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115호 콤퍼지션 레더(가죽 또는 가죽섬유를 기제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롤상의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하며, 슬래브상·쉬트상 또는 스트립상의 것에 한한다), 가죽이나 콤퍼지션 레더의 페어링과 기타의 웨이스트(가죽제품의 제조에 적합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와 가죽의 더스트와 분
[호해설] (Ⅰ) 콤포지션레더 이 그룹에는 천연가죽이나 가죽섬유를 기재로 한 콤포지션레더만이 분류된다. 따라서 천연가죽에 기저를 두지 않는 즉 플라스틱(제39류)·고무(제48류)·지와 판지(제48류)나 도포된 직물(제59류) 등으로 만든 모조가죽은 제외된다. 접착가죽이라고도 불리우는 콤포지션레더는 여러 공정으로 제조된다. (1) 글루우나 기타 결합제로 가죽의 페어링과 웨이스트의 조각을 응집시켜 만든다. (2) 결합제 없이 가죽의 페어링이나 웨이스트에 강력한 압력을 가하여 응집시켜서 만든다. (3) 가죽의 페어링이나 웨이스트를 종이와 같은 결합제없이 뜨거운 물속에서 가열하여 엷은 섬유상이 되도록 분해하여 만든다. 이렇게 해서 생긴 펄프는 체질, 롤링 및 광택가공을 거쳐 판상으로 성형된다. 콤포지션레더는 염색·부조(浮彫)·광택·제모 또는 각인하여 탄화규소나 금강사와 함께 빻음으로해서 스웨이드 처리를 하고 바니쉬 도장 또는 메탈라이즈드가공을 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공정을 거친 콤포지션레더는 슬랩상·쉬트상이나 스트립상으로 된 것은 롤상의 여부를 불문하고 이호에 분류되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절단된 것은 다른 류에 분류된다. (특히 제42류) (Ⅱ) 페어링 및 기타의 웨이스트 이 호에는 다음의 물품이 분류된다. (1) 가죽 제품의 제조과정에서 생긴 가죽(콤포지션레더나 파치먼트 가공을 한 가죽도 포함함)의 페어링과 기타 웨이스트로서 콤포지션레더나 아교등의 제조용에 적합한 것 또는 비료로 사용되는 것 (2) 본래의 목적한 용도에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다른 제품을 제조하는 데도 가죽으로서 쓸모가 없는 낡은 가죽제품 (3) 비료로 사용되거나 인조스웨이드, 콤포지션플로오링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죽의 더스트와 분(가죽의 연마 및 기모공정에서 생긴 웨이스트). (4) 스웨이드포를 만드는데 사용되거나 플라스틱 공업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가죽의 가루(가죽 웨이스트를 빻아서 제조한다) 가죽물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가죽조각이나 낡은 가죽제품(예 : 기계벨트)은 적합한 호(제4107호 또는 제4112호 내지 4119호)의 가죽으로 분류된다. 이 호에는 다음의 것도 제외한다. (a) 원피의 페어링 및 이와 유사한 웨이스트(제0511호) (b) 제6309호의 중고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