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6부 화학공업생산품  > 제38류 화학공업생산품  > 제3806호 로진과 수지산
HS
제3806호의 해설

38.06 - 로진(rosin)·수지산과 이들의 유도체, 로진 스피릿(rosin spirit)과 로진유(rosin oil), 런검(run gum)

[호해설]

(A) 로진(rosin)과 수지산(resin acids)
로진(rosin)과 수지산(resin acids) : 모두 소량의 비산성(非酸性) 물질을 함유하는 아비에트산(abietic acid)과 연관된 산(allied acid)의 복합혼합물로 주로 조성되어 있으며 보통 투명한 유리질의 고체이다. 색상은 불순물이 존재하는 양에 따라 엷은 황색부터 암갈색까지 다양하다.
로진과 수지산은 다음의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다.

(1) 소나무나 그 밖의 침엽수[송지(pine resin)·갈리팟(galipot)·바라스수지(barras resin) 등]로부터 침출물의 형태로 얻어진 올레오(oleo)수지물질을 증류한 휘발성 테르펜계산품[테레빈유(spirits of turpentine)와 이와 유사한 테르펜계용제]을 분리

(2) 소나무 그루터기 부분으로부터 용제(溶劑 : solvent) 추출

(3) 돌유(tall oil)의 분획증류물·펄프와 제지공업의 부산물
로진(rosin)과 수지산 : 특정 비누제조·종이의 사이징(sizing)·바니시(varnish)·광택제·매스틱(mastic)·잉크·실링왁스(sealing-wax) 제조·주물용 코어 점결제·브루어피치(brewers' pitch) 등의 조제, (B)와 (D)에 열거한 로진(rosin) 유도체와 로진유(rosin oil)의 제조 원료로서 사용한다.

(B) 로진염·수지산염이나 로진·수지산 유도체의 염(로진 부가물의 염은 제외한다)
이 그룹의 염에는 로진(rosin)의 염·수지산염·로진이나 수지산의 유도체의 염(로진 부가물의 염은 제외한다)을 포함한다. 수지산 나트륨이나 수지산 칼륨은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 용액에서 가루 로진(powdered rosin)을 끓여서 만든다. 그 밖의 무기 수지산염은 일반적으로 금속염의 용액으로 수지산 나트륨이나 수지산 칼륨을 침전하여 만들거나[침전 수지산염(precipitated resinates)] 로진(rosin)이나 수지산과 금속산화물의 혼합물[용융 수지산염(fused resinates)]을 용융하여 만든다. 이러한 물품의 예로는 알루미늄·칼슘·코발트·구리·망간·납과 아연의 수지산염이 있다.
수지산염은 바니시(varnish)나 페인트 제조용 기름의 조성을 배가시키는데 사용하며 또한 살균제·소독제 등의 제조에 사용한다.
경화 로진(hardened rosin)도 이 그룹에 포함한다. 경화 로진은, 예를 들어 수산화칼슘(약 6%의 비율)으로 로진이나 수지산을 처리하여 얻으며 이를 경화하여 바니시(varnish) 제조용에 더욱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귀금속의 수지산염(제2843호)과 제2844호부터 제2846호까지에 열거된 수지산염

(b) 수지산염을 기본 재료로 한 조제 드라이어(제3211호)

(c) 고급 지방산과 로진·수지산의 혼합물을 검화(비누화)하여 얻어진 수지비누(resin soaps) (제3401호)와 수지산염을 기본 재료로 한 그 밖의 조제 세제(제3402호)

(C) 에스테르 검(ester gums)
이는 로진이나 수지산·이들의 산화·수소화·불균형화(탈수소화)·중합유도체에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글리세롤(glycerol)·그 밖의 다가 알코올로 에스테르화(esterified) 하여 얻어진다. 이들 에스테르 검(ester gums)은 천연 수지보다 가소성이 좋은데(more plastic), 이 특성으로 안료와 그 밖의 재료의 혼합에 적합하다.

(D) 기 타

(Ⅰ) 로진과 수지산의 유도체

(1) 산화로진(oxidised rosin)과 산화수지산(oxidised resin acids) : 보통 오랫동안 땅에 방치됨으로 인해 수지산 함유량이 자연 산화된 침엽수의 그루터기의 추출물(extract)을 증류하여 생긴 잔재물로서 얻어진다. 로진과 수지산은 인공적으로 산화시킬 수도 있다. 산화로진과 산화수지산은 글루(glue) 유제·바니시(varnish)·페인트·잉크의 제조와 전기절연 등에 사용한다.

(2) 수소화로진(hydrogenated rosin)과 수소화 수지산(hydrogenated resin acids) : 촉매 하에서 수소로 로진과 수지산을 처리하여 얻어진다. 이들은 보통 로진과 수지산보다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크며, 빛에 쉽게 변색하지 않는다. 이들은 바니시·비누 등 제조에 사용한다.

(3) 불균화(탈수소)로진[disproportionated(dehydrogenated) rosin]과 불균화 수지산(disproportionated resin acids) : 예를 들면, 로진과 수지산을 적당한 온도나 산(酸)촉매(황과 셀렌도 실용적인 촉매이다)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열처리해서 제조된다. 이들은 바니시 등 제조에 사용한다.

(4) 중합 로진(polymerised rosin)과 중합 수지산(polymerised resin acids) : 로진과 수지산을 황산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며, 특히 높은 점도와 안정이 있는 바니시의 제조에 사용한다. 중합도(重合度 : degree of polymerization)는 매우 낮다. 중합 로진과 수지산은 보통 다이머(dimer)와 불중합산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다이머화 로진(dimerised rosin)으로도 불리어지기도 한다.

(5) 로진이나 수지산의 모노수소알코올에스테르(monohydric alcohol esters). 여기에 분류하는 에스테르(esters)에는 "레지네이트(resinates)"나 "아비에테이트(abietates)"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다[예: 메틸(methyl)·에틸(ethyl)과 벤질에스테르(benzyl esters)·"메틸 히드로 아비에테이트(methyl hydroabietate)"]. 이것들은 특히 셀룰로오스래커(cellulose lacquer)의 가소제(可塑劑 : plasticizer)로 사용한다.

(6) 이수소 아비에틸(dihydroabietyl)·사수소 아비에틸(tetrahydroabietyl)·탈수소 아비에틸(dehydroabietyl) 알코올의 혼합물("abietyl alcohol")

(7) 로진 부가물과 이들의 유도체 : 이들은 푸말산(fumaric acid)·말레산(maleic acid)이나 이들의 무수물(無水物)과 변성된 로진이나 수지산으로서 알키드레진(alkyd resin)·로진사이징(rosin size)과 잉크 제조에 사용한다. 이들 부가물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글리세롤(glycerol)·그 밖의 다수소(polyhydric) 알코올을 에스테르화(esterified)한 결과일 수도 있다. 이 그룹에는 로진(rosin) 부가물의 염[예: 말레산로진 부가물의 염(salts of rosin-maleic adducts)이나 푸말산로진 부가물의 염(salts of rosin-fumaric adducts)]도 포함한다.

(Ⅱ) 로진 스피릿(rosin spirit)과 로진오일(rosin oil)
이 물품은 보통 로진(rosin)이나 수지산(resin acids)을 과열수 증기와 촉매로 증류하거나 분해증류(分解蒸溜 : destructive distillation)하여 얻는다. 이들 주요 성분은 산화수소의 복합혼합물이며 증류 상태에 따라서 유기산(organic acids)을 다소 함유하고 있다.

(1) 로진 스피릿(rosin spirit) : 가장 휘발성이 강한 분획물로서 유동성이 있고 자극성 냄새가 있는 담황색 액체이며, 수지용 용제(溶劑 : solvent)·바니시·페인트 등의 제조에 사용한다.

(2) 로진오일(rosin oil) : 다소 점착성이 있고, 색상과 품질이 다양하며(금색 기름·백색 기름·녹색 기름·갈색 기름) 연기와 같은 냄새가 있다. 주로 윤활유·절삭유·인쇄잉크·연고·바니시·페인트 등의 제조에 사용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술폰화 로진오일(rosin oil)(제3402호)

(b) 살아있는 소나무나 그 밖의 살아있는 침엽수로부터 뽑아낸 올레오레진(oleoresin) 침출물을 증류해서 얻은 휘발성 성분(제3805호)

(c) 로진피치(rosin pitch)(제3807호)

(Ⅲ) 런검(run gum)
런검(run gum)은 열대지방 수목의 올레오레진(oleoresin) 침출액으로부터 "검러닝(gum running)"이라는 공정을 통해 얻는다. 그 공정에서는 침출액을 열처리하여 건성유(drying oils)에 용해되도록 한다. 런검의 가장 보통 원천은 코펄(copal)이다.

◀ 제3805호 제3807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