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09호 에테르·에테르알코올·에테르페놀·에테르알코올페놀·과산화알코올·과산화에테르 및 과산화케톤(화학적으로 단일한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한다)과 그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 또는 니트로소화유도체
[호해설] (A) 에테르 에테르는 수산기의 수소원자가 탄화수소기(알킬 또는 아릴)로 치환된 알콜 또는 페놀로 간주하며 일반식은(R-O-R1)이며 R과 R1은 같을 때도 있고 같지 않을 때도 있다. 이들 에테르는 매우 안정한 중성물질이다. 탄화수소의 기가 비환식계열에 속한다면 에테르도 역시 비환식이며 환식기는 환식에테르가 된다. 비환식계열의 첫 번째 에테르는 가스상이며 기타의 것은 에테르의 특취(特臭)를 갖는 휘발성 액체이며 탄소수가 많은 것은 액페 또는 고체이다. (Ⅰ) 대칭비환식 에테르 (1) 디에틸에테르(C2H5·OC2H5) : 특수하게 타는 듯한 냄새를 지닌 무색 굴절성의 액체로서 휘발성이 강하고 가연성이 매우 높은 물질이다. 마취제 및 유기합성에 사용된다. (2) 디(클로로에틸)에테르 또는 디클로로디에틸에테르 (3)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4) 디부틸에테르 (5) 디펜틸에테르(디아밀에테르) (Ⅱ) 비대칭비환식 에테르 (1) 에틸메틸에테르 (2) 에틸이소프로필에테르 (3) 부틸에틸에테르 (4) 펜틸에틸에테르 (Ⅲ) 포화지환식·불포화지환식 및 시클로테르펜 에테르 (Ⅳ) 방향족 에테르 (1) 이니솔(C6H5·OCH3) (메틸페닐에테르) : 상쾌한 냄새를 지닌 무색의 액체로서 유기합성 (예 : 합성향료)원료로 쓰이며 용제 및 구충제로도 사용된다. (2) 페네톨(에틸페닐에테르) (C6H5·OC2H5) (3) 디페닐에테르(C6H5·OC6H5) : 제라늄과 같은 냄새를 지닌 무색의 침상결정체로서 향료에 사용된다. (4) 1,2 디페녹시에탄(에틸렌글리콜 디페닐에테르) (5) 아네톨 : 아니스열매의 유(油)에 함유되여 있으며 섭씨 20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작은 결정체이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강한 아니스열매유의 냄새를 지닌 유동성의 액체인다. (6) 디벤질에테르 (7) 니트로페네톨 : 페네톨의 니트로화유도체로서 오르토니트로페네톨은 황색의 유(油)이고 파라니트로페네톨은 결정이다. (8) 니트로아니솔 : 아니솔의 니트로화유도체로서 오르토니트로아니솔은 액체이고 메타 및 파라니트로아니솔은 박편상의 결정체이다. 트리니트로아니솔은 매우 강한 폭발성 성질이다. (9) 2-터셔리-부틸-5-메틸-4,6-디니트로아니솔(머스크 암브레트) : 암브레트유와 천연사향의 향을 혼합한 황색의 결정체 (10) 베타-나프틸메틸 및 에틸에테르(인조네로리유) : 오렌지화유와 비슷한 냄새를 지닌 무색의 결정 분말이다. (11) 메타크레졸과 부틸메타크레졸의 메틸에테르 (12) 페닐토릴에테르 (13) 디토릴에테르 (14) 벤질에틸에테르 (B) 에테르 - 알콜 이들은 다가알콜 또는 페놀알콜이 페놀성수산기의 수소로 치환되어 유도된 것(페놀알콜의 경우) 또는 한 개의 알콜성수산기가 알킬 또는 아릴기로 치환되어 유도된 것(다가알콜의 경우)이다. (1) 2,2'-옥시디에탄올(디에틸렌글리콜, 디골) : 무색의 액체로서 유기합성원료·검 및 수지의 용제·폭약제조 및 플라스틱재의 제조에 사용된다. (2) 에틸렌글리콜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의 모노메틸, 모노에틸, 모노부틸 및 기타 모노알킬에테르 (3) 에틸렌글리콜 또는 디에틸렌글리콜의 모노페닐에테르 (4) 아니실알콜 (5) 구아이에토린(INN) (글리세롤모노(2-에톡시페닐)에테르)와 구아이페네신(INN) (글리세롤 모노(2-메톡시페닐)에테르) (C) 에테르페놀과 에테르알콜페놀 이들은 2가페놀 또는 페놀알콜이 알콜성수산기의 수소로 치환된 것(페놀알콜의 경우) 또는 한 개의 페놀성수산기가 알킬 또는 아릴기로 치환되어 유도된 것(디히드릭 페놀의 경우) (1) 구아이야콜 : 비치목타르에 존재하며 목크레오소트의 주성분이다. 특수한 방향성을 지닌 무색의 결정체이나 한 번 용해하면 액체상태가 된다. 의약 및 유기합성에 사용된다. (2) 술포구아이야콜(INN) (구아이야콜술폰산칼륨) : 미세분말로서 의약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3) 오이게놀 : 정향으로부터 얻어지고 카네이숀의 냄새를 가지는 무색 액체이다. (4) 이소오이게놀 : 오이게놀로부터 합성으로 얻어지며 육두구유 넛메그유)의 성분이다. (5) 피로카테콜모노에틸에테르(구아에톨) : 스웨덴송목유에 존재하고 방향성의 무색 결정체이다. (D) 과산화알콜·과산화에테르와 과산화케톤 RO·OH와 RO·OR의 화합물로서 그 속에 있는 'R'는 유기기(有機基)이다. 그 예로는 과산화히드로에틸과 과산화디에틸이다. 이 호에는 또한 과산화케톤(화학적으로 단일인지 여부를 불문한다.)이 포함된다. 예 : 과산화시클로헥사논(1-히드로페록시시클로헥실-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록사이드) ㅇ ㅇㅇ 이 호에는 에테르·에테르알콜·에테르페놀·에테르알콜페놀·과산화알콜·과산화에테르 또는 과산화케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 또는 니트로소화유도체 및 복합유도체(예 : 니트로술폰화유도체·술폰할로겐화유도체·니트로할로겐화유도체 및 니트로술포할로겐화유도체)가 분류된다.
|