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16호 불포화비환식모노카르복시산·환식모노카르복시산 및 그들의 무수물·할로겐화물·과산화물·과산화산과 그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 또는 니트로소화유도체
[호해설] 이 호에는 불포화비환식 모노카르복시산과 환식 카르복시산 및 그 무수물·할로겐화물·과산화물·과산화산·에스테르·염과 이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 또는 니트로소화유도체(복합유도체를 포함)를 분류한다. (A) 불포화비환식 모노카르복시산과 그 염·에스테르 및 기타 유도체 (1) 아크릴산(CH2=CH·COOH) 매운 냄새를 갖는 무색 액체로서 쉽게 중합되며, 폴리아크릴산 및 기타 아크릴중합체의 단량체로 사용된다. (2) 메타아크릴산 이 산의 에스테르중합체는 플라스틱의 구성요소가된다.(제39호) (3) 올레산(C18H34O2) 글리세라이드로서 유와 지에 존재하며 무색 무취의 액체로서 약4도의 온도에서는 침상으로 결정화된다. 수가용 올레산염(예 : 나트륨.칼륨 및 암모늄 올레산염)은 비누이지만 이호에 분류한다. (4) 리놀레산(C18H32O2) 글리세라이드로서 아마인유에 존재하는 건성의 산이다. (5) 리놀렌산(C18H30O2) (6) 헵티노산과 옥티노산 (B) 포화지환식·불포화지환식 또는 시클로테르펜모노 카르복시산과 그 염·에스테르 및 기타 유도체 (1) 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 (2) 시클로펜테닐아세트산 (C) 방향족포화 모노카르복시산과 그 염·에스테르 및 기타 유도체 (1) 벤조산(C6H5·COOH) 약간의 수지와 발삼에 존재하며 합성에 의해서도 조성된다. 순수한 산인 경우에는 백색 침상의 결정체이거나 또는 광택있는 백색의 플레이크상으로 무취이다. 방부제로 사용된다. 이들의 주요염은 벤조산암모늄·벤조산나트륨·벤조산칼륨과 벤조산칼슘이다. 이들의 주요에스테르는 벤조산벤질·벤조산나프틸·벤조산메틸·벤조산에틸·벤조산제라닐·벤조산시트로넬릴·벤조산리날릴 및 벤조산 로디닐이다 이 호에는 또한 특히 다음의 벤조산유도체가 포함된다. (a) 과산화벤조일 백색 입상 결정성 고체로서 의약용·고무 및 플라스틱공업용 및 유·지·제분 등의 표백제로 사용된다. (b) 염화벤조일(C6H5·CO·Cl) 백색 결정체로서 독특한 냄새를 지닌 최루성의 무색 액체로서 공기에 노출되며 발연한다. (c) 니트로벤조산(오르트·메타·파라) (NO2·C6H4·COOH) (d) 염화니트로벤조일(오르토·메타·파라) (NO2·C6H4·CO·Cl) (e) 클로로벤조산(Cl·C6H4·COOH) (f) 디클로로벤조산(Cl2·C6H3·COOH) (2) 페닐아세트산(C6H5.CH2 COOH) : 꽃냄새가 나는 백색크리스탈 프레이트임, 향료 및 향미료, 페니실린지 및 살균제의 제조, 유기합성 및 암페타민 합성에서 전구물질로 사용된다.(제29류 말미에 전구물질 및 필수화학물질의 목록참조) 이들의 주에스테르는 에틸페닐아세테이트, 메틸페닐아세테이트 및 오르토-메록시페닐 페닐아세테이트(구아니아콜페닐아세테이트) 들이다. (3) 페닐프로피온산·나프토산 (D) 방향족 불포화 모노카르복시산과 그 염·에스테르 및 기타 유도체 계피산(C6H5CH=CH·COOH) 계피유 및 톨루와 페루의 발삼내에 존재하며 무색의 결정체이다. 이들의 주요염은 계피산나트륨과 계피산칼륨이며 주요에스테르는 계피산메틸·계피산에틸·계피산벤질 및 계피산프로필로서 향료에 사용된다. ㅇ ㅇㅇ 이 호에는 순도85%미만(건조한 물품으로 계산한 것)의 올레산과 순도90%미만(건조한 물품으로 계산한 것)의 기타 지방산은 제외한다.(제3823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