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3 - 비(非)금속 황화물과 상관습(商慣習)상의 삼황화인
[호해설] 이들 이원화합물의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이황화탄소(CS2) 타고 있는 탄소 위에 황 증기를 반응시켜 얻는다. 무색인 독성 액체(비중 약 1.3)이다. 물에 혼합되지 않는다. 불순한 경우는 썩은 계란 냄새가 난다. 휘발성과 인화성이 크며 흡입하거나 접촉하면 위험하다. 짚이나 버들가지로 상자를 씌운 돌제품으로 만든 용기·금속으로 만든 용기나 유리로 만든 용기에 완전히 밀폐하여 보존한다. 이황화탄소는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하여 용제(solvent)로 사용한다. 예: 기름·지방·정유의 추출·골(骨)의 탈지(脫脂)·의약·인조섬유나 고무공업에 사용한다. 또한 곤충·필록세라(phylloxera) 등을 파괴하기 위하여 토양에 주입시켜 농업용으로 사용한다. 후자의 경우로는 티오탄산칼륨(제2842호)을 유도한 물품이 때때로 사용한다(제3808호 해설 참조). (2) 황화규소(SiS2) 강하게 가열한 규소에 황 증기를 반응시켜 얻는다. 백색 고체이며; 휘발성의 바늘 모양 결정이다. 물에 분해하여 젤라틴 모양의 실리카(silica)를 생성한다. (3) 황화비소(arsenic sulphides) 이 호는 인조 황화물을 포함한다. 이 인조 황화물은 천연 황화물이나 비소나 삼산화이비소를 황이나 황화수소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a) 이황화비소(As2S2이나 As4S4)[인조 계관석·모조 계관석·황화적(red sulphide)] : 독성이 있으며 유리 모양의 적색이나 오렌지색 결정으로 비중은 약 3.5이며; 녹지 않고 기화한다. 불꽃(질산칼륨과 황을 혼합)의 제조·도료[paints (ruby arsenic)]와 가죽의 탈모에 사용한다. (b) 삼황화비소(As2S3) : 독성인 황색 분말로 비중은 약 2.7이며 ; 무취이고 물에 녹지 않는다. 용도는 이황화비소와 유사하고 또한 가죽과 고무용 안료(顔料 : pigment)·구충제나 의약품용(병의 성장을 저해하므로)으로 사용한다. 황화알칼리와 반응하여 티오아비산염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2842호에 해당한다. (c) 오황화비소(As2S5) : 천연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옅은 황색인 무정형의 고체로 물에 녹지 않는다. 안료(顔料 : pigment)로 사용한다. 황화알칼리와 반응하여 티오비산염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2842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천연 황화비소[이황화물(disulphide)이나 계관석(realgar)·삼황화물(trisulphide)이나 웅황(雄黃 : orpiment)]를 제외한다(제2530호). (4) 황화인(phosphorus sulphides) (a) 삼황화사인(P4S3) : 구성원소를 결합하여 얻는다. 회색이나 황색 고체이다. 비중은 약 2.1이다. 무정형 덩어리나 결정으로 생성된다. 마늘 냄새가 있고 맹독성은 없으나 가루라도 흡입하면 위험하다. 끓는 물에 분해되며 공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황화인 중에서 가장 안정하다. 오황화물의 제조·안전성냥 제조에서 인의 대용품으로 사용하며; 유기 합성에 사용한다. (b) 오황화인(P2S5이나 P4S10) : 황색결정으로서 생성되며 ; 비중은 2.03부터 2.09까지이다. 삼황화사인과 동일하며 광물의 부유선광(浮遊選鑛 : flotation)제의 제조에 사용한다. (c) 상거래 관습상의 삼황화인 : 삼황화인으로 알려진 이 물품은 대량 P2S3의 구조를 가진 혼합물이며 ; 황회색 결정의 덩어리로 생성되며 물에 분해된다. 유기 합성에 사용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a) 황과 할로겐원소의 이원결합물(예: 염화황)(제2812호) (b) 산화황화물(예: 비소·탄소와 규소의 산화황화물)과 비(非)금속의 티오할로겐화물[예: 클로로황화인과 염화티오카르보닐(thiocarbonyl chloride)](제2853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