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01 - 전동기와 발전기(발전세트는 제외한다)
[호해설] (Ⅰ) 전동기 전동기(electric motors)는 전기적 에너지(electrical energy)를 기계적 동력으로 변환하는 기계이다. 이 그룹에는 회전식 전동기(rotary motors)와 선형 전동기(linear motors)를 포함한다. (A) 회전식 전동기(rotary motors)는 회전운동의 방식으로 기계적 동력을 발생한다. 이들은 직류용이나 교류용과 설계된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형태와 크기의 것이 있다. 전동기의 하우징(housing)은 그 운전상황에 적합하도록 고려되어 있다[예: 방진(防塵 : dust proof)형·방적(防滴 : drip proof)형·방염(防炎 : flame proof)형의 전동기; 벨트구동의 전동기용이나 진동을 받는 전동용의 비고정식(non-rigid) 마운팅(mounting)]. 많은 전동기는 운전 중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팬이나 그 밖의 냉각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이 호에는 내연기관용의 시동전동기(제8511호)를 제외하고, 계기류·시계·타임스윗치(time switches)·재봉기·장난감 등에 사용하는 저출력 전동기에서 압연기(壓延機 : rolling mills) 등에 사용하는 대출력 전동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형의 전동기를 포함한다. 풀리(pulleys)·기어(gears)·기어박스(gearboxes)나 수동(手動 : hand)식 공구 구동용의 플렉시블샤프트(flexible shaft)를 장착하고 있는 전동기도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전동기·샤프트(shaft)·프로펠러(propeller)·러더(rudder)가 일체로 된 보트 추진용의 "아웃보드 모터(outboard motors)"를 포함한다. 시계무브먼트(clock movements)용의 동기전동기(synchronous motors)는 기어가 장치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이 호에 분류하며; 다만, 이러한 동기전동기가 시계의 윤열에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제외한다(제9109호). (B) 선형전동기(linear motors)는 선운동의 방식으로 기계적 동력을 발생한다. 선형유도전동기는 일반적으로 적층(자기박판층으로)된 자기회로(그 위에 코일이 배열되어 있다)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일차 멤버와 구리나 알루미늄의 판이나 형재 형태로 된 이차멤버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들 전동기는 일차멤버가 이차멤버에 대응하여 교류에 의하여 힘을 받을 때 추진력이 발생한다. 이들의 두 멤버는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기계적 접촉 없이 병진운동(다른 멤버가 움직일 때 한 멤버는 정지한다)이 일어난다. 선형유도전동기의 특징적인 모양은 설계된 목적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화한다. 호버트레인(hovertrain) 구동용의 것[일차멤버는 차량에 옮겨서 트랙에 고정된 레일(이차멤버)을 걸쳐 놓는다]; 적하물 취급장치 구동용의 것(차륜식트롤리의 아래에 부착된 이차멤버판이 레일 사이에 부설된 일련의 일차멤버코일 위로 주행한다), 가공식 컨베이어 운전용의 것[일차멤버를 갖춘 보기(bogie)가 이차멤버 궤조 아래로 주행한다]; 차량을 주차장이나 차량 스토어(store)에 위치시키는 것[이차멤버 파레트가 플로어(상)에 고정된 일차 멤버에 의해 교체되어진다]; 피스톤펌프와 밸브제어용의 것[이 기능은 환상의 일차멤버 사이로 샤프트(이차멤버)가 전후로 움직이는 "폴리솔레노이드(polysolenoid)"식 선형전동기에 의해 수행한다]; 여러 가지 공작기계 장치용의 것 등; 이 있다. DC 선형전동기는 그 작동이 전자석(電磁石)이나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며, 교류나 진동모터(예: 왕복펌프용·직기셔틀 구동용 등), 스테퍼모터(stepper motors)(예: 소형 컨베이어) 등과 같이 사용한다. 이 그룹에는 또한 다음의 것이 포함한다. (1) 별도로 제시된 보조전동기(servomotors) : 주로 감속기어가 달린 전동기와 동력전달장치[예: 레버·풀리(pulley)]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일러·노(爐 : furnace)·그 밖의 시설 속에서 여러 위치로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응급용의 수동(手動)식 휠을 갖출 수도 있다]. (2) 자기동기장치(self-synchronising units) : 이것은 120〫 각도로 세 번 감은 스테이터(stator)와 두 개의 슬립 링(slip rings)에 연결시켜서 한 번 감은 로터(rotor)를 갖추고 있으며, 한 쌍(동기 송신기나 동기 수신기)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원격측정용이나 원격조종장치로 사용한다. (3) 전기밸브 작동기(valve actuators, electrical) : 감속기어와 구동축을 갖춘 전동기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밸브 플러그(valve plug)를 작동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장치(전기시동기·변압기·핸드 휠 등)를 갖추고 있다. (Ⅱ) 발전기(elctric generators) 기계·태양 등 여러 가지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얻는 기계로서 이 표의 다른 호에 열거하지 않는 한 이 호에 분류한다. 여기에는 직류 발전기(DC generators : dynamos)와 교류 발전기(AC generators : alternators)의 두 가지 주요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두 기계는 필수적으로 하우징(housing) 내부에 장치된 고정자와 원동기(prime mover)에 의해 구동되는 축 위의 고정자(stator) 내측에 장치된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직류 발전기일 경우, 세그먼트(segment)를 가진 정류자가 회전자 축 위에 장치되어 있다. 발생된 전류는 정류자 세그먼트를 문지르는 탄소 브러시에 의해 모아져서 외부 회로로 흐르게 한다. 교류 발전기는 대부분의 경우 브러시가 없으며, 발생되는 전류는 외부 회로에 직접 도출한다. 그 밖의 교류 발전기의 경우 전류는 회전자축 위에 장치된 슬립 링(slip rings)에 의해 모아지며, 또한 슬립 링(slip rings)을 문지르는 탄소 브러시에 의해 이전한다. 고정자(stator)는 보통 전자석으로 되어 있으나, 어떤 종류의 직류 발전기(magneto-electric generators)에 있어서는 영구자석을 사용한다. 회전자(rotor)는 보통 적층철심(laminated iron core)에 권취된 선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동자로 불린다. 어떤 교류 발전기에 있어서는 자계(field system)가 회전하는 것도 있다. 발전기에는 수동(手動)식이나 페달식의 것이 있는데, 보통 원동기(prime mover)가 장치되어 있다(예: 수압 터빈·증기터빈·풍력엔진·왕복식 증기엔진·피스톤식 내연기관). 단, 이 호에는 원동기가 없이 제시하는 발전기만을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광전(光電)식의 발전기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광전지 패널(panels)[그 밖의 다른 장치(예: 축전지(蓄電池)와 전자조절장치(전압조절기·변압장치 등))와 결합된 것]과 간단한 소자[예: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다이오드(diodes)]를 갖춘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력을 직접 전동기나 전해조(electrolyser)에 공급한다. 이 장치에서는 광전지가 직접 태양에너지를 전력으로 변환(광전지 변환)시켜 줌으로써 전력을 발생한다. 이 호에는 발전소용의 대형 발전기; 여자(勵磁 : excitation)용의 소형 보조발전기; 여러 가지 용도(예: 선박용·외부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농장내용·전해용의 화학공업용과 디젤전기기관차용)에 전류를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여러 가지 규격과 형태의 발전기를 포함하여 모든 발전기를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벨트(belt)나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용 전동기를 결합한 드럼(drum)이나 롤러(roller)(제8431호) (b) 제8479호의 진동전동기와 전자석(電磁石)식의 진동기(제8479호의 해설 참조) (c) 원동기(prime mover)가 부착된 발전기(제8502호) (d) 고압발전기(제8504호) (e) 일차전지(제8506호) (f) 발전기(dynamos and alternators)(내연기관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 자전거나 자동차에 사용하는 종류의 것으로서 조명 기기용이나 신호 기기용의 것)(각각 제8511호와 제8512호 참조) (g) 광전지 : 모듈(modules)에 조립되었는지 패널(panel)로 만들어졌는지에 상관없으나, 아무리 단순한 것일지라도 소자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기나 전해조에 전류를 직접 공급하는 것(제8541호) (h) 특정의 전기기기 : 때때로 generators라고 하나 신호발생기와 같이 실제로 전기에너지를 발생하지 않는 것(제8543호) (ij) 제90류의 발전기[예: X-ray 발생기(제9022호)]; 발전기로서 전시용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다른 용도에는 부적합한 것(제9023호)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에 해당하는 기계의 부분품은 제8503호에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