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8부 광학·측정·의료기기  > 제90류 광학·측정·의료기기  > 제9028호 기체·액체·전기 적산용계기
HS
제9028호의 해설

90.28 - 기체·액체·전기의 적산(積算)용 계기(그 검정용 계기를 포함한다)

[호해설]
이들 계기에는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유량(fluid flow)이나 전기량(electrical quantity)에 비례하는 속도로 움직이는 기구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은 흔히 본관의 측관이나 분기로에 부착되었거나 측정용 변환기에 연결되어 있어서 유량의 일부만이 통과되지만 보조관이나 본관을 통과하는 전체 통과량을 지시하도록 눈금이 매겨져 있다.
기체·액체·전기의 적산(積算)용 계기(supply or production meter)는 기록용 시계기구·제어장치·신호장치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간단한 기계식이나 전기식의 기구와 부착된 것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이 호로 분류한다.

(Ⅰ) 기체·액체의 적산(積算)용 계기(supply or production meter)
이들 계기(meters)는 관(pipes)을 통과하는 유량을 체적(體積 : volumeric)의 단위로 측정하는 것이다. 다만, 유속측정용의 유량계(flowmeters)는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9026호).
이 호에는 가정용의 것·공업용의 것·표준계기(일반용 계기의 정확도 시험용)를 포함한다. 또한 간단한 형식의 것 외에 최대·선납·요금계산 등의 계기와 같은 특수계기도 이 호로 분류한다.
적산(積算)용 계기(supply or production meter)는 주로 측정 장치[터빈식·피스톤식·다이어프램식(diaphragm) 등]·유입조절기구(보통 슬라이드 밸브)·전달기구[엔드리스스크루(endless screw)·캠축·기어·그 밖의 장치)·기록장치나 지시계기[포인터식(pointer type)식이나 드럼식(drum type)]로 구성되며, 기록장치와 지시계기는 둘 다를 갖출 수도 있다.

(A) 기체의 적산(積算)용 계기

(1) 습식계기(wet meters)
이 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구획으로 구분된 드럼(drum)이나 휠(wheel)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드럼이나 휠은 반 이상으로 액체(물·기름 등)를 넣은 원통 내에서 회전되도록 만들어졌다. 계기에 들어가는 가스가 드럼의 물에 잠긴 구획을 채워서 그 실을 수면 위로 올림으로써 드럼이 회전된다. 이 드럼의 회전수를 계수기구에 의하여 지시한다.
계기의 다른 형[회전식의 벨미터(bell meter)]은 가스가 체임버(chamber) 속을 연속적으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벨(bell)로 구성되며; 그 벨(bell)은 경사 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중심으로 안내되며, 이 경사 축은 계수기구의 구동스핀들에 부착시킨 크랭크된 암(arm)에 연결되는 것이다.

(2) 건식 계기(dry meters)
이 계기에는 여러 가지의 형식이 있다. 측정 장치는 피스톤·격막(diaphragm)·익차(翼車) 팬 휠(fan wheel)로 구성되며, 가스의 압력으로 작동되어 계수장치에 연결한다. 보통의 것은 두 개의 칸막이로 구분한 박스로 구성되며, 각 실은 또한 중앙 격막(central diaphragm)에 의하여 나눠진다. 가스는 연속적으로 이 네 개 실을 출입하여 격막(diaphragm)의 신축운동이 계수장치를 작동시켜 준다.

(B) 액체(liquid)의 적산(積算)용 계기[냉수나 온수·광유(鑛油)·알코올·맥주·와인·밀크 등]. 다만, 제8413호의 액체용 펌프(계기를 갖춘 것도 포함한다)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계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익차식 계기(impeller or fan wheel meters)
이 계기는 액체의 용적을 그 속도로부터 추론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퍼렌셜 미터(inferential meters)라고도 불린다. 측정기구는 액체의 유속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팬휠(fan wheel)이나 임펠러 (impeller)로 구성되며 이 회전이 계수 기구를 작동시켜준다.

(2) 격막 계기(diaphragm meters)
이들 계기는 앞에서 설명한 건식가스 적산(積算)용 계기와 유사하다. 주철제의 실린더는 그 속에 신축성의 격막(diaphragm)에 의하여 두 개의 실로 나눠지며, 이 격막은 두 개의 실에 액체를 채워주거나 비워줌으로써 넓혀지거나 축소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운동이 계수장치를 작동시켜 주는 것이다.

(3) 왕복피스톤식 계기(reciprocating piston meters)
이 계기는 실린더 내를 왕복하는 한 개나 수 개의 피스톤으로 되어 있다. 마치 증기기관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드밸브(slide valves) 장치는 액체를 피스톤의 상하로 상호적으로 향하게 하여 플러그코크(plug cocks)를 개폐시킨다. 피스톤의 동작은 기어(gear)로 계수기구에 전해진다.

(4) 원판피스톤식 계기(disc-piston meters)
이들 계기에 있어서는 피스톤이 회전원판으로 대체된 것으로서 이것은 구형의 체임버(chamber)를 액체가 채워졌다 비워졌다 하는 두 개의 동등한 실로 나누어준다. 이 원판의 진동운동의 결과가 계수장치에 기어로 연결한다.

(5) 회전피스톤식 계기(rotary piston meter)
이들 계기의 한 형은 부분적으로 체임버(chamber)를 가로질러 돌출된 반경방향의 칸막이를 갖춘 원통형 체임버(chamber)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기구는 원통형의 피스톤으로 그 측벽이 분리되어 있어서 칸막이 위에 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격실에 액체가 유출입하면 실린더가 진동[반 회전(semi-rotary)]되며, 이 동작은 기어(gear)로 계수기구에 전해진다.
이 계기의 다른 형에 있어서는 체임버(the working chamber)에 칸막이가 없어, 타원형의 피스톤을 회전시키는 것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칸막이를 한 구체 내에 회전콘(nutating cone)을 갖춘 것도 있다.
위의 항목 (2)부터 (5)까지에 언급된 계기는 용적형 계기 타입(positive displacement type)으로 알려져 있다.

(Ⅱ) 전기의 적산(積算)용 계기(supply or prodction meters)
이 계기에는 소비 전기량의 측정용[시간당 암페어수(ampere-hours)나 그의 적산값(積算値 : multiples)](전류계)의 것이나 소비 전력량의 측정용[시간당 와트수나 그의 적산값(積算値 : multiples)](전력계)의 것이 있다. 전압이 일정한 경우에 전류계는 시간당 와트수[또는 그의 적산값(積算値 : multiples)]로 눈금이 매겨져 있다. 이러한 계기에는 직류용의 것과 교류용의 것이 있다.
전압계·전류계·전력계 등의 기기와 같이 단순히 전기량만을 측정하고 소비전기량이나 소비전력량의 총량을 적산기록하지 않은 것은 이 호에서 제외한다(제9030호).
이 호에 포함되는 전기의 적산(積算)용 계기(electricity supply meters)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한 형식의 것이 있다.

(A) 전동기형 계기(motor meters)
이 계기는 한 개나 수개의 유도자·그 회전속도가 소비전기량이나 소비전력량에 비례되는 회전자(전기자)·계수기구·지침식이나 드럼식 지시계(이 두 가지를 결합시킨 것)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형 계기에는 보통 와(渦)전류제동장치(eddy current brake)가 갖추어져 있다. 이것은 한 개나 수개의 영구자석의 극 사이에서 회전될 때에 와(渦)전류를 발생시키는 금속제동판(metal brake-disc)으로 되어 있다.

(B) 정전형 계기(static meters)
이 계기는 본질적으로 전자정전(electronic static)형 소조립물[예: 지시장치가 장비된 증배기(增倍器 : multiplier)나 정량기(quantifiers)]로 구성되는데 소비전기량과 직접 비례하여 전류나 전기저항을 발생시킨다. 지시장치는 기계식(포인터나 드럼포인터가 부착된 것)이나 전자식의 것이 있다.
이 계기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전납(前納 : prepayment) 계기

(2) 다율 계기(multiple-rate meters)(둘 이상의 서로 다른 율로 공급되는 전기량을 계산하는 것)

(3) 최대수요 전력계(maximum meters)[일정기간 동안의 평균부하(average load)의 최대치를 지시하는 것]

(4) 피크형 계기(peak meters)(최대치를 넘은 소비전력을 지시하는 것)

(5) 초과전력량계(excess meters)(최고 상승점계기와 유사하며 총사용 전력량도 지시하는 것)

(6) 충격계기(impulsing meters)[펄스(pulse)송신기를 부착한 것]

(7) 무효전력량계(reactive meters)

(8) 전시계기(demonstration meters)

(9) 직류계기(direct current meters) : 볼트아워(Vh)계기·암페어아워(Ah)계기·와트아워(Wh)계기

(10) 펄스입력(pulse input)을 갖춘 계기[충격계기(impulsing meters)에 연결용] : 전력소비기록기와 합계장치나 최대치장치(지시나 기록)나 초과 장치 등이 부착된 것

(11) 표준계기(standard meters) : 그밖의 계기의 검사와 눈금측정용에 사용한다.


부분품과 부속품
이 류의 주 제1호와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총설 참조), 이 호의 계기의 부분품과 부속품으로서 별도로 분리하여 제시하는 것은 이 호로 분류한다.
◀ 제9027호 제9029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