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20 - 슬래그(slag), 회(灰), 잔재물(금속·비소나 이들의 화합물을 함유한 것으로 한정하며, 철강을 제조할 때 생기는 것은 제외한다)
[호해설] 이 호에는 금속·비소(금속을 함유하였는지에 상관없다)나 그들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슬래그(slag), 회(灰 : ash), 잔재물(제2618호·제2619호이나 제7112호의 것을 제외한다)을 분류하는데, 이것은 비소나 금속의 추출 공업이나 화학적 금속 화합물의 제조용의 기본 재료로 사용하는 종류의 것이다. 이들은 광물이나 중간 광물제품[매트(mattes) 같은 것]의 처리 결과로 만들었거나, 전해적 공정·화학적 공정이나 그 밖의 공정(금속의 기계적 작업을 하지 않는 공정)의 결과로 생성된다. 금속의 기계적 작업에서 나온 웨이스트(waste)나, 중고 금속제품이나 부서진 금속제품으로 구성된 스크랩(scrap)은 제외한다(제14부나 제15부). 한편, 비철금속의 기계적 작업에서 생성된 것이라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산화물인 스케일링(scaling)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매트(mattes)[제15부에 해당하는 구리 매트(copper mattes)·니켈 매트(nickel mattes)나 코발트 매트(cobalt mattes)를 제외한다]와 슬래그(slag)나 드로스(dross) : 예를 들어 구리·아연·주석·납 등의 함유량이 풍부한 것 (2) 경(硬 : hard) 아연의 스펠터(spelter) : 용융(溶融 : molten) 아연조에서 도금하고 남은 잔재물 (3) 침적물(sludge) : 금속의 제조나 제련(refining) 후 전해조(electrolytic baths)에서 발생한 침적물과 전기도금(electro-galvanising)에서 생긴 것 (4) 축전지 침적물(accumulator sludge) (5) 금속의 전해제련(electrolytic metal refining)으로부터 발생되는 잔재물로서 건조나 농축한 블록 모양의 것 (6) 황산구리 제조과정의 잔재물 (7) 불순한 산화코발트 잔재물 : 은광석을 처리 할 때 발생하는 것 (8) 사용한 촉매 : 금속 추출이나 화공약품 제조에만 사용하는 것 (9) 카아말라이트 라이(carmallite lyes) 잔재물 : 주로 염화마그네슘 제조에 사용하는 것 (10) 유연(有鉛 : leaded) 가솔린 슬러지(sluge)와 유연(有鉛) 안티녹(anti-knock) 슬러지(sluge) : 유연(有鉛) 가솔린과 안티녹(anti-knock)의 저장탱크로부터 얻어진 이들은 주로 납·납화합물(테트라에틸납과 테트라메틸납 포함)과 산화철(저장탱크의 녹에서 나온 것)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슬러지(sluge)는 납이나 납 화합물의 회수에 사용하며, 실질적으로 석유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11) 아연·납이나 구리의 제련(smelting)으로부터 생성된 연진(煙塵 : flue dusts) : 일반적으로 비소는 구리와 납의 제련에서 생성된 연진(煙塵) 속에 존재하며, 탈륨은 납과 아연의 제련에서 생성된 연진(煙塵) 속에 존재한다. (12) 아연·납이나 구리의 제련으로부터 생성된 슬래그(slag)·회(灰 : ash) 와 잔재물 : 일반적으로 산화물·황화물이나 다른 금속과의 아말감(amalgam)으로서 존재하는 수은의 함유량이 많은 것이다. (13) 안티모니(antimony)·베릴륨(beryllium)·카드뮴(cadmium)·크로뮴(chromium)이나 그 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슬래그(slag)·회(灰)와 잔재물 : 일반적으로 이들 금속을 함유하고 있는 물품을 가공(예: 열처리)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의 형태를 띠고 있다. (14) 슬래그(slag)·회(灰)와 잔재물 : 잉크·염료·안료(顔料)·페인트·래커(lacquer)와 바니시의 생산·배합과 사용으로부터 생성되는 웨이스트(waste)로부터 생긴 것으로서, 금속과 그들의 화합물의 재생에 사용하는 종류의 것을 말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은 제외한다.(a) 생활 폐기물의 소각으로 생기는 회(灰)와 잔재물(제2621호) (b) 석유저장탱크로부터 나온 슬러지(sluge)로서, 주로 석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제2710호) (c) 제28류에 해당하는 화학적으로 단일한 화합물 (d) 귀금속의 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이나 귀금속의 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예를 들어, 백금합금거어즈(gauze)형태의 닳거나 손상된 촉매 등을 포함한다]과 주로 귀금속의 회수에 사용하는 종류의 귀금속이나 귀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그 밖의 웨이스트(waste)와 스크랩(scrap)(제7112호) (e) 제15부의 금속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금속 스크랩(scrap) (f) 아연 더스트(zinc dust)(제7903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