물질을 흑화함으로써 서류원본을 복사(열복사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열감광성 물질을 도포한 종이(제4811호나 제4823호) (f) 여러 가지 사무용 양식과 삽입식 카본세트(carbon set)(제4820호) (g) 전사지[디칼커매니어(decalcomania)](제4908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