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설 :
제2930호와 제2931호에 분류되는 유기-무기의 화합물은 그 분자 중에 수소, 산소 또는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이외에 그들의 금속 또는 기타의 비금속원자(예: 황, 비소 수은, 연, 철 등)가 탄소원자와 직접 결합된 유기화합물이다. 제2930호(유기 황화합물)와 제2931호(기타의 유기-무기화합물)에는 수소, 산소 및 질소가 아니고 다만 탄소가 술폰화유도체 또는 할로겐화유도체(또는 복합유도체)의 특성을 부여하는 황 또는 할로겐의 원자와 직접 결합된 술폰화유도체와 할로겐화유도체(또는 화합물유도체)는 포함되지 아니한다.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에는 헤테로고리화합물을 분류한다. "헤테로고리"화합물이라 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기타 원소의 원자 즉, 산소, 질소 또는 황과 같은 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헤테로고리기가 유도된다.(A) 5원 고리(환) (1) 한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 (a) 산소원자 : 푸란기(제2932호) (b) 황원자 : 티오펜기(제2934호) (c) 질소원자 : 피롤기(제2933호) (2) 두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옥사졸과 이소옥사졸기(제2934호) (b) 한 개의 황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티아졸기(제2934호) (c) 두 개의 질소원자 : 이미다졸과 피라졸기(제2933호) (3)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두 개의 질소원자 : 푸라잔기(제2934호) (b) 세 개의 질소원자 : 트리아졸기(제2933호) (c) 네 개의 질소원자 : 테트라졸기(제2933호) (B) 6원 고리(환) (1) 한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 (a) 산소원자 : 피란기(제2932호) (b) 황원자 : 티인기(티아피란기)(제2934호) (c) 질소원자 : 피리딘기(제2933호) (2) 두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것 (a) 한 개의 산소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옥사진기(제2934호) (b) 한 개의 황원자와 한 개의 질소원자 : 티아진기(제2934호) (c) 두 개의 질소원자 :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기와 피페라진기(제2933호) (C) 기타 그 이상의 복수고리식화합물 이들은 기타의 탄소고리화합물과 5원 또는 6원의 헤테로고리화합물을 축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면 다음의 기가 포함된다. (a) 쿠마론(제2932호) (b) 벤조피란(제2932호) (c) 크산텐(제2932호) (d) 인돌(제2933호) (e) 퀴놀린과 이소퀴놀린(제2933호) (f) 아크리딘(제2933호) (g) 벤조티오펜(티오나프덴)(제2934호) (h) 인다졸(제2933호) (ij) 벤즈이미다졸(제2933호) (k) 페나진(제2933호) (l) 페녹사진(제2934호) (m) 벤족사졸(제2934호) (n) 카르바졸(제2933호) (o) 퀴나조린(제2933호) (p) 벤조티아졸(제2934호)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의 분류에 있어 하나 이상의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복합물의 경우 오직 하나의 헤테로고리만이 제2932호부터 제2934호까지 내의 소호에서 특정의 명칭이 부여되어 있을 때에는 그 복합물은 해당 소호에 분류하여야 하지만 두 개 이상의 헤테로고리가 소호수준에서 특정한 명칭이 부여되어 있을 때에는 그 복합물은 번호순서에서 최종호에 분류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