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해설]
이 호에서 분류되는 진주는 진주모패처럼 해양 또는 담수에 살고 있는 연체동물(특히 진주굴과 진주홍합)의 분비물이 퇴적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진주는 빛이 나는 표면과 본질적으로 콘키올린(conchiolin)로 덮힌 탄산칼슘의 층으로 되어있다. 탄산칼슘의 층은 특징있는 진주광택(orient)을 생성하게 하는 광학적 간섭과 회절을 일으킨다. 콘키올린(conchiolin)은 진주에 반투명성 또는 투명성을 부여한다. 진주는 보통 백색이지만 회색·흑색·자색·적색·황색·녹색·청색 등의 유색이나 음영을 띄는 수도 있다. 진주는 보통 구형이지만 때로는 반원(button pearls) 또는 불규칙형(baroque 진주 또는 blister 진주)의 것도 있으며, 그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진주의 모패(제0508호 또는 제9601호)는 동질의 성분이나 보통 엷은 판상을 이루고 있다. 이 호는 역시 양식진주(사람의 간섭에 의하여 만들어 진 것)도 포함된다. 이 양식진주는 굴의 외피에서 짤라 낸 액낭(液襄)에 진주의 모체인 구슬을 고착시켜 이를 다른 건강한 굴의 조직체에 삽입하여 양식된다. 수년간에 걸쳐 구슬은 천천히 겹쳐 쌓인 동심원상의 진주층으로 덮여진다. 양식진주는 외관상 천연진주와 매우 유사하나 특별장치(내시경)나 X-ray검사로 구별할 수 있다. 이 호에는 천연진주 또는 양식진주로서 가공하지 아니한 것. 즉, 채집하여 단지 청결하게 한 것(예: 소금과 물로)·가공한 것[즉, 결함있는 부분을 제거하려고 갈은 것, 구멍을 뚫거나 톱질을 한 것(예: 반 또는 3/4으로 절단한 것)]을 분류한다. 이 호의 진주는 수송 편의상 일시적으로 실로 꿰매질 수 있다. 세트 및 장착된 진주나 등급을 매긴 후 실로 꿰매진 진주는 제외된다(예: 제7113호·제7114호 또는 제7116호에 적절하게 분류). 천연진주나 양식진주는 제97류(수집품이나 골동품 등)에서 제외되고 이 류에 분류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이 호에는 다음의 것을 제외한다. (a) 모조진주(플라스틱제는 제3926호, 유리제는 제7018호, 왁스제는 제9602호에 분류한다) (b) 진주모패 : 가공하지 아니한 것이나 단순히 정리한 것은 제0508호, 가공한 것은 제9601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