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15부 비(卑)금속과 그 제품  > 제80류 주석
HS
제80류의 주

제80류 주석과 그 제품

류주 :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용어는 아래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봉
"봉"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단조(鍛造)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이 아니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中空)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 모양인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주조나 소결(燒結)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trimming)이나 스케일 제거(de-scaling)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위와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제외한다.

나. 프로파일(profile)
"프로파일(profile)"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단조(鍛造)·형조(形造)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봉·선·판·시트(sheet)·스트립·박(箔)·관(管)의 어느 정의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주조나 소결(燒結)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trimming)이나 스케일 제거(de-scaling)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위와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제외한다.

다. 선(線)
"선(線)"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이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中空)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 모양인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라. 판·시트(sheet)·스트립·박(箔)
"판·시트(sheet)·스트립·박(箔)"이란 평판 모양인 제품(제8001호의 가공하지 않은 물품은 제외한다)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횡단면에 중공(中空)이 없는 직사각형(정사각형은 제외한다)인 것으로 둥근 모양의 모서리(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를 가지는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두께가 균일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 형태인 것은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않고
-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외의 형태인 것은 그 크기에 상관없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그렇지 않다.

마. 관(管)
"관(管)"이란 전체를 통하여 하나의 중공(中空)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횡단면이 균일하며,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인 모양으로서 그 관(管)의 벽의 두께가 균일한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고, 횡단면의 내측과 외측이 동심(同心)이며, 위와 동일한 모양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관(管)으로 본다. 위와 같은 횡단면을 가진 관(管)들은 연마한 것, 도포한 것, 구부린 것, 나선가공한 것, 구멍을 뚫은 것, 웨이스트한(waisted) 것, 익스팬디드한(expanded) 것, 원추형으로 한 것, 플랜지(flange)·고리·링을 붙인 것도 있다.

소호주 :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용어는 아래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합금하지 않은 주석
주석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99 이상인 금속으로서 비스무트(bismuth)나 구리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다음 표에 열거한 한도 미만이어야 한다.
그 밖의 원소표

원소함유중량비율(%)
비스무트(Bi)
구리(Cu)
0.1
0.4

나. 주석합금
주석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각각 다른 원소보다 가장 많은 금속물질로서 다음 조건에 해당하여야 한다.

(1) 그 밖의 원소의 함유량 합계가 전 중량의 100분의 1을 초과하거나

(2) 비스무트(bismuth)나 구리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앞 표에 열거한 한도 이상이어야 한다.

총설 :
이 류에는 주석 및 그 합금과 이들 제품이 분류된다.
주석은 상업적으로는 제2609호에 분류되는 산화물 광석인 석석(錫石)(또는 주석석(朱錫石))에서 채취된다. 이 광석은 광맥 중에서 또는 충적층에서 산출된다.
주요한 제련공정은 다음과 같다.

(ⅰ) 세척 또는 분쇄, 부유선광에 의한 정광의 제조.

(ⅱ) 배소, 자기선광(磁氣旋光) 또는 산 기타의 용제로 처리하여 황, 비소, 동, 연, 철 및 텅스텐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산화석의 제조.

(ⅲ) 코크스로 순수한 산화석을 환원하여 조주석을 제련.

(ⅳ) 조주석을 각종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거의 완전한 순수상태의 주석으로 제조
주석은 염료처리 또는 전해처리법에 의해 석도강판스크랩에서, 또는 주석 웨이스트와 스크랩의 재용해에 의해 회수되기도 한다. 이러한 회수법에 의하여는 매우 고순도의 주석을 생산할 수 있다.

순수한 주석은 은백색으로 매우 빛난다. 연성은 매우 좋지 않지만 가단성이 있고 쉽게 용융되고 연하다(연보다는 딱딱하다). 쉽게 주조, 단조, 압연 또는 압출된다.
주석은 공기 중에서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좋으나 농축산에는 약하다.

주석은 주로 타비금속 특히 철강의 도금용으로 사용되며(예: 석도강판의 제조, 특히 캔 제조공업에 사용), 합금제조용(청동 등)으로 사용된다. 순수한 상태나 합금의 상태로서 다음과 같은 물품, 즉 식품공업용의 기기, 관류, 증류기헤드 : 냉동장치, 공업용의 저장용기·탱크 등, 땜질용 봉이나 선 등, 장식품 및 식탁용품(예: 백랍으로 만든 큰 컵), 완구, 오르간의 관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박 또는 접을 수 있는 관형태로도 사용된다.

제15부 주 제5호의 규정(이 부 총설 참조)에 따라 이 류에 분류되는 주석의 주요한 합금은 다음과 같다.

(1) 주석-연 합금 : 연한 땜질납, 큰 컵, 완구제조, 일정한 용적측정구용으로도 사용된다.

(2) 주석-안티모니 합금 : 보통 동(예: britannia metal)을 함유하며 식탁용품, 베어링제조 등에 사용된다)

(3) 주석-연-안티모니 합금 : 때때로 동을 함유하며[예: 주석을 기저로 하는 감마(anti·friction)메탈] 주조용(특히 베어링) 및 패킹(packing)으로 사용된다.

(4) 주석-카드뮴 합금 : 때때로 아연을 포함하며 감마메탈로서 사용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이 포함된다.

(A) 주석의 괴와 웨이스트 및 스크랩(제8001호제8002호)

(B) 일반적으로 제8001호의 괴를 압연 또는 압출하여 얻어지는 제품(제8003호제8007호)·주석분 및 플레이크(제8007호)

(C) 관과 그 연결구류 및 제15부 주 제1호에 규정된 것이나 제82류 또는 제83류에 포함되는 것 또는 이 표의 다른 곳에 따로 분류되는 것을 제외한 제8007호에 해당되는 기타의 모든 주석제품

주석의 물품과 제품은 그 성질 또는 외관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의 처리가 행하여지는데, 이들 처리방법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제72류 총설의 말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을 참조하면되고, 이 처리가 물품의 분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복합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제15부 총설에서 설명되고 있다.

◀ 제79류 제81류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