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율표 | 분류사례 | 세율 | 수출입요령 | 관련법령 | 판례·예규 | 도구 | 게시판 English HSK
  단계별분류 제6부 화학공업생산품  > 제28류 무기화학품  > 제2813호 비금속의 황화물
HS 탐색창
제2813호의 해설

[호해설]

이들 이원화합물의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이황화탄소(CS2)
적열한 탄소상에 황증기를 반응시켜 얻으며 무색인 독성액체(비중 약 1.3)로 물에 혼합되지 않으며 불순한 경우는 부란취가 난다. 휘발성 또는 인화성이 크며 흡입 또는 접촉하면 위험하다. 짚 또는 버들가지로 상자를 씌운 석제·금속제 또는 유리제 용기에 완전밀폐하여 보존한다.
이황화탄소는 여러가지 목적을 위하여 용제로 사용된다. 예: 유·지방·정유의 추출·골의 탈지·의약·인조섬유 또는 고무공업에 사용된다. 또한 곤충·피록스세라 등을 파괴하기 위하여 토양에 주입시켜 농업용으로 사용된다. 후자의 경우로는 티오탄산칼륨(제2842호)을 유도한 물품이 때때로 사용된다(제3808호 해설 참조).

(2) 황화규소(SiS2)
강하게 가열한 규소에 황증기를 반응시켜 얻으며 휘발성의 침상결정인 백색고체이다. 물에 분해되어 젤라틴상의 실리카를 생성한다.

(3) 황화비소
이 호는 인조황화물을 포함한다. 이 인조황화물은 천연황화물이든 또는 비소나 삼산화이비소를 황이나 황화수소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a) 이황화비소(As2S2 또는 As4S4)(인조계관석·모조계관석·황화적) : 독성이 있으며 유리상 적색 또는 등색결정으로 비중은 약 3.5이며 용해치 않고 기화한다. 불꽃(질산칼륨과 황을 혼합)의 제조·도료(ruby arsenic)와 가죽의 탈모에 사용된다.

(b) 삼황화비소(As2S3) : 독성인 황색분말로 비중은 약 2.7이며 무취이고 물에 불용이다. 용도는 이황화비소와 유사하고 또한 가죽과 고무용 안료·구충제 또는 의약용(병의 성장을 저해하므로)으로 사용된다. 황화알칼리와 반응하여 티오아비산염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2842호에 해당된다.

(c) 오황화비소(As2S5) : 천연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미황색인 무정형의 고체로 물에 불용이다. 안료로 사용된다. 황화알칼리와 반응하여 티오비산염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2842호에 분류된다.
이 호에는 천연황화비소(이황화물 또는 계관석·삼황화물 또는 웅황)를 제외한다(제2530호).

(4) 황화인

(a) 삼황화사인(P4S3) : 구성원소를 결합하여 얻으며 회색 또는 황색고체로 비중은 약 2.1이고 무정형 괴 또는 결정으로 생성된다. 마늘냄새가 있고 맹독성은 없으나 분말이라도 흡입하면 위험하다. 비등수에 분해되며 공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는 황화인 중에서 가장 안정하다. 오황화물의 제조·안전성냥 제조에서 인의 대용품·유기합성에 사용된다.

(b) 오황화인(P2S5 또는 P4S10) : 황색결정으로서 생성되며 비중은 2.03부터 2.09까지 이다. 삼황화사인과 동일하며 또는 광물의 부유선광제의 제조에 사용된다.

(c) 상관습상의 삼황화인 : 삼황화인으로 알려진 이 물품은 대량 P2S3의 구조를 가진 혼합물이며 황회색결정 괴로 생성되며 물에 분해되고 유기합성에 사용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이 제외된다.

(a) 황과 할로겐원소의 이원결합물(예: 염화황)(제2812호)

(b) 산화황화물(예: 비소·탄소와 규소의 산화황화물)과 비금속의 티오할로겐화물(예: 클로로황화인과 염화티오카르보닐)(제2853호)

◀ 제2812호 제2814호 ▶

HOME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 | 도움말 | 원격지원문제해결About

[씨엘관세정보] 경기도 시흥시 서울대학로278번길 70 B동 1212호  [사업자번호] 137-10-87138  [대표] 박중광   clhs@clhs.co.kr   070-8802-8300   070-4214-8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