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이 호에는 금속·목재·콘크리트·섬유 및 직물·지 또는 판지·고무·플라스틱·가죽 등 각종재료의 경도·탄성·항장력·압축성 또는 기계적 성질을 시험하는 광범위한 기기가 분류된다. 그러므로 이 호에서는 다음의 것이 제외된다.(a) 물질의 미세구조시험용기기(예: 금속현미경 또는 기타의 현미경 - 제9011호 또는 제9012호)와 분석용의 기기 또는 다공성·열팽창 등과 같은 물성측정용기기(제9027호) (b) 단순히 폭·두께 등을 측정·검사하는 기기(예: 기계적인 부품으로 만든 것·와이어제·금속제 등)(제9017호 또는 제9031호) (c) 재료의 결합·균열·틈 또는 흠의 검출용기기(제9031호) 이 호의 기기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연구실에서 제품(보통 주의깊게 선택된 시료 또는 표준시료)의 검사에 사용되며, 제조공정 중·건설작업 중(작업 현장에서) 또는 창고 등에서 인도상품의 검사에도 사용된다. 이 기기에는 수톤의 중량을 갖는 대형의 기계식·전기식 또는 액압식의 장치로부터 휴대식 또는 포켓형에 이르는 소형의 것까지 있다. 만능형(예: 금속시험용)의 것은 부속품을 교체함으로써 경도시험·신장시험·굴곡시험 등에 사용된다. 보통 스타트-스톱(start-stop) 원리로 조작되나, 자동식 또는 반자동식의 것도 있다(예: 조립공정을 마친 대량의 제품검사용). 시험결과는 눈금으로 직접 확인(때로는 간단한 확대경·내장된 현미경 또는 윤곽촬영기와 같은 간단한 광학기구를 보조수단으로 한 것도 있다)하거나, 또는 시험편(試驗片)을 별도 현미경 검사를 하여 확인한다(예: 금속의 강구시험에 의한 홈의 검사 등). 그 밖에 시료의 응력·왜력 등을 기록하는 설비를 갖춘 것도 있다. (Ⅰ) 금속재료시험기 이 그룹에는 다음의 기기를 포함한다. (A) 항장력(인장)시험기·시료편·봉·선·케이블·스프링 등의 장력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항장력시험은 금속의 탄성 파괴응력 및 중요한 성질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항장력시험기에는 수직형 또는 수평형·엔드리스스크루(endless screw)형 또는 유압형 등 각종 형식의 것이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피검시료를 지지하기 위한 조오(jaw)는 클램프(clamp)로 구성되어 있다. (B) 경도시험기 : 봉(棒)·기계부분품 등의 경도를 시험하는 것으로서, 금속의 경도는 그 금속의 움푹(indentation)하게 되는데 대한 저항으로 측정된다. 경도시험에는 다음의 종류가 있다. (1) 강구인덴테이션(indentation)시험[경구(硬球) 또는 금속탄화물구(球)를 사용한다] 또는 브리넬(brinell)시험·레버·스프링 또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강구에 계속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충돌하거나 또는 반복된 타격을 가하지 아니한 것) 움푹한 곳이 만들어지며 이 움푹한 곳의 직경을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2) 피라밋형 다이아몬드압자 인덴테션시험 : 이 시험은 록웰(rockwell)방법[움푹한 곳의 깊이를 다이얼 콤퍼레이터(dial comparator)로 측정한다], 또는 빅커어스(Vickers)방법(움푹한 곳의 면적을 현미경으로 측정한다)으로 행해진다. 이 이외에 모노트론(monotron)시험·쇼오(shore)시험·누우프(knop)시험 등의 시험방법이 있으며, 또한 강제압자(鋼製壓子)를 이용하여 연한 금속을 시험하는 기기도 여기에 속한다(예: rockwell방법) 이상의 세 가지 시험은 동일한 시험기로 행하여진다. (3) 반발시험 : 스클레로스코프 또는 스클레로그래프(scleroscopes 또는 sclerographs)를 보조수단으로 하여 행하여진다. 보통 피라밋형 다이아몬드를 선단에 부착시킨 작은 해머가 일정한 높이로부터 시료 위로 낙하된다. 시료금속이 단단하면 할수록 해머의 반발력은 높아진다. (4) 진동시험(the pendulum hardness test). 시료에 미치는 진자의 진동으로 경도를 측정한다. 진자는 중앙에 강구를 부착시킨 역U자형의 주강제(鑄鋼製)이다. (C) 굴곡시험기 : (1) 충격시험이 봉에 대하여 행해진다(V자형으로 새긴 눈금의 유무를 불문한다). 시료봉을 두 개의 지지구 위에 놓고 그것이 파괴될 때까지 망치로 반복되는 충격을 주어서 그 강도를 측정한다. (2) 압력시험용(주로 봉에 사용된다) 및 굴곡시험용(스프링용)의 기계 (D) 연성시험기 : 주로 금속판의 시험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강구를 선단에 부착시킨 압자를 구멍이 뚫리기까지 그 판에 점차로 눌러서, 처음 구멍이 뚫리는 순간을 기록하고 그 다음 응력과 편향을 측정한다. (E) 절곡시험용(판·봉 및 선)·압축시험용 및 전단시험용(주로 주철)의 기계 (F) 피로시험기 : 시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순응력 뿐만 아니라 결합된 응력의 시험에도 사용된다. 결합된 응력의 시험용으로는 회전굴곡 피로시험기(시료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또는 역염력피로시험기(염력의 방향을 교호적으로 역전한다), 전자피로시험기 등이 있다. (Ⅱ) 방직용섬유시험기 이 그룹에 해당되는 기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주요한 시험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파괴시험에 대한 신장성 및 저항력·염력시험에 대한 탄성 및 확장력 및 이와 유사한 시험(이러한 시험을 결합한 것). 이러한 시험을 하는 재료는 섬유 또는 사·로프 또는 케이블·보통의 직물·띠끈(webbing)·벨트 등이다. 이 시험은 각종 다이나모미터를 보조수단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그 작동의 원리에 따라서(예: 진자 또는 밸런스레버 등의 다이나모미터 또는 가장 중요한 용도에 따라(예: 단사·꼬임사 또는 망·유리섬유·타래·직물 등의 다이나모미터) 행해지며, 또한 신장계를 사용하여 행해지기도 한다. 다이나모미터에는 직물의 천공시험용의 강구가 갖추어진 것도 있다. (2) 시료직물의 치수의 변화 신축을 알아보는 시험·시료직물의 신축은 건조 또는 습윤상태로 잡아당긴 후에 측정된다. (3) 마찰소모시험. 이러한 시험은 마찰을 받기 쉬운 직물(시트·의류·식탁용흰보 등)이나, 때로는 사 그 자체에 대하여 행해진다. 이 시험에는 마찰시험기·소모시험기 등이 이용된다. 시험용 직물은 일정한 장력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마찰장치에 의하여 점차로 닳게 된다(연마판·금속 플랜지를 갖춘 회전실린더·강제 밀링 휠 등). 마모저항은 시료용 직물을 마찰시켜 절단하는데 소요된 회전수로 측정된다. 이 호에는 직물의 관리공정에서 사용되는 검사용기기(예: 사의 균질성의 검사기·정경기나 권사기 등에 사용되는 사조정시험기·사의 비틀림을 측정하는 연수계 및 연진동기록계)는 포함되지 아니한다(제9031호). (Ⅲ) 지·판지·리놀륨·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의 시험용기기 주로 확장력(신장성·파괴중하 등의 측정) 또는 천공의 저항에 관하여 시험을 행하는 것이다. 측정에는 직물의 시험에 사용되는 다이나모미터와 거의 같은 것이 사용된다. 이 그룹에는 압열시험기·절곡시험기 등(예: 종이의 시험에 사용되는 것)·탄성시험기·반발시험기·확장력시험기·마찰시험기·소성시험기(예: 고무 또는 플라스틱재에 사용된다)가 포함된다. (Ⅳ) 기타의 재료시험기 목재·콘크리트·경질의 플라스틱재의 대부분에 대하여도 항장력·굴곡·경도·압축·전단·마모성 등의 시험은 금속재료 시험(볼-임프린트·충격 등에 의해서)에 사용되는 것과 원칙적으로 유사한 시험기로 행한다. 이 호에는 보통 소형의 것으로 사형주조주물의 항장력·굴곡저항·압축저항 등의 측정용으로 설계제작된 것 등 많은 기기가 분류된다. 완성가공된 주형 또는 심형의 표면경도의 측정용 시험기도 이 호에 포함된다. 부분품 및 부속품 이 류의 주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총설 참조), 이 호의 기기의 부분품 및 부속품은 이 호에 분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