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이 호에는 특정목적을 위하여 설계된 것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분리하여 제시되는 모든 종류의 마이크로폰·확성기·헤드폰·이어폰 및 가청주파증폭기가 포함된다(예: 전화기기용의 마이크로폰·헤드폰·이어폰 및 무선수신기기용의 확성기). 이 호에는 또한 전기음향증폭장치도 포함된다.(A) 마이크로폰과 그 스탠드 마이크로폰은 송신·방송 또는 녹음이 되도록 음의 진동을 전류의 변화 또는 발진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들 기기의 작동원리에 따라서 여기에는 다음의 물품이 포함된다. (1) 탄소형마이크로폰 : 이것은 진동판이 음파에 의하여 진동될 때에 그 위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탄소립의 정기저항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탄소립(또는 분)은 두 개의 전극간의 용기에 싸여져 있으며 그 전극 중의 하나는 진동판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또는 진동판에 고정되어 있다. (2) 압전형 마이크로폰 : 진동판에 의하여 송신되는 음파의 압력이 특정형상으로 절단된 결정편(예: 석영 또는 수정)에 변형을 일으켜서 해당 결정상(當該結晶上)에 전하(電荷)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요소는 기타, 피아노, 관현악기 등과 같은 가청(可聽)악기를 픽업(pick-up)하는데 사용하는 콘택트(contact)형의 마이크로폰에 자주 사용된다. (3) 가동코일 또는 리본형의 마이크로폰(또한 동적 마이크로폰으로 알려져 있다) : 음의 진동이 자계 내에 있는 코일 또는 알루미늄 리본을 움직이게 하여서 유도에 의하여 전기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4) 정전용량형 또는 정전형(콘덴서)의 마이크로폰 : 일매는 고정(뒤판)되어 있고 다른 일매는 진동(진동판)될 수 있도록 된 2매의 판을 갖는 것으로서, 두 매의 판사이에 공기 간격이 있다. 음파가 2매의 판 사이에 정전용량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5) 열선형의 마이크로폰 : 가열된 전열저항선을 갖는 것으로서 음파의 작용으로 그 온도가 변화되어 결과적으로 그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호는 또한 무선 마이크로폰 세트(각 세트는 무선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져 있다)를 포함한다. 무선 마이크로폰은 무선송신용 회로 및 내외부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음파를 신호로 바꾸어 송신한다. 수신기는 전송된 무선전파(radio waves)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무선전파(radio waves)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내부 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하나 이상의 음량 조절기와 출력 플러그를 갖출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에는 많은 상이한 용도의 것이 있다[예: 확성장치, 전화, 녹음, 항공기 또는 잠수함의 탐지기, 트렌치리스닝(trench listening)장치, 심장의 고동연구].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전류는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이나 아날로그의 디지탈 변환기를 갖추고 있는 일부 마이크로폰은 출력되는 전류가 디지탈 신호의 형태이다. 마이크로폰은 때때로 증폭기를 접속시킴으로써 보다 더 높은 감도가 주어지는 것이다[보통 사전증폭기(pre-amplifiers)를 말한다]. 축전기는 때에 따라서 음질조정용으로 부착되어 있다. 어떤 마이크로폰은 작동을 하기 위해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력은 믹싱콘솔(mixing console) 또는 녹음기로부터 공급되거나 독립된 전력 팩(pack)의 형태일 수 있다. 별도로 제시되는 전력팩은 이 호에 분류되지 않는다(일반적으로 제8504호에 해당한다). 마이크로폰에는 또한 종종 음파를 집중시키기 위한 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확성장치용의 마이크로폰의 경우와 같이 테이블·책상 등, 또는 지상에 설치하기 위한 특수한 대(臺)가 갖추어져 있거나 또는 그 대(臺)에 매달려 있기도 한다. 이와 같은 대(臺) 또는 장치는 분리하여 제시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것이 마이크로폰과 함께 사용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에 부착되도록 특별히 설계된 것인 경우에 는 이 호에 분류된다. (B) 확성기(인클로저에 장치된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확성기의 기능은 마이크로폰의 기능을 역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것은 증폭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또는 진동을 공기에 전달되는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음향을 재생하는 것이다. 확성기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의 것이 포함된다. (1) 가동철편형(可動鐵片型) 및 가동코일형의 확성기 : 가동철편형 확성기에 있어서는 연철제의 전기자 또는 리이드(reed)가 영구자석의 자장내에 놓여져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의 영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자장은 이 전류에 따라서 변화되며 전기자 또는 리이드에 고정된 진동판은 이 변화에 일치되는 공기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가동(稼動)코일형의 확성기는 주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자장내에 놓여져서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얻는 코일로 되어있다. 이 코일은 진동판에 단단히 접속되어 있다. (2) 압전형확성기 : 어떤 종류의 천연 또는 인조의 수정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수정이 기계적 변형을 받는 원리에 기초를 둔 것이다. 이러한 확성기는 보통 "수정확성기"로 불리우고 있다. (3) 정전형확성기(또한 콘덴서형확성기로 알려져 있다) : 이것은 두 매의 판(전극)간에 있어서의 정전반발력에 의한 것으로서, 이 경우 일방의 판은 진동판으로서 작용된다. 정합용(整合用)의 변압기 및 증폭기는 때때로 확성기와 함께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확성기에 의해 수신되는 전기적 입력 신호는 아날로그 형식이지만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입력신호가 디지탈 형식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확성기는 디지탈의 아날로그 변환기와 기계적 진동이 공기에 전달되는 증폭기가 조립되어 있다. 확성기는 구조물 위나, 섀시 위 또는 여러가지 형식의 상자(때로는 음향학적으로 설계되어있다)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가구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것은 전체의 주된 기능이 확성기로서 작용되는 것이라면 이 호에 분류된다. 구조물·섀시·상자 등이 분리하여 제시되었다면 주로 확성기를 장치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 호에 분류된다. 제94류에 열거한 가구류로서 그 본래의 기능 이외에 확성기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것은 제94류에 분류된다. 이 호에는 분리하여 제시되는 자동자료처리기계와 연결되도록 설계제작된 확성기를 포함한다. (C) 헤드폰·이어폰(마이크로폰이 부착되었는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마이크로폰과 한 개 이상의 확성기로 구성된 세트 헤드폰과 이어폰은 저강도 음향신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음향수신기이다. 전게(前揭)한 확성기와 같이 이들 기기는 전기효과를 음향효과로 변환시키며 사용되는 방법은 두 경우 동일하며 단지 사용된 동력의 차이이다. 이 호는 전화 또는 전신용 헤드폰·이어폰(마이크로폰과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특수한 목(throat) 마이크로폰과 영구고정이어폰(예를 들면, 항공용으로 사용)으로 구성된 헤드세트, 전화용 마이크로폰세트/스피커세트가 결합된 유선전화 핸드세트(일반적으로 전화교환원에 의해 사용됨), 라디오·텔레비전 수상기와 음성재생장치 또는 자동자료처리장치에 끼울 수 있도록 된 헤드폰과 이어폰을 포함한다. 또한 이 호는 함께 조립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확성기로 구성된 세트도 포함한다. 헤드폰 또는 이어폰은 개인 청취용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세트는 음향증폭기를 내장한 중앙조종시스템에 끼우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있다. 이 장치는 모임이나 회의장소의 참가자들에 의해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이 호는 태아검진용청취기기도 포함하는데 그 기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헤드폰과 확성기, 원추형스피커, 전원스위치/소리조절부 및 배터리부로 구성되어있다. 이 기기는 산모의 심장박동뿐만 아니라 태아의 소리도 들을 수 있게 한다. 이기기는 음성기록장치는 포함하지않는다. 이 기기는 비의료용으로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내과 및 외과 또는 수의과의 전문가용으로 설계된 형태의 전자진단기기는 제9018호에 분류한다. (D) 가청주파증폭기 가청주파증폭기는 가청주파수의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사용된다. 대다수의 것은 트랜지스터 또는 집적회로에 기초를 두었으나, 소수의 것은 여전히 열전자관에 기초를 두었다. 이들 기기는 일반적으로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조입된 전력함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되며, 특히 휴대용 증폭기의 경우에는 축전지 또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받는다. 가청주파증폭기에의 입력신호는 마이크로폰·레이저광학디스크판독기·픽업카트리지·자기테이프용 헤드·radio feeder unit·필름녹음대용헤드 또는 기타 몇 개의 가청주파수에 의한 전기 신호원으로부터 나온다. 일반적으로 출력은 확성기에 공급된다. 다만, 모든 경우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사전증폭기(pre-amplifier)는 다음의 증폭기에로 공급되거나 또는 증폭기에 내장될 수 있다). 가청주파증폭기는 증폭기의 이득을 변경시키는 음량조정기를 갖고 있으며 또한 보통 주파수의 특성을 변경시키는 조정기(bass boost, treble lift 등)도 갖추고 있다. 이 호에는 전화의 중계기 또는 측정증폭기로서 사용되는 가청주파증폭기가 포함된다. 고주파 또는 중간주파의 증폭기는 고유의 기능을 갖는 전기기기로서 제8543호에 분류된다. 또한 오디오믹서와 이퀄라이저는 제8543호에 분류한다. (E) 음향증폭세트 이 호에는 마이크로폰, 가청주파증폭기 및 확성기로 구성되는 증폭기 세트도 포함된다. 이러한 형의 장치는 어떤 종류의 악기 등과 함께 공공흥행장·공공강연장·선전차 및 경찰차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유사기기들은 대형의 트럭(특히 트레일러를 갖춘 것)에서 운전수로 하여금 기관의 소리 때문에 들을 수 없는 뒤로부터의 불규칙한 소음이나 또는 신호음을 듣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부분품 부분품의 분류에 관한 일반적 규정(제16부 총설 참조)에 의하여 이 호의 물품의 부분품도 이 호에 분류된다. 이 호에서는 다음의 물품이 제외된다. (a) 마이크로폰의 유무를 불문하고, 헤드폰을 부착한 비행사용의 모자(제6506호) (b) 전화기(제8517호) (c) 제9021호의 보청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