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6 - 프로비타민과 비타민(천연의 것과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합성의 것으로 한정하며, 천연의 프로비타민 농축물과 비타민 농축물을 포함한다), 이들의 유도체로서 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과 이들의 상호 혼합물(용매에 용해하였는지에 상관없다)
[호해설] 비타민은 활성제(active agents)로서 인체와 그 밖의 동물의 조직체가 적당한 기능을 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체외에서 얻어지며 복잡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다. 비타민은 인체 내에서는 합성이 되지 않으므로 완성된 형이나 거의 완성된 형(프로비타민)으로 체외에서 섭취된다. 비교적 소량으로 효과가 있으며, 외생적인 생체 촉매로서 간주한다. 비타민의 결핍은 신진대사를 저해하고 나아가서 비타민 결핍증을 일으킨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프로비타민과 비타민(천연의 것인지 합성의 것인지에 상관없다)과 주로 비타민으로서 사용하는 것들의 유도체 (b) 천연 비타민들의 농축물(예: 비타민 A나 비타민 D 등의 농축물); 비타민 영양가를 높이기 위하여 이들 비타민을 농축한 형태이다. 이들 농축물로 동물사료 첨가용으로 사용하거나 비타민 유리(遊離 : isolation)용에 사용한다. (c) 비타민, 프로비타민이나 농축물의 혼합물 :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비율로 된 천연의 비타민 A나 비타민 D의 농축물로서 비타민A나 비타민D가 추가로 첨가 되어 있다. (d) 앞에서 설명한 물품을 용제(溶劑 : solvent)(예: 올레산에틸·프로판-1,2-디올·에탄디올·식물유)에 희석한 것 이 호의 물품은 보존이나 수송의 목적으로 아래와 같이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것 - 고결방지제(anti-caking agents)(예: 탄수화물)를 첨가한 것 - 특정한 물질(예: 젤라틴·왁스나 기름)로 도포한 것(가소화시킨 것인지에 상관없다)이나 - 특정한 물질(예: 실릭산)로 흡수시킨 것 다만, 앞에서 설명한 첨가량이나 흡수 처리가 이들 물품의 보존이나 운송에 필요한 양(量)이나 흡수 처리를 초과하지 않고, 해당 물품의 기본적 특성의 변경을 가져오지 않고 특히 일반 용도보다도 특정 용도에 적합하도록 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한다. 제2936호의 프로비타민과 비타민으로 분류하는 물품의 목록 다음의 각 그룹별 제품의 목록은 전부를 나열한 것은 아니며, 다만,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A) 프로비타민(provitamins) 프로비타민 D (1) 비자외선 조사(照射 : non-irradiated)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이나 프로비타민 D2 : 에르고스테롤은 호밀의 맥각균·양조용 효모·버섯과 그 밖의 균류에서 발견된다. 이것은 비타민 작용을 하지 않는다. 공기 중에서는 황색으로 변하는 백색의 플레이크(flake)로서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과 벤젠에는 녹는다. (2)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이나 프로비타민 D3 : 동물의 피부 중에 존재하며 이는 울 그리스(wool grease)나 레시틴(lecithin)을 제조할 때 부산물로부터 추출된다. 플라테렛트(platelets)는 물에 녹지 않으며 유기용제에 녹는다. (3)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22,23-디히드로엘고스테롤나 프로비타민 D4 (4)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7-데히드로-베타-시토스테롤나 프로비타민 D5 (5)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엘고스테릴 아세테이트 (6)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7-데히드로엘고스테릴 아세테이트 (7) 비자외선 조사(照射)의 22,23-디히드로엘고스테릴 아세테이트 (B) 비타민 A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서 사용하는 것) 비타민 A(성장이나 항결막건조증 비타민)는 신체의 정상 발육 특히 피부·골과 눈의 강막에 중요하다. 이 비타민 A는 상피 계통의 정상적인 감염 저항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생리작용과 유즙 분비를 위하여 필요하다. 이들은 지방에 녹으며 일반적으로 물에는 녹지 않는다. (1) 비타민 A1 알코올(악세로프톨·레티놀)(INN) 비타민 A1 알데히드(레티넨-1·레티날) 비타민 A1산(트레티노인(INN)·레티노산) 비타민 A1은 동물성 산품(해수어·낙농품·알) 중에 알코올이나 지방산 에스테르(esters)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주로 신선한 어간유(魚肝油 : fish liver oil)에서 추출되며 또한 합성에 의해서도 얻어진다. 이는 실내의 온도에서는 기름 상태를 유지하는 황색의 고체이며 냉각하면 황색의 결정체로 된다. 공기 속에서는 불안정하므로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여 안정화시킬 때가 있다. (2) 비타민 A2 알코올(3-데히드로악세로프톨,3-데히드로레티놀) 비타민 A2 알데히드(레티넨-2,3-데히드로레티날) 비타민 A2는 비타민 A1과 같이 천연으로는 광범위하게 존재하지 않으나 담수어에서 추출되며 비타민 A2 알코올은 고체화하지 않으나 비타민 A2 알데히드는 오렌지색의 결정체로 얻어진다. (3) 초산·팔미트산 비타민 A와 그 밖의 지방산 에스테르(esters) : 이들은 합성비타민 A로부터 얻어지며; 산화에 민감하며 아세트산비타민 A는 황색의 가루이며 팔리트산비타민 A는 황색의 액체로서 순수 상태에서 결정화 될 수 있다. (C) 비타민 B1과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B1은 신경통 방지용 비타민이며 각기병 예방에 중요한 물품이며 탄수화물의 신진대사에 중요하다. 여러 가지의 다발성 신경통·위장장해의 치료와 적당한 식욕을 유지하는데 사용한다. 이 비타민은 물에 녹으며, 열에 매우 불안정하다. (1) 비타민 B1[티아민(INN)·애뉴린] : 티아민(thiamine)은 많은 동식물(예: 곡물의 외피·양조용 효모·돈육·간(liver)·낙농품·알 등)의 조직 중에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합성에 의하여 제조되고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공기 속에서는 안정하다. (2) 염산티아민(thiamine hydrochloride) :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흡습성이며 매우 불안정하다. (3) 모노질산티아민(thiamine mononitrate) :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상당히 안정하다. (4) 티아민-1,5-염(thiamin-1,5-salt)(애뉴린-1,5-염,애뉴린 나프탈렌-1,5-디술폰산염) (5) 염산살리실산티아민(thiamine salicylate hydrochloride)(염산살리실산애뉴린) (6) 염소브롬화살리실산티아민(thiamine salicylate hydrobromide)(염소브롬화살리실산애뉴린) (7) 요도티아민(iodothiamine) (8) 염산요도티아민(iodothiamine hydrochloirde) (9) 요드화수소요도티아민(iodothiamine hydriodide) (10) 비타민 B1의 오르토인산에스테르(orthophosphoric ester)나 오르토인산티아민과 이 에스테르의 모노-, 디-염산과 모노인산염 (11) 비타민 B1의 니코틴산에스테르(nicotinic ester) (D) 비타민 B2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B2는 영양제와 성장촉진 비타민이며; 탄수화물용 이용인자(utilisation factor)로서 생리적으로 중요하며 물에 녹으며 열에 안정하다. (1) 비타민 B2[리보플라빈(INN)·락토플라빈] : 여러 가지의 생산품과 식료품 중에 비타민B1과 결합하여 존재하고 있으며 증류와 발효 잔유물과 소의 간(beef liver)으로부터 추출되며 합성에 의해서도 얻는다. 오렌지노란색 결정으로서 빛에 상당히 민감하다. (2) 리보플라빈 5'-오르토인산에스테르나 5'-오트토인산리보플라빈과 그 나트륨이나 디에탄올아민염 : 리보플라빈보다 물에 잘 녹는다. (3) (히드록시메틸)리보플라빈이나 메틸올리보플라빈 (E) D-나 DL-판토텐산(비타민 B3·비타민 B5로 알려져 있다)과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이들 화합물은 머리카락회색방지·피부발육과 지방과 탄수화물의 신진대사작용을 한다. 선(glands)·간(liver)·위장·호흡기의 활동에 필수적이며, 물에 녹는다. (1) D-나 DL-판토텐산[엔-(알파·감마-디히드록시-베타·베타-디메틸부티릴)-베타-알라닌] : 이 비타민은 비타민 B3·B5로 알려져 있고, 생물의 세포와 조직(예: 포유동물의 간·콩팥·배아·효모·밀크·조당밀 등) 중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합성에 의하여 얻어진다. 황색 점성의 기름 상태로서; 물에는 서서히 녹고 대부분의 유기용제에 녹는다. (2) D-와 DL-판토텐산 나트륨 (3) D-와 DL-판토텐산 칼슘 : 비타민 B3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백색 가루로 물에 녹는다. (4) 판토테닐 알코올(pantothenyl alcohol)이나 판토테놀(D-와 DL-)(알파,감마 -디히드록시-엔-3-히드록시프로필-베타,베타-디메틸 부티르아미드) : 점성질의 액체로서 물에 녹는다. (5) 디-판토테놀에틸에테르(D-pantothenol ethyl ether)(디-알파,감마-디히드록시-엔-3-에톡시프로필-베타,베타-디메틸부티르아미드) : 점성질의 액체로서 물과의 혼합이 용이하고 유기용제에 쉽게 녹는다. (F) 비타민B6과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B6은 항피부염성 비타민(피부보호)이다. 이것은 신경계·영양과 아미노산·단백질과 지방질의 신진대사 작용에 대한 역할을 한다. 임산부의 구토·수술 후의 영양장해 등에 사용한다. 물에 녹고 빛에 상당히 민감하다. (1) 피리독신(pyridoxine)(INN)이나 아데르민(피리독솔)(3-히드록시-4, 5비스(히드록시메틸)-2-메틸피리딘) 피리독살(4-포르밀-3-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2-메틸피리딘) 피리독사민(4-아미노메틸-3-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2-메틸피리딘) 이들 비타민 B6의 세 가지의 형태는 양조용 효모·사탕수수·곡물의 외피·쌀겨·밀 배아유(wheat germ oil)·아마인유·포유동물과 어류의 간(liver)·육(meat)과 지방에 함유되어 있으며 대부분이 합성으로 제조되고 있다. (2) 염산피리독신(pyridoxine hydrochloride) 오르토인산피리독신 피리독신트리팔미트에스테르 염산피리독살 이염산피리독사민 인산피리독사민 이들은 비타민 B6의 정상적인 모양이며 무색의 결정이나 플레이크(flake) 모양이다. (3) 피리독신오르토인산에스테르(pyridoxine orthophosphoric ester)와 그 나트륨염 피리독살오르토인산에스테르와 그 나트륨염 피리독사민오르토인산에스테르와 그 나트륨염 (G) 비타민 B9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B9는 혈액세포의 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악성빈혈 치료에 유효하다. 시금치·녹색식물·양조용 효모·동물의 간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합성에 의하여 제조된다. (1) 비타민 B9(폴릭산(INN)이나 테로일글루탐산)와 그 나트륨염과 칼슘염 (2) 폴린산(INNM)(5-포르밀-5,6,7,8-테트라히드로테로일글루탐산) (H) 비타민 B12[시아노코발아민(INN)와 그 밖의 코발아민(히드록 소코발아민·메틸코발아민·니트로코발아민·술피토코발아민과 이들의 유도체 비타민 B12는 악성빈혈 치료에 있어서 비타민 B9보다 더욱 효과가 있다. 분자량이 크고 코발트를 함유하고 있으며 포유동물과 어류의 간(liver)·육(肉)·알(卵)·밀크 등에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항생물질 배양폐액(spent antibiotic liquors)·사탕무 당밀(糖蜜 : molasses)·유장(乳獎 : whey) 등에서 얻어지며 암적색의 결정체로서 물에 녹는다. (IJ) 비타민 C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C는 항괴혈병 비타민으로서 감염에 투항력을 증가시키며 물에 녹는다. (1) 비타민 C(L-이나 DL-아스코르브산(INN) :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많은 식물성 식품(과실·녹색채소·감자 등)이나 동물성 물품(간·비장·부신·뇌·밀크 등) 중에 함유되어 있으며; 레몬주스·풋고추와 고추·파란 아니시드 잎·용사난(agave) 섬유의 처리 잔류액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대부분이 합성에 의하여 제조한다.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건조한 공기 중에서 상당히 안정하며 강한 환원제로서 작용한다. (2)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3) 아스코르브산 칼슘과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4) 스트론튬(엘)아스코르보신코니네이트(스트론튬(엘)아스코르보-2-페닐퀴놀린-4-카르복실레이트) (5) 아스코르브산 사르코신 (6) 아스코르브산 엘-알기닌 (7) 팔리트산 아스코르빌 : 비타민C의 지방에 녹는 형상으로서 지방과 기름의 유화제와 산화방지제로 사용한다. (8) 하이포린산아스코르브산칼슘 (9) 아스코르보글루탐산나트륨 (10) 아스코르보글루탐산칼슘 (K) 비타민 D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D는 항구루병 비타민이다. 지방에 녹는다. 동식물 중 인산과 칼슘의 이용을 조정하고 이빨과 뼈의 발육을 돕고; 지방에 녹는다. 비타민 D는 일반적으로 동식물 중에서 생성과 변환되는 스테롤이나 스테롤 유도체인 프로비타민 D를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나 활성화하여 얻는다. (1) 비타민 D2와 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들의 유도체 (a) 비타민 D2와 활성화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된 엘고스테롤(ergosterol)[칼시페롤(calciferol)·엘고칼시페롤(ergocalciferol)] :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공기·빛이나 열에 노출되면 황색으로 변하며; 물에 녹지 않으며, 지방에 녹는다. 코코아두와 어류의 간에 함유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프로비타민 D2를 활성화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하여 제조된다. (b) 비타민 D2의 초산과 그 밖의 지방산 에스테르(esters) (2) 비타민 D3와 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이의 유도체 (a) 비타민 D3과 활성되거나 자외선 조사된 7-데히드로콜레스테롤(콜레칼시페롤) : 백색의 결정질 가루로서 공기 속에서는 서서히 변질되며; 물에 녹지 않으며, 지방에 녹는다. 어유(魚油)나 어간유(魚肝油)로부터 추출되며 일반적으로는 프로비타민 D3을 활성이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하여 제조되며 비타민 D2보다 활성이 더 강하다. (b) 활성되거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된 초산-7-데히드로콜레스테릴과 그 밖의 비타민 D3의 지방산 에스테르(esters) (c) 비타민 D3-콜레스테롤 분자화합물 (3) 비타민 D4와 활성되거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된 22, 23-디히드로엘고스테롤 : 백색의 플레이크(flake)로서 비타민 D2보다 생물적인 활성이 낮다. (4) 비타민 D5와 활성되거나 자외선 조사(照射 : irradiation)된 7-데히드로-베타-시토스테롤 (L) 비타민 E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E는 항불임성 비타민으로서 신경과 근육계에 중요하며 지방에 녹는다. (1) 비타민 E나 (D-와 DL-)-알파토코페롤, 베타토코페롤과 감마토코페롤 : 토코페롤(tocopherol)은 여러 가지의 동식물(예: 코코아나 코코아두·목면의 종자·식물유·콩과의 잎·사라다 잎·자주개자리·낙농품 등) 생산품 중에 존재하며 주로 밀 배아유(wheat germ oil)에서 추출된다. 또한 라세미산 이성질체는 합성에 의하여 얻는다. 무색의 기름(油 : oil) 상태로서 물에 녹지 않으며 알코올·벤젠과 지방에 녹으며; 산소와 빛이 없는 곳에서는 열에 안정하다. 또한 이의 산화방지성은 지방과 식품의 억제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숙신산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파토코페릴으로도 알려져 있다). (2) 초산알파토코페릴·숙신산수소에이토코페릴·숙신산폴리에틸렌글리콜 알파토코페릴(숙신산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파토코페릴으로도 알려져 있다). (3) 인산이나트륨 알파토코페릴 (4) 디아미노초산토코페릴 (M) 비타민 H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H는 특정의 미생물 증식에 필요하며 피부·근육과 신경계통의 건강보호에 필수적인 것이다. 물에 녹고 열에는 안정하다. (1) 비타민 H·비오틴(biotin) : 비오틴은 알의 노른자위(난황)·콩팥·간·밀크·양조용 효모·당밀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합성으로 제조된다. (2) 비오틴메틸에스테르(biotin methyl ester) (N) 비타민 K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K는 항출혈 인자로서 혈액속의 응혈소의 함량을 유지하고 모세관 저항을 증진시켜 혈체 응고를 촉진한다. (1) 비타민 K1 (a) 피토메나디온(INN)·필로퀴논·피토나디온·3-피틸메나디온(2-메틸-3-피틸-1,4-나프토퀴논). 건조 자주개자리로부터 추출하며; 개암나무의 잎·밤의 잎·보리의 새싹·귀리의 새싹·꽃양배추·양배추·시금치·토마토·식물유 등에 존재하며 또한 합성으로 얻어진다. 밝은 황색의 기름으로서 지방에 녹으며; 열에는 안정하나 햇빛에는 불안정하다. (b) 산화비타민 K1(에폭시드) (2-메틸-3-피틸-1,4-나프토퀴논-2,3-옥사이드나 2-메틸-3-피틸-2,3-에폭시-2,3-디히드로-1,4-나프토퀴논) (c) 디히드로필로퀴논(3-디히드로피틸-2-메틸-1,4-나프토퀴논) (2) 비타민 K2 나 파르노퀴논(3-디파르네실-2-메틸-1,4-나프토퀴논). 부패한 정어리육으로부터 추출되며 비타민 K1보다는 활성이 약하다. 황색의 결정체로서 빛에는 매우 불안정하다. (O) 비타민 PP와 이들의 유도체(주로 비타민으로 사용하는 것) 비타민 PP는 항펠라그라(anti-pellagra) 비타민으로서 성장·산화·세포호흡·단백질과 탄수화물 신진대사 작용에 필수적인 것이다. (1) 니코틴산(INN)(베타카르복시산피리딘·니아신) : 동물계(예: 포유동물의 간·콩팥·신선육과 특종의 어류)와 식물계[양조용 효모·곡물의 배아(germs)와 과일껍질(果皮 : pericarp) 등]. 합성으로 제조되며 무색의 결정체로서 알코올에 녹으며 지방에 녹으며; 비교적 열과 산에 안정하다. (2) 니코틴산 나트륨(sodium nicotinate) (3) 니코틴산 칼슘(calcium nicotinate) (4) 니코틴 아미드(nicotinamide)(INN)(니코틴산아미드·니아신아미드) : 근원·성질과 용도는 니코틴산과 같으며, 합성으로 얻어지고 물에 녹으며 열에 안정하다. (5) 염산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hydrochloride) (6) 니코티노모르폴리드(nicotinomorpholide) 제외규정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은 제외한다.(1) 다음에 열거한 물품은 간혹 비타민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비타민 작용을 하지 않으며, 비타민 작용을 하더라도 그 밖의 용도와 관련하여 볼 때 비타민의 작용은 제2차적이다. (a) 메소이노시톨·묘이노시톨·아이이노시톨이나 메소이노사이트(제2906호)는 위장과 간장 장해에 사용한다(특히, 헥사인산칼슘이나 마그네슘). (b) 비타민 H1 : 파라이미노 벤조산(제2922호)(성장촉진과 일부의 술폰아미드의 항세균 발육 억제 작용을 중화한다.) (c) 콜린(choline)이나 비리네우린(제2923호) : 지방의 신진대사를 안정화한다. (d) 비타민 B4 : 아데닌이나 6-아미노퓨린(제2933호).(이는 혈액병 후 회복과 종양치료에 사용한다.) (e) 비타민 C2 나 P : 씨트린·헤스페리딘·루토시드(루틴)·애스큘린(제2938호).(지혈인자로서나 모세혈관 저항성 증진을 위하여 사용한다.) (f) 비타민 F : 리놀레(linoleic)나 리놀산(linolic acid)(알파와 베타)·리놀렌산·아라키돈산(제3823호). (이는 피부염과 간장 장해치료에 사용한다.) (2) 비타민의 합성대용물 (a) 비타민 K3 : 메나디온·메나프톤·메틸나프톤·2-메틸-1,4-나프토퀴논; 2-메틸-1,4-나프토퀴논 비술파이트 유도체의 나트륨 염(제2914호); 메나디올·1,4-디히드록시-2-메틸나프탈렌(제2907호) (b) 비타민 K6 : 1,4-디아미노-2-메틸 나프탈렌(제2921호) (c) 비타민 K5 : 염산4-아미노-2-메틸-1나프톨(제2922호) (d) 시스테인 : 비타민 B 대용물(제2930호) (e) 프티오콜 : 2-히드록시-3-메틸-1, 4-나프토퀴논(비타민 K 대용물)(제2941호) (3) 엘고스테롤 이외의 스테롤 : 콜레스테롤·시토스테롤·스티그마스테롤과 비타민 D2를 제조할 때 얻어지는 스테롤(타키스테롤·루미스테롤·톡시스테롤·수프라스테롤)(제2906호) (4) 제3003호나 제3004호에 해당되는 의약품 (5) 크산토필(xanthophyll) : 천연의 카로테노이드(carotenoid)(제3203호) (6) 프로비타민 A[알파(α)·베타(β)와 감마(γ)-카로틴과 크립토크산틴](착색물질로 사용한다.)(제3203호와 제3204호) [소호해설] 소호 제2936.90호 이 소호는 특히 둘 이상의 비타민 유도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화학적 합성 즉, 미리 결정된 비율에 의한 디-판토락톤·아미노-3-프로파놀-1 와 3-에톡시프로필라민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디-판토테놀에틸 에테르(ethers)와 덱스판테놀의 혼합물은 소호 제2936.90호의 "그 밖의 것(others)"로 분류하여야 하며, D-나 DL-판토텐산의 혼합되지 않은 유도체(소호 제2936.24호)로 분류하여서는 안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