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이 호에는 유리섬유 그 자체와 각종형상으로 만들어진 유리섬유(이 류주 제4호에서 규정한 글라스 울을 포함한다)가 포함되고 유리섬유의 특성때문에 다른 호에서 제외되는 유리섬유제품이 포함된다. 유리섬유는 다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식물성 또는 동물성섬유보다 유연성이 적으며(유리사는 쉽게 매듭이 지워지지 아니한다), 늘어나지 아니하고 질기다(제11부의 방직용섬유보다 질기다). 또한 불에 타지 아니하고, 부패성이 없고 방수성 및 내산성이 있으며, 전도율이 나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전도성 또는 음전도성도 나쁘며, 비흡습성이다. 유리섬유는 각종의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데 약간의 예외가 있긴 하지만 다음의 세 개의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Ⅰ) 기계적인발법 이 방법에서는 유리가 노에서 용해되어 forehearth쪽으로 유입된다. forehearth의 밑바닥은 고온에 견디도록 귀금속(보통 로디움 또는 플레티움) 합금으로 만든 부싱이 부착되어 있다. 이 부싱은 용융된 유리실이 통과되도록 많고 조그마한 구멍이 뚫려져 있다. 사이징처리(예: 실리콘)를 한 후에 이 실들이 고속추에 이송되어 매우 정교하고 평행선으로 된 필라멘트상으로 인발되어 나온다. 인조섬유 필라멘트사와 유사한 장섬유사가 제조된다. 굵은 섬유도 위의 방법과 다소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웹상으로 감겨지어 직접 그대로 사용된다(단열용 또는 방음용 매트에 사용된다). (Ⅱ) 원심인발법 이 방법은 용기에서 용융된 유리를 급속도로 회전하는 내화성점토제의 디스크(디스크의 주위에 매우 많은 치차(齒車)를 부착한 것)위에 떨어뜨린다. 노에서 나온 화염으로 가열된 디스크에 이 용융된 유리가 부착하지만 동시에 원심력의 작용으로 필라멘트상으로 인발된다. 이러한 필라멘트는 고정테이블에 흡입되어 냉각드럼에 감겨진다. 이 방법에 의하여 글라스 울이라 칭하는 단섬유가 생산되며 이것은 방적하지 아니하고 벌크상으로 사용된다. (Ⅲ) 흡입인발법 이 방법에서는 노의 인발판을 통하여 흘러 나오는 용융된 유리의 필라멘트 위에 양측에서 흡입되는 고압증기 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분사작용에 의하여 필라멘트는 짧은 길이로 절단되고 제조과정 중에 윤활제가 피복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섬유는 감겨져 웹상(절연용 모포에 사용됨)을 형성하거나 방적되어 사로 만들 수 있는 연속슬라이버상 또는 필라멘트의 로빙상(견방사의 슬라이버 또는 로빙과 아주 유사함)을 형성한다. 이 호의 유리섬유 및 유리섬유제품은 특히 다음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A) 벌크상의 글라스 울 (B) 슬라이버상·로빙상·사상(絲狀) 및 단연사 (C) 얇은시트(보일)·웹·매트·매트리스·보드 및 이와 유사한 부직포 (D) 직물(세폭직물을 포함한다) 이 호에는 유리제직물제품의 커튼·휘장 및 기타의 제품을 포함한다. 유리섬유의 사로 자수된 기포가 없는 화학자수포 또는 자수포는 이 호에 분류되나 제11부의 방직용섬유의 자수포로서 자수효과의 일부가 유리섬유로 만든 사에 의해 얻어진 것은 이 호에서 제외된다(제5810호). 유리 섬유의 용도는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그 예를 들면 (1) 염색 또는 인쇄될 수 있는 직물류의 형상으로 가구용 및 실내장식용(예: 가구장식용·벽용장식·무대커튼·모기장)에 사용된다. (2) 벌크상·노듈(nodule)·펠트상·패드(pad)상·케이싱상(파이프용) 또는 조물상의 섬유형태(글루·피취 또는 다른 재료로 침투된 것 또는 지·직물 또는 금속망으로 보강된 것 여부를 불문한다)로서 열절연용(예: 지붕·굴뚝·보일러·노·스팀파이프·스팀터빈몸체·관·어름찬장·냉장차의 절연용)에 사용된다. (3) 벌크상·펠트상·매트리스상 또는 강직한 보드상의 섬유형태로서 방음용(플랫·사무실·선실·극장 등)에 사용된다. (4) 필라멘트상·사상·테이프상·조물상·직물상(천연의 레진·플라스틱·아스팔트 등이 침투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불문한다)으로서 전기절연용(예: 전선·케이블 또는 기타의 전선 반도용 장치)에 사용 된다. (5) 열가소성수지와 열경화성수지의 보강재로 사용된다. 즉, 건축산업에서의 외관·카바링과 판벽널·둥근천장과 평판 또는 파형판·액체저장 및 수송용의 탱크·근통 및 파이프·공업 또는 농업용도의 머신후드와 기타 주형 부품·자동차용의 완충기·궤도차량용·철도 객차용·비행기용·선체용·스키용·테니스라켓용 및 기타 스포츠용품 등의 장비 제조용으로 사용된다. (6) 기타 여러가지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예: 공기조절기 또는 화학공업용의 여과기·브러시·램프 및 라이터의 심지·영화스크린 제조에 사용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유리섬유를 압축 또는 적층하고 플라스틱을 침투시켜 제조한 반제품과 완제품(강직하고 경고한 특성이 있으므로 유리섬유의 제품의 특성을 상실한 것)(제39류) (b) 광물성울(제70류 주 제4호 참조)과 제6806호의 그 제품 (c) 루핑 보드 :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의 층으로 유리섬유망이나 직물로된 기판을 완전히 둘러 싸거나 또는 기판양면을 피복한 것(제6807호) (d) 중간층이 유리섬유로된 복층절연유리(제7008호) (e) 제8544호의 광섬유케이블·애자(제8546호) 및 절연재료제의 전기용물품(제8547호) (f) 제9001호의 광섬유·광섬유다발 및 광섬유케이블 (g) 유리섬유제의 인형용 가발(제9503호)과 합성수지로 응결시킨 유리섬유제의 낚싯대(제9507호) (h) 유리섬유제의 브러시(제9603호) [소호해설] 소호 제7019.11호 단연사는 다수의 평행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있는 사를 절단하여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단연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도는 몰타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호 제7019.12호 유리로빙은 꼬임의 수가 적거나 전혀 꼬임이 없는 (미터당 꼬임이 5회 미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긴(연속적인)필라멘트의 흐트러진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빙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필라멘트 유리사의 제조에 사용되나 또한 특정유리섬유에 직접 사용되기도 한다. 예: 장막 소호 제7019.19호 이 소호는 슬라이버를 포함한다. 슬라이버는 보통 길이가 380㎜ 미만의 짧은 길이의 스테이플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플 섬유는 꼬임의 수가 적거나 전혀 꼬임이 없는(미터당 꼬임이 5회 미만) 로프모양의 가닥에 평행상태로 느슨하게 정렬되어 있다. 슬라이버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섬유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며 또한 와이어 및 케이블의 제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 소호의 사는 꼬여 있으며 연속적인 필라멘트 또는 스테이플 섬유로 되어 있다. 소호 제7019.31호 매트는 수백 개의 평행필라멘트를 무작위순으로 배열해서 만든 유리실로 강화한 평판제품이다. 이러한 유리실을 절단하거나(단사의 매트) 또는 절단하지 않고(장사의 매트) 결속 방법이나 바느질가공으로 함께 묶는다. 이러한 물품은 실을 손상시키지 않고 매트로부터 손으로 하나하나 떼어낼 수 있는 평행필라멘트의 형상이 그대로 남는다. 소호 제7019.32호 얇은 시트(보일)은 개개의 유리섬유(필라멘트)를 무작위순으로 배열해서 만든 부직포이다. 이 섬유는 결속방법으로 함께 묶어서 압축시키고 보강실(대개 판에서 세로로 나열되어 있음)을 결합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유리매트와는 달리 이 제품의 각 필라멘트는 판을 손상하지 않고서는 손으로 떼어낼 수 없다. 얇은 시트는 5㎜를 초과하지 않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 웹·매트리스 및 기타 절연물품과 구별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