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5류 니켈과 그 제품
류주 :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용어는 아래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봉 "봉"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단조(鍛造)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이 아니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中空)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 모양인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또한 주조나 소결(燒結)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trimming)이나 스케일 제거(de-scaling)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위와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제외한다. 나. 프로파일(profile) "프로파일(profile)"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단조(鍛造)·형조(形造)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봉·선·판·시트(sheet)·스트립·박(箔)·관의 어느 정의에도 해당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주조나 소결(燒結)제품으로서, 제조된 후 단순히 트리밍(trimming)이나 스케일 제거(de-scaling)와는 달리 연속가공으로 위와 동일한 모양과 치수를 가지는 것도 포함한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제외한다. 다. 선(線) "선(線)"이란 압연·압출·인발(引拔)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이어야 하고, 그 횡단면이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며, 중공(中空)이 없고,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고, 다른 두 변은 직선이며, 길이가 같고 평행한 "편평 모양인 원형"과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삼각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횡단면이 직사각형("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인 물품은 그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라. 판·시트(sheet)·스트립·박(箔) "판·시트(sheet)·스트립·박(箔)"이란 평판 모양인 제품(제7502호의 가공하지 않은 물품은 제외한다)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횡단면에 중공(中空)이 없는 직사각형(정사각형은 제외한다)인 것으로서 둥근 모양의 모서리(마주보는 두 변이 볼록궁형이며 다른 두 변은 직선이고 길이가 같으며, 평행한 "변형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를 가지는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두께가 균일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한다. -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인 것은 두께가 폭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않고 -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외의 형태인 것은 그 크기에 상관없다. 다만,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있는 것은 그렇지 않다. 제7506호는 판·시트(sheet)·스트립·박(箔)으로서 무늬가 있는 것[예: 홈·리브(rib)·체크무늬·물방울무늬·단추무늬·마름모꼴무늬]과 이것에 구멍을 뚫은 것·물결 모양으로 한 것·연마한 것·도포한 것으로서 다른 호에 해당하는 물품이나 제품의 특성이 없는 것에 적용한다. 마. 관(管) "관(管)"이란 전체를 통하여 하나의 중공(中空)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코일 모양인지에 상관없으며 그 횡단면이 균일하며, 원형·타원형·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인 모양으로서 그 관(管)의 벽의 두께가 균일한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횡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한다)·이등변삼각형·볼록정다각형인 물품은 전체를 통하여 둥근 모양의 모서리를 가지는 경우도 있고, 횡단면의 내측과 외측이 동심(同心)이며, 위와 동일한 모양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관(管)으로 본다. 위와 같은 횡단면을 가진 관(管)들은 연마한 것, 도포한 것, 구부린 것, 나선가공한 것, 구멍을 뚫은 것, 웨이스트한(waisted) 것, 익스팬디드한(expanded) 것, 원추형으로 한 것, 플랜지(flange)·고리·링을 붙인 것도 있다. 소호주 : 1. 이 류에서 다음 각 목의 용어는 아래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가. 합금하지 않은 니켈 니켈과 코발트의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99 이상인 금속으로서 다음 조건에 모두 해당하여야 한다. (1) 코발트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1.5를 초과하지 않고 (2) 그 밖의 원소의 함유량은 중량비로 다음 표에 열거한 한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그 밖의 원소표
원소 | 함유중량비율(%) | 철(Fe) 산소(O) 그 밖의 원소, 각각 | 0.5 0.4 0.3 |
나. 니켈 합금 니켈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각각 그 밖의 원소보다 가장 많은 금속물질로 다음 조건에 해당하여야 한다. (1) 코발트 함유량이 전 중량의 100분의 1.5를 초과하거나 (2) 그 밖의 원소 중 적어도 한 원소의 함유량이 중량비로 앞 표에 열거한 한도보다 크거나 (3) 니켈과 코발트 외에 그 밖의 원소의 함유량의 합계가 전 중량의 100분의 1을 초과하여야 한다. 2. 이 류의 주 제1호다목에 불구하고 소호 제7508.10호의 "선(線)"이라는 용어는 횡단면의 치수가 6밀리미터 이하인 제품(코일 모양인지와 횡단면의 모양에 상관없다)에만 적용한다. 총설 : 이 류에는 니켈과 그 합금 및 특정한 이들의 제품이 분류된다. 니켈은 비교적 단단한 회백색 금속으로, 1,453℃에 용융된다. 이것은 자성, 가단성, 연성, 견고성이 있으며 내식성과 내산화성이 있다. 이는 주로 여러 합금(특히 합금강)의 제조, 보통 전착법(電着法)에 의한 타금속의 피복용, 및 화학반응촉매로서 사용된다. 합금되지 않은 니켈괴는 화학공업설비의 제조에 광범하게 사용되고, 니켈 및 그 금속은 화폐제조에도 사용된다. 제15부 주 제5호의 규정에 따라 이 류에 주로 해당되는 니켈 합금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니켈-철합금 : 고투자율(高透磁率) 및 낮은 자기이력현상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해저전선, 유도코일철심, 자기차단용 재료로 쓰인다. (2) 니켈 - 크로뮴합금 또는 니켈-크로뮴-철합금 : 이들에는 여러가지 부식성 환경은 물론 고온에서 산화와 스케일 발생에 대해 뛰어난 저항성과 좋은 강도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가지 상업용재료를 포함한다. 이른 재료는 전기저항가열장치내의 가열기소자로 사용되며, 철강과 기타 금속의 열처리에 사용되는 머플과 레토르트와 같은 구성 요소로 사용되거나 고온의 화학 또는 석유화학공정용의 파이프와 튜우빙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이 그룹에는 보통 고온에서 항공기터어빈에 고강도를 주기 위해 특별히 개발된 "슈퍼합금"이라고 알려진 특수합금이 포함되는데, 이것이 사용되는 곳은 터어빈날개·연소실의 라이나·완화공단면(transition section) 등이다. 흔히 이들 합금은 니켈베이스 구조의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시키는데 유효한 몰리브덴·텅스텐·니오븀·알루미늄·티타늄 등을 함유하고 있다. (3) 니켈-동합금 : 내식성 뿐만 아니라 우수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이들 합금은 프로펠라축 및 패스너같은 것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특정한 무기 또는 유기산이나 알칼리 및 염에 노출되는 펌프·밸브·튜브 및 기타 형태의 장치에도 사용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A) 니켈의 매트·소결한 산화니켈과 기타 니켈제련의 중간생산물 및 니켈의 괴, 니켈웨이스트와 스크랩(제7501호부터 제7503호까지). (B) 니켈의 분 및 플레이크(제7504호). (C) 제7502호의 니켈괴를 보통 압연·단조·인발 또는 압출하여 얻어진 물품(제7505호 및 제7506호). (D) 관 및 관연결구류(제7507호), 제7508호의 전기도금의 양극과 기타 물품(이것은 이 표의 다른 곳에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거나 제15부 주 제1호 또는 제82류부터 제83류까지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한 모든 니켈제품을 포함한다). 니켈물품과 제품에는 금속적인 성질 또는 외관 등을 개선하기 위한 각종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러한 처리는 보통 제72류 총설 끝부분에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품분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단, 전기도금용의 양극에 행해진 특별한 처리에 대하여는 제7508호의 해설 참조). 복합물의 분류에 있어서는 제15부 총설에 설명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