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제4부 조제식료품  > 제23류 사료  > 제2303호 전분박·비트펄프·버개스
HS
제2303호의 해설

23.03 - 전분박과 이와 유사한 박(residue)류, 비트펄프(beet-pulp), 버개스(bagasse)와 그 밖의 설탕을 제조할 때 생기는 웨이스트(waste), 양조하거나 증류할 때 생기는 박과 웨이스트[펠릿(pellet) 모양인지에 상관없다]

[호해설]
이 호에는 특히 다음의 것에 포함한다.

(A) 전분박과 이와 유사한 박(residue)류[옥수수(corn)·쌀(rice)·감자(potatoes) 등에서 얻은 것]는 펠릿(pellet)이나 가루 상태로 제시하는 것이 보통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크(cake) 모양으로 제시하기도 하며 주로 섬유소와 단백질 물질로 구성한다. 이는 동물사료나 비료로 사용하며 ; 이들 박(residue)의 특정의 것(예: maize steeping liquors)은 항생물질(antibiotics) 제조용 배지(cultures)의 생산에 사용한다.

(B) 비트펄프(beet-pulp)는 사탕무의 뿌리에서 설탕을 추출한 후에 남은 박(residue)이다. 이는 건습(乾濕)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하나, 당밀이나 그 밖의 물품을 첨가하여 동물 사료용으로 조제한 것은 제2309호에 분류한다.

(C) 버개스(bagasse)는 사탕수수에서 즙액을 추출한 후 남은 섬유질의 박(residue)이며 이는 제지공업과 동물사료의 제조에 사용한다.

(D) 이 호에 분류하는 그 밖의 설탕을 제조할 때 생기는 웨이스트(waste)에는 정화 공정에서 나오는 찌꺼기·여과압축할 때 생기는 박(residue) 등을 포함한다.

(E) 양조하거나 증류 할 때 생기는 박과 웨이스트(waste)는 특히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곡류(보리·호밀 등)의 드레그(dregs) : 맥주 제조에서 얻으며 당화된 맥아즙(wort)을 여과한 후 남은 곡류찌꺼기로 구성한다.

(2) 발아한 맥아(malt sprouts) : 가마 중에서 건조 공정시 발아한 곡류로부터 분리한다.

(3) 홉 박(spent hops)

(4) 곡류·종자·감자 등에서 주정을 증류하고 남은 드레그(dregs)

(5) 세정 사탕무 펄프(beet pulp wash)[사탕무 당밀을 증류하고 남은 박(residue)]
(위 모든 물품은 습윤 상태나 건조 상태로 제시하는지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한다)
또한 이 호에는 앞에서 설명한 물품으로서 펠릿(pellet) 모양인 것도 포함한다(이 류의 총설 참조).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은 제외한다.

(a) 설탕 추출이나 정제 결과로 얻는 당밀(제1703호)

(b) 불활성 효모나 사용한 효모(제2102호)

(c) 사탕무 당밀(糖蜜)의 박(residue)을 태우고 세척하여 얻은 조상(粗狀)의 칼륨염(제2621호)

(d) 버개스 펄프(bagasse pulp)(제4706호)

◀ 제2302호 제2304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