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5부 비(卑)금속과 그 제품  > 제74류 구리  > 제7406호 분과 플레이크
HS
제7406호의 해설

74.06 - 구리의 가루와 플레이크(flake)

[호해설]
이 호에는 제15부의 주 제8호나목에 규정한 구리의 가루와 플레이크(flake)를 분류한다[제7401호에 해당하는 흑색가루인 시멘트동(침전동)은 제외한다]. 또 제15부의 주 제7호 규정을 전제로 구리의 가루와 다른 비(卑)금속 가루와의 혼합물[예: 구리 가루와 주석 가루의 단순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황동가루(bronze powder)"]도 포함한다.
구리의 가루는 주로 전착법(電着法)이나 분무법[용융(溶融 : molten) 금속의 세류(細流 : thin stream)를 물·증기·공기·그 밖의 가스의 고점도 크로스 제트(cross-jet)에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위에 설명한 주된 두 가지 제법 외에도 구리의 가루는 미세한 분말로된 산화물의 가스 환원, 용액의 침전이나 고체를 잘게 부수어 소규모로 생산되는 경우도 있다. 층상 조직의 가루와 플레이크(flake)는 보통 박(箔)을 잘게 부수어 제조한다. 층상의 형태인지는 플레이크(flake)의 경우 육안이나 확대경에 의하여, 순수한 가루의 경우에는 현미경에 의하여 관찰할 수 있다.
제조방법에 따라 입자의 크기와 모양[최소 불규칙한 모양·구(球) 모양이나 층 모양 조직]의 특징이 결정된다. 층 모양 조직의 가루는 때로 연마되지만 그 조제과정에서 사용하는 그리지(greasy)나 왁스(wax)[예: 스테아린산(stearic acid)과 파라핀 왁스(paraffin wax)]의 흔적이 남는 것도 있다.
가루는 압축과 소결(燒結)에 의하여 베어링(bearing)이나 부싱(bushing)과 그 밖의 많은 기계부분품의 제조에 사용한다. 또 화학용이나 야금(冶金)용의 시약으로서, 납땜용과 용접용의 물품에 특수 시멘트 제조에 전기도금용 기본 재료로서 비(非)금속 표면의 도장용에 쓰인다. 플레이크(flake)는 주로 잉크와 페인트를 제조할 때 금속안료로 사용한다. 또 플레이크(flake)는 그들이 달라붙을 바니시(varnish)가 도장된 표면에 직접 흡착(吹着)시키는 방법으로 금속성 착색물질로서 직접 사용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을 제외한다.

(a) 때로는 "청동(bronze)"이나 "금(gold)"으로 알려진 것이며 페인트 조제에 사용하는 특정한 가루와 플레이크(flake) 가루. 그러나 실제 이들은 안티모니염·이황화석 등과 같은 화학적 화합물이다(제28류, 조제페인트 모양이면 제32류).

(b) 착색제, 페인트나 이와 유사한 물품이 되도록 조제한 가루와 플레이크(flake)[예: 그 밖의 착색제와 혼합한 것, 점착제나 용제로 서스펜션(suspension)·디스퍼션(dispersion)이나 페이스트(paste)가 되도록 조제한 것](제32류)

(c) 제7403호의 구리의 숏(shot)

(d) 구리의 박(箔)을 절단한 스팽글(spangle)(제8308호)

◀ 제7405호 제7407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