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페로얼로이는 이 류주 제1호 다목에 정의되어 있다. 페로얼로이와 선철과의 차이점은 페로얼로이가 상당량의 합금원소(예: 망간·크로뮴·텅스텐(월프람)·규소·붕소 또는 니켈)들의 용제로서만 작용하는 소량의 철을 함유하고 있고, 탄소의 함유량이 2% 이하를 함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페로얼로이는 일부 가단성이 있다 하더라도 보통 압연용·단조용 및 기타 가공용으로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업용의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는다. 주로 철강공업에서 강 또는 선철에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소정의 비율로 첨가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순수한 원소의 사용이 비실용적이며, 비경제적인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어떤 것은 탈산제, 탈황제 또는 탈질제 또는 진정강용(鎭靜鋼用)으로 이용되며 한편으로 기타의 것은 용접용 또는 금속증착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의 페로얼로이는 직접적으로 주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호에 분류되기 위하여는 페로얼로이는 피그·블록·럼프 기타 이와 유사한 일차형태의 것·입상 또는 분상의 것 또는 연속주조에서 얻어진 형태의 것(예: 빌레트)이어야 한다. 페로실리콘은 또한 그 표면이 특수공정에 의하여 경화된 구상의 과립 분말형상이며, 금속광의 비중분리(부유(浮遊)선별)에 있어서 중액(重液)("pulp")으로서 사용되지만, 그러나 그것은 이 호에 분류한다. 이 호에는 또한 입상 또는 분상으로 이미 환원된 형태의 제품과 시멘트나 기타 접착제에 의해 브리켓·실린더·틴 슬래브로 응집한 형태의 제품을 분류하며, 어떤 경우에는 발열제를 가한 것도 있다. 일부 페로얼로이(예: 페로망간과 페로실리콘)는 용광로에서 제조되지만, 보통은 전기로 또는 테르밋 공정 등에 의해 도가니에서 더 많이 제조된다. 주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1) 페로-망간 (2) 페로-실리콘 (3) 페로-실리코-망간 (4) 페로-크로뮴 (5) 페로-실리코-크로뮴 (6) 페로-니켈 (7) 페로-몰리브데늄 (8) 페로-텅스텐(페로-월프람) 및 페로-실리코-텅스텐 (9) 페로-티타늄 및 페로-실리코-티타늄 (10) 페로-바나듐 (11) 페로-니오븀 (12) 페로-실리코-마그네슘 및 페로-실리코-칼슘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산화몰리브데늄·칼슘몰리브데이트 및 탄화규소와 같은 철합금으로 동일목적이나 동일방법으로 사용되는 화학제품(다만, 철·규소화칼슘 및 규소화망간의 함량이 전중량의 4%미만으로 함유하는 경우에 한한다)(제28류). (b) 페로-우라늄(제2844호) (c) 페로-세륨과 기타 발화성 철합금(형상은 불문한다)(제3606호) (d) 일부 국가에서 때때로 페로-니켈 또는 페로-니켈-크로뮴으로 알려진 제품으로서, 가단성이 있고 보통 철강야금에 있어서 첨가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제7218호에서 제7229호까지 또는 제75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