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6 - 쌀
[호해설]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을 분류한다. (1) 벼(paddy나 rough rice) : 외피로 꼭 싸여있는 쌀 알 (2) 현미(cargo rice) : 기계적인 방법으로 외피는 제거시켰다 할지라도 아직 외과피(pericarp)로 싸여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소량의 겨를 함유하고 있다. (3) 반정미 : 부분적으로 외과피를 제거한 쌀이다. (4) 정미(표백미) : 특수한 도정 실린더를 통과시킴으로써 외과피를 제거시킨 쌀이다. 정미는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연마하고 광택을 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연마공정(polishing process : 정미의 거친 표면을 윤택하게 하기 위한 공정)은 브러시 머신(brush machine)이나 원추형의 연마기(polishing cones)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광택공정(glazing)"이란 특수한 광택통(glazing drums)에 들어있는 포도당과 활석분으로 곡립을 도포하는 것이다. 이 호에는 "카몰리노(Camolino)"쌀도 포함되는데, 이것은 기름의 엷은 막으로 도포한 정미로 이루어져 있다. (5) 쇄미(broken rice) : 즉, 도정공정 중 파쇄된 싸라기 이 호에는 또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강화미(enriched rice) : 비타민 류를 도포하거나 주입시킨 정미를 대단히 적은 비율(약 1%)로 보통의 정미에 섞은 혼합미 (b) 반숙미 : 이것은 아직 껍질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가공(예: 탈곡·정미·연마)을 하기 전에 뜨거운 물에 적시거나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것이다. 반숙공정의 특정단계에서 쌀은 압력 하에서 처리되거나 완전 혹은 부분적인 진공처리되기도 한다. 반숙미의 곡물구조는 처리공정 과정에서 미소하게 변성될 뿐이다. 정미·연마 등을 한 그러한 쌀은 완전히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데 20분부터 35분까지 소요된다. 곡물 구조를 상당정도 변성시키는 처리가 된 종류의 쌀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 완전히 조리하거나 부분적으로 조리하여 탈수시킨 가공미인 조리된 쌀(precooked rice)은 제1904호로 분류한다. 부분적으로 조리된 쌀을 먹을 수 있도록 조리하는데 5~12분이 소요되며, 반면에 완전히 조리한 쌀은 단지 물에 담궈서 잠깐 끓이기만하면 먹을 수 있도록 조리가 된다. 쌀을 튀겨서 바로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튀김쌀("puffed" rice)은 제1904호로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