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A) 액체비중계 및 이와 유사한 부력식측정기 고체 또는 액체의 비중 또는 비중에 관계가 있는 어떤 치(예: 주의 알코올 도수 등)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직접 눈금을 읽도록 되어 있으나 때로는 눈금읽기를 다른 장치로 할 수 있는 것도 있다. 보통 유리제(양은제·은제 등 금속제의 것도 있다)로서 일단에 수은 또는 미립의 연으로 된 추가 달려있다. 추는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여러가지 비중의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 중에는 추를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유리통에 봉입되어 있는 비중계(예: 축전지 중의 산의 농도측정용)가 있는가 하면 온도계와 결합된 것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그 용도에 따라 명칭이 정해져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비중계·검당비중계(양조 및 설탕의 제조에 사용된다). 검염계·검유계·산농도계(축전지 또는 기타 산의 비중측정용)·뇨비중계 등이 있다. 한편 발명자의 이름을 붙인 것도 있다(예: 보오메·브릭스·볼링·베어트·게이루우삭·리이터어·트렐르·사이크스·스토파니 등). 니콜손의 비중계는 고체의 비중측정에 사용된다. 이 호에서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기타방법에 의하여 특수비중을 측정하는 기구 : 예를 들면, pyknometer(비중병)(제7017호)·특수비중 또는 액압형기(제9016호) (b) 예를 들면 지방계(버터의 지방함량측정용)·요소계(요소의 함량측정용) 등으로 부칭식 측정방법에 의하지 아니하는 기구. 이들은 제7017호에 분류된다. (B) 온도계·온도기록 및 고온계 이 그룹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액체봉입 유리관온도계 : 가정용온도계(방·창용온도계 등)·부온도계(욕조용 등)·체온계·공업용온도계(보일러용·로용·고압솥용 등)·실험실용온도계(열량측정용 등)·특수기상용온도계(예: 태양 또는 지구의 복사열측정용)·수로측량용온도계(예: 심해탐색용가역온도계) 등이 있다. 이 호에는 유리제의 최고최저한난계도 포함된다(기록되어 있는 최고 또는 최저온도를 지시하도록 설계제작되어 있다). (2) 금속온도계(특히 두 종의 금속스트립을 함께 용접해서, 그 열팽창율이 상위를 이용하는 바이메탈식(온도계) : 주로 기상상황의 관측, 공기조절용 및 기타의 과학적 또는 공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라디에이터물의 온도를 지시해주는 자동차용 온도계에는 보통 이러한 형식의 것이 많다. (3) 팽창온도계 또는 압력온도계(금속장치를 갖춘 것) : 액체·증기·가스 등의 팽창매체가 온도변화에 의하여 압력을 증가시켜서 부르돈 관 또는 이와 유사한 압력측정장치를 자극시키면 지시계기의 지침이 움직이는 방식의 온도계이다. 대부분의 것이 공업용으로 사용된다. (4) 액정온도계 : 온도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성질(예: 색채)이 변하는 액정이 함유된 것 (5) 전기식온도계 및 전기식 고온계 예: (ⅰ) 저항온도계 및 저항고온계 : 금속(예: 백금) 또는 반도체 전기저항의 변화를 이용한다. (ⅱ) 열전대온도계와 열전대고온계 : 두 개의 상이한 전기도체를 접속시켜 가열하면 온도에 비례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기초로 한 것이다. 이에 사용되는 금속의 결합에는 일반적으로 백금과 백금-로듐의 합금 : 동과 동-니켈합금 : 철과 동-니켈합금: 니켈-크로뮴합금과 니켈-알루미늄 합금이 있다. (ⅲ) 복사온도계(광학식의 것을 포함한다). 복사고온계에는 각종 형식의 것이 있다. 예: (a) 고온계 : 이것은 발열체로부터 나오는 복사열을 요면경에 집중시키는 것이며 예를 들면, 열전대의 열접점의 면경에 초점에 맞추어지게 된다. (b) 필라멘트소실형고온계 : 온도는 가감저항기에 의한 백열전구의 필라멘트의 광휘도 변화에 따라 측정된다(이 측정은 조정되는 방사상의 광휘도 변화가 동시에 일어난다). 전기식옹도계와 전기식고온계에는 때때로 노·오븐·발효조 등의 작동을 제어시키는 자동조정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 결합된 장치는 제9032호에 분류된다. (6) 광학온도계(측광큐브 형) : 중심이 표준백열전구로 조명되고 그 주위에 고온체로부터의 빛(光)이 조명되도록 된 프리즘이다. 이멀션을 도포하여 농도를 변화시키는 유리원판이 고온체로부터의 명암을 변화시키도록 회전된다. 프리즘에서 보는 중심과 주위의 광휘도를 일치시켰을 때의 원판의 회전수가 고온체의 온도를 표시한다. (7) 광학온도계(필라멘트소실형) : 고온체로부터의 방사광과 표준램프에서 나오는 일련의 스모크드 유리의 사이에 놓거나, 또는 온도의 눈금을 붙인 흡수 유리제의 쐐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양자를 일치시켜 온도를 측정한다. (8) 고온측정용 망원경(선광성을 이용하는 것) : 두 개의 니콜프리즘 사이에 눈금을 매긴 석영결정이 놓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는 니콜프리즘의 하나에 특정한 색이 착색되기까지 회전시킨 회전각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9) 고체(예: 점토)의 수축성을 이용하는 고온계 : 다이알의 앞에서 움직이는 아암과 온도를 측정하는 로드에 연결된 다른 아암과의 진자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호에는 온도를 제시하고, 전기신호등·전기경보장치·계전기 또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보조장치를 갖춘 접촉온도계도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고온계"로도 불리는 금속온도계 또는 증기압온도계로서 최고 500℃~600℃ 까지 측정할 수 있는 것도 이 호에 분류된다. 온도기록계도 이 호에 해당된다. 드럼 위의 온도변화를 기록하는 장치(지시기)를 갖춘 온도계로서, 기계식 또는 전기식의 시계무브먼트 또는 동기전동기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 호에는 점토[시료는 달구는 상태(the course of firing)를 측정키 위하여 달구는 중의 자기로에서 채취한다]의 수축율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캘리퍼형의 측정기인 파이로스코우프가 제외된다(제9017호 또는 제9031호). (C) 기압계 및 자동기록기압계 대기압측정용의 계기이다. 따라서 액체 및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이와 유사한 압력계는 제외된다(제9026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수은기압계와 아네로이드 청우계의 2종이 있다. 보통의 수은기압계는 상단이 밀봉된 수은충전유리관으로 되어 있다. 하단을 수은조 중에 세우는 식의 것과 사이펀상으로 구부려서 기압의 관의 개방단에서 움직이는 식의 것이 있다. 이 두 가지형의 어느 것도 관내의 수은주는 대기압과 균형이 맞추어져서, 그 승강에 의하여 대기압이 측정된다(눈금자 또는 지침부 다이얼로 표시된다). 수은기압계에는 포오틴청우계(조정조를 갖춘 것). 사이펀청우계(조정척부)·해양청우계(짐빌에 부착된 것) 등이 포함된다. 아네로이드청우계는 대기압을 한 개 또는 수개의 공기를 빼낸 파상의 금속캡슐이나 또는 얇은 벽으로 된 구부러진 금속관으로 받는다. 이 캡슐 또는 관의 변형은 확대되어 대기압을 표시하는 스케일 위의 지침에 전달되거나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도 포함한다. (1) 기압고도계 : 기압과 고도를 지시한다. 다만 고도만을 지시하는 고도계(특히 항공기용)는 이 호에서 제외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제9014호). (2) 만관기압계 : 이것은 수은대신에 기름과 같은 액체가 사용되며, 그 기름이 관내에 봉입된 기체를 압축하는 것이다. 자동기록기압계는 온도기록계가 온도를 기록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대기압을 기록하는 것이다(상기(B) 참조). (D) 습도계 및 자기습도계 공기 또는 기타 기체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요 형으로 다음의 것이 있다. (1) 화학적습도계 : 화학약품으로 습기를 흡수하여 이것을 칭량하는 방식의 것 (2) 노점습도계 : 노점법(즉,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는 온도)에 의하는 것 (3) 모발습도계 : 모발 또는 플라스틱제 스트립이 습도에 따라 신축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 모발 또는 플라스틱제의 스트립을 프레임 위에 팽팽하게 고정시켜 추를 달고 눈금판 위를 움직이는 침이 붙어 있는 축의 풀리에 부착시킨 것이다. 어떤 장치에서는 전기적 신호의 변환으로 움직인다. (4) 원환상유리의 관제의 습도계 : 수은을 소량 봉입하고 외기에 면하는 단을 반투막으로 봉한 것. 수증기의 압력이 수은에 작용하면 관은 눈금침에 접속될 축의 주위를 돈다. 어떤 장치에서는 튜브의 변전치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5) 금속제스트립(나선형으로 감겨있고 습기가 있는 물질로 도포된 것)이 있는 습도계 : 습기를 빨아들이는 반응은 금속제스트립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금속제의 단에 부착된 축에 이송되어 이 축은 다이얼상의 이동성침을 갖추고 있다. 어떤 장치에서는 그 움직임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6) 전기식습도계 : 보통 흡수제(예: 염화리튬)의 흡습량에 의한 도전도의 변화 또는 습도에 비례한 전기적요소의 용량변화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계기에는 피측식 요소의 노점측정을 위하여 눈금을 매긴 것도 있다) 다소의 장식적 요소(소옥·탑 등의 형을 한 것)를 갖춘 것으로서 기후의 양부에 따라 소상이 왔다 갔다 하는 왕복식 청우계도 이 호에 분류된다. 이에 반하여 화학물질을 침투시킨 종이로서 대기의 습도에 따라 그 색이 변화하는 것이 이 호에서 제외된다(제3822호). 이 호에 분류되는 자기습도계는 모발습도계와 유사한 것이나, 온도기록계가 온도를 기록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습도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다(상기(B) 참조). 이 호에는 고체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기구는 포함되지 않는다(제9027호). (E) 건습구습도계 특수형의 습도계이다. 습도는 기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건식온도계와 구가 증발열을 흡수한 물로 침투된 물질에 의하여 계속 축축하게 유지되는 습구온도계와의 온도차로 측정된다. 전기식건습구습도계는 일반적으로 보통의 건습구습도계의 비전기식온도계 대신에 저항온도계 또는 반도체를 이용한다. 습도계 및 건습구습도계의 용도는 예를 들면 기상용(기상관측용 가정용 등)·실험실용·냉동장치용·인공부화용·공기조절장치용(특히 섬유공장용)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결합기기 이 호에는 앞에서 설명한 각 기기를 결합시킨 것(예: 비중계·온도계·기압계·습도계·건습계·습도계 등을 결합한 것)도 포함되며, 한 개 또는 수개의 다른 기기를 부착시켜 결합한 것이 특정 호에 열거되는 기기의 특성을 갖는 것(예: 제9015호의 기상관측기기 등)은 제외된다. 특히 다음에 열거된 기기는 이 호에 분류된다. (1) 온습도기록계 및 기압·기온·습도자기장치, 일사계(단순히 두 개의 특수한 온도계를 결합시킨 기기) (2) 파고스코우프 : 서리(상)가 내릴 것을 경보해주는 장치로서 특히 원예에 사용된다. 주로 두 개의 온도계를 결합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기상용라디오존데(radio-sonde)는 이 호에서 제외된다(제9015호의 해설 참조). 부분품 및 부속품 이 류의 주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총설 참조), 이 호의 기기의 부분품과 부속품이 별도로 분리하여 제시되는 것은 이 호에 분류된다(예: 다이얼·포인트·케이스·눈금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