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5부 비(卑)금속과 그 제품  > 제72류 철강  > 제7217호
HS
제7217호의 해설

72.17 - 철이나 비합금강의 선(線)

[호해설]
이 호의 선(wire)은 이 류의 주 제1호하목에 정의되어 있다.
선은 제7213호의 열간(熱間)압연(hot-rolled)한 봉을 다이를 통해 인발(引拔 : drwaing)하여 대부분 제조하지만, 그 밖의 냉간(冷間 : cold) 성형공정(예: 냉간압연)에 의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선은 코일 모양(정열되지 않은 나선형이나 정열된 나선형을 가지며, 지지물이 있는지에 상관없다)으로 제시한다.
가공한(예: 곱슬곱슬하게 한 것) 선도 이 호에 분류하나, 그러한 가공으로 인하여 다른 호의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한다.
직물과 같은 재료로 피복한 선으로서 철강의 심이 기본 구성요소이고 다른 재료는 단지 피복하기 위해서만 사용한 것이며[예: 모자의 구조틀(milliners' wire) 제조용 선과 조화(造花)용 줄기나 헤어컬에 사용하는 선] 이 호에 분류한다.
선은 매우 많은 용도에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철책·거즈·망·못·로프(rope)·핀(pin)·침·공구와 스프링(spring) 제조용 등이다.


이 호에는 다음 물품을 제외한다.

(a) 금속실(제5605호)과 선으로 보강한 끈과 코드(제5607호)

(b) 제7312호의 연선(stranded wire)·로프(rope)·케이블(cable)과 이와 유사한 것

(c) 유자선(有刺線 : barbed wire); 울타리용에 사용하는 종류의 꼬임 모양의 평선(유자(有刺)의 것인지에 상관없다)(제7313호)

(d) 직기용의 종광(綜光 : heald) 제조용 듀플렉스(duplex) 선으로서 매듭용의 한 끝이나 양 끝을 작은 구멍이나 올가미가 되도록 꼰 선을 인발(引拔 : drawing) 후 두 개의 선의 가닥을 접합하여 제조되는 것(제7326호)

(e) 도포된 전기 용접봉(제8311호)

(f) 침포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톱니 모양의 선[전체가 강제(鋼製 : steel)인 침포](제8448호)

(g) 전기절연선[에나멜선(enamelled wire)을 포함](제8544호)

(h) 악기의 현(제9209호)

[소호해설]
도포·도금이나 클래딩 공정의 한 개 유형 이상을 거쳐 만든 제품에 관하여는 소호 제7210호에 규정한 해설을 참고할 것.

◀ 제7216호 제7218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